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한국의 라디오 드라마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다음은 한국의 라디오 드라마에 관한 설명이다.

배경

요약
관점

어느 나라이건 초기의 라디오 드라마가 그러했듯이 한국의 라디오 드라마도 무대극의 중계형태, 즉 보이지 않는 연극을 방송하는 것으로서 시작되었다.

한국 최초의 방송국인 JODK(HLKA전신)가 방송을 개시한 1927년에는 이미 영국·미국·프랑스 등에서는 초기의 무대중계적인 라디오 드라마를 극복하고 본격적인 작품들이 방송되고 있었다.

그 때문에 한국의 라디오 드라마는 외국에서 개발된 드라마 이론을 도입함으로써 독자적인 이론개척기를 거치지 않고 본격적인 라디오 드라마를 비교적 빠른 시일 안에 방송할 수 있었다.

최초로 방송된 본격 라디오 드라마는 영국의 리처드 휴즈 원작 <탄갱(炭坑)>이었는데, 이것은 갑작스런 폭발로 출구가 막힌 암흑 속의 탄갱 안에 갇힌 광부들의 절망과 공포의 심리상태를 다룬 것으로 오늘에도 라디오 드라마의 고전으로서 꼽히고 있다. 그 후 <새벽종> <춘향전> 등의 한국 작품도 발표되었다. <춘향전>은 5회로 된 연속드라마로 한국 최초의 연속드라마로 기록된다. 이때의 라디오 드라마 출연·연출자들은 '극예술연구회' '조선극우회' 등의 연극단체의 멤버들이었고, 그 뒤 최초의 라디오 드라마 연구단체인 '라디오 플레이 미팅'이 탄생되었는데 이 멤버 역시 주로 연극인이었다.

정부수립을 전후로하여 김영수(金永壽), 유호(兪湖), 최요안(崔要安), 한운사(韓雲史) 등이 본격적으로 작품 활동에 나섰으나, 정계의 혼란과 6·25전쟁전화(戰火) 등으로 1950년대 중반까지는 이렇다할 발전을 볼 수 없었다.

1950년대 후반에 사회가 차차 안정되어감에 따라 일요연속극, 일일연속극 등이 방송되기 시작했고, 시리즈 드라마인 <인생역마차>가 5년 간에 걸쳐 롱런할 만큼의 성공을 거둔 것도 기억될 만한 기록이었거니와, 조남사(趙南史) 작의 <청실홍실>, 한운사(韓蕓史) 작의 <현해탄은 알고 있다>, 이서구(李瑞求) 작의 <장희빈(張禧嬪)>, 김희창(金熙昌) 작의 <로맨스 빠빠>와 같은 본격적인 멜로드라마·사극(史劇)·상황극(狀況劇)·희극 등의 여러 분야가 개척되었다.

TV드라마가 등장한 1960년대는 라디오 드라마에 있어서는 실의(失意)와 분발(奮發)이 교착(交錯)된 시련의 기간이었다. 작가와 성우, 그리고 역량 있는 제작·연출진을 할애(割愛)당했을 뿐 아니라, 종래 연속극으로 확보했던 상당한 청취자를 TV쪽에 빼앗기는 아픔을 견디어야 했다.

1960년대 후반부터 라디오 드라마는 필요한 모색(摸索)과 실험을 거듭한 끝에 오늘날 그 체질·개성에 합당한 방향으로 찾아들었다고 할 수 있다. 흥미·자극으로 치우치던 잘못을 씻고, 청취자들에게 어떻게 서비스할 것인가를, 즉 라디오 드라마의 활로(活路)가 어디에 있는가를 분간하기에 이른 셈이다.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한국의 라디오 드라마(사설)〉 항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Remove ads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