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한국애브비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한국애브비는 미국 바이오의약품 기업 애브비(AbbVie Inc.)의 대한민국 현지 법인이다.[4][5] 면역학과 종양학을 중심으로 전문의약품의 수입·판매, 의학부 운영 및 의학 정보 제공, 국내 규제·허가 및 이해관계자 협력 업무를 수행한다.[1][6] 공식 한글 표기는 ‘‘한국애브비 주식회사’’이며 영문 표기는 ‘‘AbbVie Korea Ltd.’’이다.[5] 모회사 애브비는 2013년 애보트의 연구개발 부문 분사로 출범했다.[7]
Remove ads
설립
2013년 모회사 분사 이후 한국 시장 공략을 위해 법인이 운영되기 시작했으며, 초기부터 면역매개 염증성 질환과 혈액암·고형암 분야에 역량을 집중했다.[1][2]
연혁
조직·역할·운영
의학부, 마케팅·영업, 규제 및 약무, 대외협력 등으로 구성된다. 국내에서는 제품 수입·유통과 함께 보건의료전문가 대상 의학 정보 제공을 수행하며, HCP 전용 ‘‘AbbVie Pro Medical’’ 포털을 운영한다.[10] 대표이사는 강소영이다.[4]
사업
면역질환·종양 분야 전문의약품의 국내 공급, 허가·적응증 확대 지원, 학술·교육 활동, 환자 접근성 제고를 위한 이해관계자 협력을 수행한다.[1]
제품·서비스
국내 매출 성장에는 야누스 키나아제(JAK) 억제제 ‘‘린버크’’(upadacitinib)와 인터루킨-23(IL-23) 억제제 ‘‘스카이리치’’(risankizumab)가 기여했다는 분석이 있다.[3]
성과
사회적 책임·지속가능성
모회사 차원의 지속가능성 프레임워크와 재단 활동(AbbVie Foundation)을 공유하며, 국내에서는 질환 인식 개선과 전문 교육 프로그램 등을 운영한다.[11]
대외·국제 활동
국내 학회·의료기관과 학술 교류 및 교육을 진행하며 글로벌 연구·의학 전략과 연계한다.[12]
비판과 논란
모회사와 관련해 미국에서 휴미라(Humira) 특허 전략을 둘러싼 반독점 소송이 제기되었으나 항소심에서 회사에 유리한 판결이 선고되었다.[13][14] 또한 보툴리눔 톡신 경쟁과 관련한 무역·영업비밀 분쟁이 미국 ITC 등에서 다뤄졌다.[15][16]
같이 보기
주석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