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한국 근무단

미국 육군의 대한민국 민간-군사 협력 대대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한국 근무단
Remove ads

한국 지원단(영어: Korean Service Corps (KSC)) 또는 미 8군 지원단(영어: Korean Service Corps Battalion) 혹은 한국 노무단주한 미군의 육군 구성군인 제8군 예하 제19원정지원사령부, 주한 육군 물자 지원 사령부(MSC-K)에 예속된 지원 부대로, 주한 미군에 대한 전투지원전투근무지원을 맡고 있다. 평시에는 대한민국 민간인 약 2,000여명으로 구성된 18개 중대가 편성되며, 전시에는 약 2만여명으로 증원된다.[1][2]

간략 정보 미8군지원단(한국노무단), 활동 기간 ...
Remove ads

역사

1950년 7월 26일 제8군 사령관인 월턴 워커 중장의 긴급 지원 요청에 따라 창설되었다. 최초에는 민간인 수송단 또는 운송단(영어: Civilian Transportation Corps (CTC))으로 불리었으며, 국가 긴급 동원령에 따라 노무자로 징집된 민간인으로 구성되었다. 국제 연합군은 노무자들이 짊어지는 지게가 영어 알파벳 "A"와 닮은꼴이라 하여 그들을 "A Frame Army로 불렀다.[3]

1951년 5월, 한국 근무단의 활약을 높이 평가한 제임스 밴 플리트 중장은 제8군 예하 지원단으로 재편성하고, 부대는 3개 사단과 2개 여단으로 점차 증편하였다.[4]

자세한 정보 명칭, 지휘관 ...
자세한 정보 사망자, 부상자 ...

1994년 7월 16일, KSC는 13개 중대로 편성된 대대 편제로 재조직화되었다.

2005년 11월 8일, 제702여단지원대대에서 중장비 수송임무를 이양받은 제7중대가 창설되었다.[5]

2010년 6월 10일, 창설 60주년을 맞이하였다.[1]

Remove ads

조직

배속

편성

  • 대대 본부 및 본부중대; 2009년 9월 4일, 캠프 킴
  • KSC 프로세싱센터; 1951년 9월, 대구(본부), 분견대(서울 용산, 인천)
  • 제1중대; 1952년, 캠프 케이시 제7보병사단 지원
  • 제2중대
  • 제6중대
  • 제7중대 (중장비수송)(7th KSC Company (HET))[5][6]; 2005년 11월 10일, 창설
  • 제8중대; 1976년, 캠프 페이지 제4미사일사령부 지원
  • 제9중대; 1951년, 제1기병사단 지원
  • 제12중대; 1967년, JSA 지원단 지원; 2001년 5월 22일, 재창설
  • 제15중대; 1954년, 캠프 레드 클라우드 제1군단 특수병력대 지원
  • 제16중대; 1954년, 캠프 에세이욘 제14공병대대 B중대 지원
  • 제19중대; 1950년, 제1309공병단; 2019년 6월 1일, 캠프 험프리스
  • 제22중대; 1972년, 캠프 험프리스, 제23지원단 지원
  • 제28중대; 1958년 5월 서울 태평동 제76공병대대 지원
  • 제32중대; 1970년, 제19지원사령부 대구 지역시설기술
  • 제33중대; 1958년, 캠프 롱 제44,76공병대대 지원
  • 제34중대; 2019년 6월 1일, 캠프 험프리스 제8군 본부 및 주한 미군 본부 직접 지원
  • 제36중대; 2006년 3월 24일, 캠프 캐럴 APS-4 임무 지원
Remove ads

계보

  • 1951년 3월, Civilian Transportation Corps (CTC)
    →민간(수송/운송)단
  • 1951년 7월, Korean Service Corps (KSC)
    →한국 (근무/노무)단

같이 보기

  • 카투사
  • 민간인노무단, 미국 유럽 육군

참고

Loading content...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