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한국철도공사 210000호대 간선 전기 동차

대한민국 주요 간선에서 운행 중인 한국철도공사 소속 급행 여객형 전기 동차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한국철도공사 210000호대 간선 전기 동차
Remove ads

한국철도공사 210000호대 간선 전기 동차(Trunkline Electric Car)는 퇴역하는 새마을호를 대체할 목적으로 도입된 간선 전기 동차이다. 2014년 5월 12일부터 ITX-새마을 등급으로 운행을 시작하였다. 현재 총 6량 23개 편성(138량)이 운행하고 있다.

간략 정보 제작 및 운영, 주 용도 ...
Remove ads

도입 역사

1차 도입분 (01~23호기, 2013년 3월~2014년 3월)

기존의 노후화된 새마을형 디젤 액압 동차를 대체하기 위해 도입된 간선 전기 동차다. 2011년 7월 현대로템과 납품 계약을 체결하여 23편성이 제작되어 도입됐고, 완성된 첫 편성이 2013년 10월 15일 공개됐으며, 현재 한국철도공사가 소유한 23편성 모두 영업 운행에 투입됐다.

도입 단가

  • 1편성 6량 110억 5118만 4480원 (2015년 통계기준)

성능

  • 차량 구조는 ITX-청춘과 흡사한 구조로 간선 전기 동차의 범용성, 거주성, 쾌적함을 강조한다.
  • 알루미늄 더블스킨 차체를 적용하였다.
  • 선두부는 유선형 강철차제이며, 전공일체형 밀착식 연결기가 있다. 연결기 마개는 일반적인 탈착식이다.
  • ITX-청춘과 동일한 유닛 구조를 체택하고 있으며 Tc-M'-M-T-M'-Tc 유닛으로 구성된 3M 3T의 6량 1편성으로 고압모선을 통해 집전 장치 2개로 유닛을 구동하는 구조이다.
  • 대차는 ITX-청춘과 동일한 링크암 대차이다.
  • KTX-산천, SRT, 누리로와 같이 두 개 편성을 한 개 편성으로 붙여 운행하는 방식의 중련 운행이 가능하나, 복합 열차로 운행하는 열차는 없다. 다만 위 열차들과 다르게 연결기 덮개는 수동이다.
  • 공차중량은 1편성당 162톤이다.
  • 문이 열릴때 수도권 전철과 같은 차임벨을 사용한다.

특이 사항

  • 자유석이 일부 열차에 있다. 객실은 누리로, ITX-청춘을 답습한다.
  • 넓은 시트 피치 등을 통해 새마을호를 계승하여 고급화를 꽤했다.
  • 객실 양끝에서 3번째 열까지 스마트 기기 충전용 220V 콘센트가 창측에 설치되었다.
  • 카페 객차는 없으며, 3~4호차에 자판기가 설치되어 있다.
  • 장애인 편의 시설이 4호차에 설치되었으나, 현재는 3호차로 변경되었다.
  • 좌석 수는 376석이다.

운용

편성

편성은 한국철도공사 368000호대 전동차 구조와 비슷하며, 선두부에 장비된 전공일체 자동병결장치를 통해 중련운행이 가능하다.

자세한 정보 객차번호, 설치된 전장품 ...

영업 구간

현황

1차분

자세한 정보 차호, 도입 시기 ...

배속

23개 편성으로 운행되고, 전 차량 수색차량사업소에 배속되어 있다.[1]

같이 보기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