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한국형 초음속 대함미사일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한국형 초음속 대함미사일
Remove ads

한국형 초음속 대함미사일은 2000년대부터 연구를 시작해서[1]2015년에 개발을 마무리할 예정이였으나 더 강력한 소형화 요구와 핵심기술 확보때문에 계속된 개발끝에 2017년 개발완료된 미사일이다. 2014년에 초고속비행체 특화연구센터[2]를 설립하는 등 초음속 미사일에 관련한 핵심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국방과학연구소한국과학기술원의 주도로 개발을 하고 있으며 여러 대학과 연구기관들이 협력중이다.

Thumb
인도판 P-800 야혼트브라모스 순항미사일

2021년 9월 15일, 발사 시험을 성공적으로 마치면서 일반에 공개되었다.

성능

전장은 6.6m 이하, 최대 직경은 53cm이며, 발사 총중량은 1.5톤에 불과하다. 400~500km의 사거리에 순항속도는 마하 3 이상이며 데이터 링크를 통한 유도 제어,스텔스 설계, Ku 밴드 레이다와 열영상 장비 및 가시광선 탐색기를 모두 채용한 다중모드 탐색기를 통해 적함의 약점을 타격하거나 재밍에 대한 높은 대응 능력을 보일 것으로 본다. 또한 러시아로부터 하드웨어 의외에도 대함미사일 공격 알고리즘이나 네트워크의 사용방법 등 중요한 기반 자료를 많이 얻어내어 회피기동 능력도 P-800 야혼트 수준으로 구현해낼 수도 있다.[3][4]

기술 개발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스크램제트 엔진에 관한 기술을 2009년까지 개발 및 시험했으며[5]국방과학연구소가 2013년에 이중연소 램제트 기술에 관한 특허를 냈다.[6]이 발명을 통해 이중연소 램제트로 스크램 제트의 최소 운용가능 속력을 마하 2까지 낮출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램제트 엔진용으로 개발된 RJ-5와 동등한 고성능 액체추진체를 2012년부터 2014년까지 2년에 걸쳐 개발했다.[7]이 연료는 기존의 액체연료보다 밀도와 단위부피당 발열량이 세계 최고 수준이다. 또한 고성능 액체추진제 시제품 2종(HPTF-1,HPTF-2)의 개발 및 시험분석평가를 2015년부터 시작해 2018년에 종료할 예정이다.[8] 그리고 열차폐도 갖추기 위해 경사기능 복합재료 개발도 추진되었다.[9][10][11] 1400~2000K에 달하는 온도환경에서도 내열부품과 구조물의 열적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수천도 이상의 극초온에서도 내열성과 내열충격성 그리고 전파투과특성을 갖는 직물형 레이돔 핵심기술도 확보중이다.[12][13][14][15] 첨두용 열보호 시스템 관련 핵심기술도 확보중에 있다.[16][17]초고온의 환경에서도 장기간 비행할 수 있는 날개도 개발중에 있다.[18][19]

인도는 한국처럼 야혼트를 기술을 도입해 러시아와 합작개발로 브라모스 순항미사일을 개발중이다. 인도는 브라모스 성능 개량작업에 착수, 현재 400km 수준인 사거리를 800km로 배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앞서 인도는 러시아와 2017년 초 브라모스의 사거리를 290km에서 최대 450km로 확대하기로 합의했다.[20]

인도 국방부 산하 방위연구개발국 소속 연구원은 브라모스 사거리 300 km를 600 km로 늘리는데,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조금만 손보면 될 정도로 별다른 어려움이 없다고 말했다.[21]

Remove ads

제원

  • 길이: 6.6 m
  • 직경: 53 cm
  • 무게: 1.5톤
  • 사거리: 300~600 km
  • 속도: 마하 2.5~
  • 탄두중량: 200~300kg
  • 유도방식: 데이터 링크를 통한 유도, Ku 밴드 액티브 레이다 유도, 적외선 유도, CCD 유도
  • 특징: 스텔스 설계

같이 보기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