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한국의 기 목록
위키미디어 목록 항목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한국의 기 목록에서는 현재 대한민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태극기와 같은 주요 기 및 한국의 몇몇 역사적인 기들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람홍색공화국기를 비롯해 주요 기와 역사적 기들을 다룬다. 대한민국의 여러 관기(官旗) 및 각 행정구역의 도·시기는 모두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에 제정되었다.
대한민국
국기
자세한 정보 기, 사용기간 ...
기 | 사용기간 | 쓰임 | 설명 |
---|---|---|---|
![]() | 2011년 - 현재 | 국기 | 중앙의 태극과 4괘로 구성되어 있으며, 태극의 공식 색상이 변경되었다.[1][2] |
![]() | 1997년 - 2011년 | 중앙의 태극과 4괘로 구성되어 있으며, 태극의 공식 색상이 변경되었다. | |
![]() | 1984년 - 1997년 | 중앙의 태극과 4괘로 구성되어 있으며, 태극의 공식 색상이 변경되었다. | |
![]() | 1949년 - 1984년 | 중앙의 태극과 4괘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금과 같이 3·4·5·6괘로 구성되어 있다. | |
![]() | 1948년 - 1949년 | 중앙의 태극과 4괘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금과는 달리 3·5·4·6괘로 구성되어 있다. |
닫기
대통령기
헌법기관
자세한 정보 기, 사용기간 ...
기 | 사용기간 | 쓰임 | 설명 |
---|---|---|---|
![]() | 2016년[4] - 현재 | 정부기 | 태극을 형상화한 심볼과 '대한민국정부'라는 문자열이 있다. |
![]() | 1949년 (제정) - 1988년 (대통령 공고)[5] - 2016년 (폐지) | 무궁화를 형상화한 심볼 속에 '정부'라는 글자가 압축되어 있다. | |
![]() | 1988년 - 현재 | 국무총리기 | 무궁화가 무궁화 속에 있다. |
![]() | 2014년 - 현재[6] | 국회기 | 무궁화를 형상화한 심볼 속에 '국회'라는 글자가 압축되어 있다. |
![]() | 1948년 - 2014년 | 무궁화를 형상화한 심볼 속에 '國'이라는 한자가 있다. | |
![]() | 1978년[7] - 현재 | 법원기 | 무궁화를 형상화한 심볼 속에 '법원'이라는 글자가 압축되어 있다. |
![]() | 2017년 - 현재[8] | 헌법재판소기 | 무궁화를 형상화한 심볼 속에 '헌법'이라는 글자가 압축되어 있다. |
![]() | 1988년 - 2017년 | 무궁화를 형상화한 심볼 속에 '憲'이라는 한자가 있다. | |
![]() | 2018년 - 현재 | 중앙선거관리위원회기 | 무궁화를 형상화한 심볼 속에 '선거'라는 글자가 압축되어 있다. |
![]() | ? - 2018년 | 무궁화를 형상화한 심볼 속에 '選'이라는 한자가 있다. |
닫기
군기
지방자치단체
Remove ads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부기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군기
자세한 정보 기, 사용기간 ...
기 | 사용기간 | 쓰임 | 설명 |
---|---|---|---|
![]() | 1948년 | 육군기 | 조선인민군 1948년 국장과 깃발. |
![]() ![]() | 1948년 - 1961년 | 조선인민군 1948년의 두 번째 국장과 깃발 . | |
![]() | 1961년 - 1992년 | 조선인민군 | |
![]() | 1992년 - 1993년 | 조선인민군. | |
![]() | 2023년 - 현재 | 조선인민군. | |
![]() | 1993년 - 2023년 | 조선인민군 륙군이 사용하는 군기다. | |
![]() | 1997년 - 2011년 | 조선인민군 륙군이 사용하는 군기다. | |
![]() | 2012년 - 2023년 | 조선인민군 륙군이 사용하는 군기다. | |
![]() | 1993년 - 2023년 | 조선인민군 륙군이 사용하는 군기의 뒷면이다. | |
![]() | 2023년 - 현재 | 조선인민군 륙군이 사용하는 군기다. | |
![]() | 2023년 - 현재 | 조선인민군 륙군이 사용하는 군기의 뒷면이다. | |
![]() | 1997년 - 2011년 | 해군기 | 조선인민군 해군이 사용하는 군기다. |
![]() | 1993년 - 2023년 | 조선인민군 해군이 사용하는 군기다. | |
![]() | 2012년 - 2023년 | 조선인민군 해군이 사용하는 군기다. | |
![]() | 1993년 - 2023년 | 조선인민군 해군이 사용하는 군기의 뒷면이다. | |
![]() | 2023년 - 현재 | 조선인민군 해군이 사용하는 군기다. | |
![]() | 2023년 - 현재 | 조선인민군 해군이 사용하는 군기의 뒷면이다. | |
![]() | 1948년 - 현재 | 근위대기 | 조선인민군 해군의 근위대 기이다. |
![]() | 1993년 - 2023년 | 공군기 | 조선인민군 항공 및 반항공군이 사용하는 군기다. |
![]() | 1997년 - 2011년 | 조선인민군 항공 및 반항공군이 사용하는 군기다. | |
![]() | 2012년 - 2023년 | 조선인민군 항공 및 반항공군이 사용하는 군기다. | |
![]() | 1993년 - 2023년 | 조선인민군 항공 및 반항공군이 사용하는 군기의 뒷면이다. | |
![]() | 2023년 - 현재 | 조선인민군 항공 및 반항공군이 사용하는 군기다. | |
![]() | 2023년 - 현재 | 조선인민군 항공 및 반항공군이 사용하는 군기의 뒷면이다. | |
![]() | 1948년 - 현재 | 군함기 | 조선인민군 해군의 군함에 게양하는 군함기이다. |
![]() | 1948년 - 현재 | 북한의 해군 잭 | |
![]() | 2018년 - 2020년 | 전략군기 | 조선인민군 전략군이 사용하는 군기의 뒷면이다. |
![]() | 2018년 - 2020년 | 조선인민군 전략군이 사용하는 군기의 뒷면이다. | |
![]() | 2023년 - 현재 | 조선인민군 전략군이 사용하는 군기의 뒷면이다. | |
![]() | 2023년 - 현재 | 조선인민군 전략군이 사용하는 군기의 뒷면이다. | |
![]() | 2023년 - 현재 | 미사일총국기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미싸일총국이 사용하는 군기다. |
![]() | 2018년 - 2020년 | 특수부대기 | 조선인민군 특수작전군이 사용하는 군기의 뒷면이다. |
![]() | 2018년 - 2020년 | 조선인민군 특수작전군이 사용하는 군기의 뒷면이다. | |
![]() | 2023년 - 현재 | 조선인민군 특수작전군이 사용하는 군기의 뒷면이다. | |
![]() | 2023년 - 현재 | 조선인민군 특수작전군이 사용하는 군기의 뒷면이다. | |
![]() | 2007년 - 2023년 | 로농적위군기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로농적위군이 사용하는 군기의 뒷면이다. |
![]() | 2007년 - 2023년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로농적위군이 사용하는 군기의 뒷면이다. | |
![]() | 2023년 - 현재 | 로농적위군이 사용하는 군기다. | |
![]() | 2023년 - 현재 | 로농적위군이 사용하는 군기다. | |
닫기
Remove ads
한반도기
역사
자세한 정보 기, 사용기간 ...
기 | 사용기간 | 쓰임 | 설명 |
---|---|---|---|
![]() | 1882년 | 국기 | 1882년 조미수호통상조약 당시 이응준이 고안한 초기의 태극기이며, 미국에서 제작한 《해양국가들의 국기》라는 제목의 책에도 수록되었다.[9] |
![]() | 1882년 | 1882년에 박영효가 고안한 초기의 태극기이다. 1883년에 정식으로 채택되었다. | |
![]() | |||
![]() | 1888년 | 데니 (Owen N. Denny)에게 고종이 하사한 깃발 | |
![]() | 1911년 이전 | 1911년 The International Geography라는 책에 실린 태극기 | |
![]() | 1884년 | 1884년에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에서 제작한 태극기이다. | |
![]() | 1899년 | 1899년 개정된 《해양국가들의 국기》 제6판에 국기로 실린 태극기 | |
![]() | 1919년 | 3·1 운동 당시 태극기 | 3·1 운동 당시 사용한 태극기 중 하나로, 평양에 있던 숭실학교에서 만들었다.[10] |
![]() | 1919년 - 1945년 |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국기 | 1942년 6월 29일 국기로 공식 채택되기 이전까지는 임시 정부의 정부기로 사용되었다. |
![]() | |||
![]() | |||
![]() | 일제강점기 | 군기 | 한국독립군의 부대장이 보관하고 있던 진군기이다. |
![]() | 1945년 - 1946년 | 전후 한국 전역의 인민위원회에서 사용. | |
![]() | 1945년 - 1948년 | 해방 당시의 태극기 | 1945년 일본제국이 미국한데 항복당했다는 소식들었음으로 한민족은 한반도에서 광복을 맞이할 때 3⸱5⸱4⸱6괘로 구성된 태극기를 제작했으며 구, 서울역광장앞에 해방을 맞이하였으나, 중앙의 태극과 4괘로 구성되어 있으며, 3·5·4·6괘로 특이한 점이 있다. 조선건국준비위원회와 조선인민공화국의 국기이기도 하였다. |
![]() | 1946년 - 1948년 | 해방 후 북조선인민위원회의 국기 | 중앙의 태극의 4괘로 구성되어 있으나, 3⸱5⸱4⸱6괘로 특이한 점이 있다. 남한에서 태극기를 구입하여 경교장에서 김구를 만난 이후 국기를 빌려서 북한에서 사용하였으나, 1948년 남북연석회의 때 김구에게 태극기를 반납했다. |
닫기
조선시대 및 그 이전의 기
자세한 정보 기, 사용기간 ...
기 | 사용기간 | 쓰임 | 설명 |
---|---|---|---|
![]() | 군기 (5세기 중엽) | 고구려 군기 | |
![]() | 군기 (5세기 말) | ||
![]() | 918년 - 1392년 | 고려군주 봉기 | 고려 시대에 군주의 행차 때 사용된 의장기이다. |
![]() | 918년 - 1392년 | 고려군주 마기 | 고려 시대에 군주의 행차 때 사용된 의장기이다. 해마기라고도 불린다. 해마기는 동방의 수를 상징한다.[11] |
![]() | 918년 - 1392년 | 고려군주 상기 | 고려 시대에 군주의 행차 때 사용된 의장기이다. 상기는 북방의 수를 상징한다.[12] |
![]() | 1392년 - 1882년 | 태극팔괘도 | 조선 군주의 어기이며, 태극기가 만들어지기 전까지는 왕실에서 국기로서의 사용도 겸하고 있었다. |
![]() | 조선시대 | 대장기 | 조선시대 군기의 하나로서, 수자기(帥字旗) 또는 수기(帥旗)라고 한다. 조선 시대 군영의 진중에 대장의 표식으로 내걸렸다. 모양은 누른 색에 검은 색 글씨로 장수 수(帥)자가 새겨져 있으며, 기 주변에 드림(기의 장식)이 달려 있는 것도 있다. 특히 이 대장기는 신미양요 때에 미군들이 가져갔었다 |
![]() | 조선시대 | 군기 | 조선시대 군기의 하나로서, 좌독기(坐纛旗) 또는 둑기라고 한다. 행진할 때 우두머리 장수인 주장(主將)의 뒤에 세우고 멈추면 군사를 지휘하는 장수가 올라서서 명령하던 장대(將臺)의 앞 왼편에 세웠던 사각형의 깃발이다. 태극(太極), 낙서(洛書), 문왕 후천 팔괘(文王後天八卦)로 구성된다. |
![]() | 1897년 ~ 1907년 | 대한제국 황제기 | |
![]() | 1908년 ~ 1910년 | 대한제국 황제기 | |
![]() | 1908년 ~ 1910년 | 대한제국 태황제기 | |
![]() | 1908년 ~ 1910년 | 대한제국 황후기 | |
![]() | 1908년 ~ 1910년 | 대한제국 황태자기 | |
![]() | 1908년 ~ 1910년 | 대한제국 황태자비기 | |
![]() | 1908년 ~ 1910년 | 대한제국 친왕기 |
닫기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