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한끼줍쇼
연예인과 일반 국민이 함께 저녁 한 끼 나누는 프로그램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한끼줍쇼》는 JTBC에서 매주 수요일 저녁 11시에 방영했던 리얼리티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은 하루를 살아가는 원동력, 소통의 매개체이기도 했던 우리네 저녁 밥상을 소재로 평범한 가정, 국민들의 저녁 속으로 들어가 저녁 한 끼 나누며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들의 모습을 엿보고자 기획되었다.
Remove ads
Remove ads
출연진
제작진
- CP
오윤환
- PD
박범준
심우진
서형원
김정훈
백수진
이지은
- 작가
신여진
하경화
남은경
양수화
박세미
윤다정
노영서
프로그램 소개
요약
관점
벨 누르는 시간대
- 동절기 : 저녁 5시 30분 ~ 7시 30분
- 하절기 : 저녁 6시부터 8시까지이다.
- 2018년 이전의 벨 누르는 시간대는 하절기 기간에는 저녁 6시 30분부터였다. 산간, 농촌, 어촌 지역, 기타 특별한 경우가 있을 시에는 동절기 시간대를 적용한다.
기본 수칙
긴장감과 흥미 유발, 그리고 식사 제공으로 촬영에 협조해주는 시민들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제작진과 출연자들이 정한 기본 수칙이다.
- 1. 공공기관, 회사, 사무실이 아닌 일반 가정집만 가능. 초인종으로만 호출해야 하지만 초인종이 없거나 띵동 외 다른 음악이 나오는 집은 문을 두드리는 것이 허용.
- 2. 식사 여부와는 별개로 한 번 거절당한 집은 두 번 이상 설득할 수 없으며, 방송 출연을 부담스러워하는 구성원이 한 명이라도 있을 경우 이미 들어갔다 하더라도 다시 퇴장. 거절한 주민이 건네는 다른 음식도 수령 불가.
- 3. 거주하는 집주인이 타 방송사 관계자(PD, 방송작가, 아나운서 등)이거나 연예인일 경우에도 식사 불가.
- 4. 이미 식사를 마쳤거나 명확한 금식 사유가 있을 경우에도 식사 불가.[2]
- 5. 20시까지 한 끼 식사를 하지 못하면 실패이며 편의점에서 해결해야 함. 이 역시 당일 촬영한 동네에 거주하는 주민이 같이 밥을 먹어줘야 식사가 가능. 제한 시간은 21시까지(동절기 20시 30분까지)이며 제한 시간 내 성공하지 못할 경우 완전실패(완실)가 됨.
참고 사항
- 메인 연출을 맡고 있는 방현영 프로듀서는 한끼줍쇼에 대해 "평범한 사람들이 살아가는 이야기에는 힘이 있다"고 말한다. 제작진들은 촬영현장에서 "철학자가 되는 것 같다"는 말을 서로 주고 받는다고 하는데, 경험에서 우러나오는 일반인의 얘기가 어떠한 명사의 얘기보다 와닿았기 때문이라고 인터뷰에서 밝혔다.[3]
- 어떠한 경우에도 '한끼줍쇼'에 사전 섭외란 없다. 방송 초기엔 아무런 대본도 없었고, MC들이 초행길일지라도 길 안내도 하지 않았으나 최근에는 게스트 한정으로 참고 대본이 있으며, 안전 문제 때문에 제작진이 출연진에게 대략적인 길 안내를 하기도 한다. 하지만 여전히 출연진들이 돌발적으로 길을 찾아가는 경우가 많아 동선을 예측할 수 없다.
- 이야깃거리가 있는 동네를 중심으로 2~3명의 작가팀이 한 번, PD·FD·카메라 감독 등 7~8명의 연출팀이 촬영 3~4일 전 또 한 번, 총 두 번 답사를 통해 촬영할 동네의 지리를 익힌다. 최근에는 게스트들과의 인연이 있는 동네를 많이 찾고 있다.
- 방청객 웃음소리(Laugh track) 효과를 사용하지 않았으나 161회(염곡동편)부터 사용하기 시작했다.
- 백종원의 골목식당은 2018년 8월 29일부터 수요일로 이동했는데 이경규가 이 프로그램 공동 MC 물망에 한때 거론됐으나[4] 후배들에게 좋은 본보기가 되지 못한다는 이유로 고사했다.
시청률
- 최저 시청률과 최고 시청률은 시청률 조사회사와 지역별로 시청률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2016년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2017년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2018년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2019년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2020년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Remove ads
결방 및 편성 변경
2017년
- 10월 4일 : 한끼줍쇼 일본 스페셜로 대체 편성.
2018년
- 6월 13일 : <대전환 한반도, 우리의 선택 6부> 편성 관계로 결방.
- 6월 27일 : 한끼줍쇼 리마인드 스페셜로 대체 편성.
- 9월 26일 : 추석 특선 영화 택시운전사 편성 관계로 결방.
- 12월 26일 : 2018 한끼 어워즈로 대체 편성.
2019년
2020년
- 1월 15일 ~ 1월 22일 : 2020년 AFC U-23 챔피언십 대한민국 중계 방송으로 2주 연속 결방.
Remove ads
세간의 평가
호의적인 평가
- 프로그램의 의의 : 김헌식 대중문화평론가는 "그동안의 상당수 예능들은 일반인들은 배제해왔었는데 한끼줍쇼는 이들을 적극적으로 끌어들였고 이들의 진솔한 이야기를 녹였다"고 말했다. 김성수 대중문화평론가는 "밥을 함께 나누는 것만으로도 식구(食口)라는 공동체가 된다는 전통적 가치관은 많은 이들로 하여금 공감을 끌어낸다"며 "특히 수억원을 버는 사람도 어마어마한 걸 먹지 않지 않느냐. '사는 모습 다 똑같구나' 하면서 자연스럽게 동질감을 느낀다"고 말했다. 다양한 형태의 가족과 각기 다른 상황에 놓인 이들이 등장하지만 이들이 보여주는 모습에서 이질감이 드러나지 않는 것도 이때문이다.[3]
- 민폐 논란 반박 : MC들이 초인종을 누른 뒤나 누군가를 만나 얘기를 나눈 뒤 "방송에 나가도 되느냐"고 재차 확인을 거치는 별도의 작가팀까지 있다. 또한 문을 열어주는 일반인이 부담을 갖지 않도록 스텝들은 오후 6시가 되기 전 30분 간 간단히 도시락을 따로 챙겨먹는다.
비판점
Remove ads
동시간대 경쟁 프로그램
- 극한 직업 (EBS 1TV)
- 우리 다시 사랑할 수 있을까 (MBN)
- 황금어장 라디오스타 (MBC)
- 백종원의 골목식당 (SBS)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