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함경선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함경선(咸鏡線)은 함경남도 원산시의 원산역과 함경북도 종성군에 있는 상삼봉역(현재는 온성군에 있음.)을 연결하던 철도 노선으로, 그 길이는 664.0km였다. 1914년 원산역-영흥역 구간이 착공되었고 1928년 완공되었다. 현재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의해 원산역-고원역 구간은 구경원선과 합쳐져서 강원선으로 되었고, 고원역~청진역 구간은 평원선과 합쳐져서 평라선에 편입되었다. 그리고 청진역~상삼봉역 구간은 현재 함북선에 포함되어 있다.

연혁
- 1914년 10월 1일: 원산역~문천역 구간 착공.[1]
- 1916년 9월 21일: 문천역~영흥역 34.4km 구간 개통.
- 1916년 11월 5일: 청진역(청진청년역)~창평역 55.7km 구간 개통.
- 1917년 9월 16일: 창평역~풍산역 13.4km 구간 개통.
- 1917년 11월 25일: 풍산역~회령역 24.7km 구간 개통.
- 1919년 12월 10일: 나남역~수성역 14.9km 구간 개통.(현재의 강덕선 구간 포함)
- 1919년 12월 15일: 영흥역~함흥역 69.5km 구간 개통.
- 1920년 11월 11일: 주을역(경성역)~나남역 21.0km 구간 개통.
- 1922년 12월 1일: 함흥역~서호진역(서호역) 18.0km 구간 개통.
- 1923년 9월 25일: 서호진역~퇴조역(락원역) 18.4km 구간 개통.
- 1924년 10월 11일: 퇴조역~양화역, 단천역(단천청년역)~길주역(길주청년역), 수남역[2]~주을역 구간 개통.[3]
- 1925년 11월 1일: 양화역~속후역 구간(14.1km) 개통. 석막역 개업.
- 1926년 11월 11일: 속후역~신북청역 8.9km 구간 개통.
- 1926년 12월 1일: 극동역~수남역 구간 개통.
- 1927년 6월 10일: 용담역 개업.
- 1927년 8월 1일: 용동역~극동역 8.1km 구간 개통.
- 1927년 12월 1일: 신북청역~반송역(盤松驛)[4], 군선역(리원역)~단천역, 길주역~용동역 구간 개통.
- 1927년 12월 21일: 문봉역 개업.
- 1928년 8월 31일: 반송역(盤松驛) 폐지.[5]
- 1928년 9월 1일: 거산역~군선역(리원역) 26.1km 구간의 개통으로 전구간 개통. 원산역~회령역 구간은 '함경본선'(咸鏡本線)으로, 청진역~수성역 구간은 '청진선'(淸津線)으로 개명됨.[5]
- 1929년 6월 15일: 상룡전역(상룡반역) 개업.
- 1930년 4월 1일: 영업거리 단위를 마일에서 킬로미터로 개정.[6]
- 1931년 6월 15일: 만춘역 개업.[7]
- 1931년 9월 10일: 영안역(삼향역) 개업.
- 1931년 12월 26일: 흥남본정역(일본어: 興南本町驛) 개업(원산역 기점 135.9km 지점).
- 1933년 10월 1일: 본선 중 수성역~회령역 구간, 청진선, 회령탄광선, 도문선은 남만주철도에 의하여 위탁경영됨.
- 1935년 5월 1일: 범포역 개업.
- 1935년 11월 1일: 용평역을 어대진역으로 개명함.[8]
- 1937년 1월 1일: 송단역을 이원역으로 개명함.[9]
- 1937년 5월 16일: 의호역을 원산역 방향으로 1.9km 이전함.[10]
- 1937년 8월 1일: 의호역을 강상리역으로 개명함.[11]
- 1939년 8월 16일: 학중역(송상역) 개업.[12]
- 1939년 9월 16일: 현흥역, 마전역 개업.[13]
- 1939년 11월 1일: 세포리역, 온수평역 개업.[14]
- 1940년 9월 30일: 흥남본정역 폐지.[15]
- 1940년 10월 1일: 도문선구간 중 회령역~상삼봉역 구간이 본선에 편입됨.
- 1941년 4월 16일: 신성진역(장평역) 개업.[16]
- 1941년 12월 1일: 나남역~청진역 구간 개통. 이에 따라 기존구간인 나남역~수성역 구간은 강덕선으로 분리됨.[17]
- 1942년 2월 1일: 선로의 개축공사가 완료되어 본선의 청진역~창평역 구간의 영업거리가 변경됨. 이에 따라 청진역~수성역 구간의 거리가 9.0km에서 7.8km로 축소됨.[18]
- 1942년 2월 16일: 대덕역 개업.[19]
- 1945년 2월 1일: 중호역 개업.[20]
Remove ads
역목록(1945년 7월 기준)
- 장흥역과 상삼봉역(삼봉역) 구간의 거리는 1937년도 자료에 의거하여 작성함.
Remove ads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