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한남금북정맥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한남금북정맥(漢南錦北正脈)은 백두대간의 속리산에서 시작된 정맥으로 안성 칠현산(七賢山)에서 한남정맥과 금북정맥으로 분리되어 끝맺는 정맥으로 한남·금북으로 이어주어 서북쪽으로 김포 문수산(文殊山)과 서남쪽으로 태안반도 안흥까지 이르게 하는 산줄기의 옛 이름이다. 《산경표》에서 규정한 1대간 1정간 13정맥중의 하나로, 해발 400~600 m의 산들로 연결되었으나 때로는 100 m 이하의 낮은 구릉으로 이어지기도 한 이 산줄기는 동쪽으로는 괴산·음성·충주 등 중원의 남한강 지역과 서쪽으로 이어지는 보은·청주·증평·진천 등 금강 북부지역의 생활 문화권을 영유하였다. 삼국시대에는 고구려와 백제의 접경지역이기도 하였지만 현재는 중부지방과 호남지방의 자연스러운 한 경계를 이루고 있다.[1]
주요 산
한남금북정맥을 이루는 산세는 속리산 천왕봉에서 서북쪽으로 치다르며 말티재·구치(九峙)·시루산·구봉산(九峰山)·국사봉(國師峰)·선두산(先頭山)·선도산(先到山)·상봉재·상당산성(上黨山城)·좌구산·칠보산(七寶山)·보광산·행태고개·보현산·소속리산·마이산(馬耳山)·차현(車峴)·황색골산·걸미고개·칠현산으로 이어주고 있다.[1]
속리산(1058m) - 갈목재(390m, 지방도 제505호선 통과) - 말티재(구 국도 제37호선 통과) - 새목이재(신 국도 제37호선 통과) - 탁주봉(530m) - 구봉산(506m) - 구룡산(549m, 금적지맥 분기) - 팔봉지맥 분기 - 국사봉(589m) - 선도산(547m) - 산성고개(지방도 제512호선 통과) - 이티재(360m) - 구녀산(493m) - 좌구산(657m) - 칠보산(551m) - 모래재(국도 제34호선 통과) - 보광산(539m) - 행태고개(국도 제36호선 통과) - 보현산(482m, 부용지맥분기) - 소속리산(431m) - 망이산(454m) - 수레티고개(중부고속국도, 지방도 제329호선 통과) - 칠장산(492m) → 한남정맥, 금북정맥 분리
Remove ads
비교
『산경표』에 기록되어 있는 산이름은 다음과 같다.
같이 보기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