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합자보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합자보(合字譜)는 거문고와 같은 현악기의 주법, 즉 왼손의 짚는 법과 오른손의 타는 법을 뜻하는 약자로 된 여러 기호를 모아 짠 악보이다. 합자보는 《악학궤범》(樂學軌範)의 저자인 성현이 만들었으며, 현재 남아 있는 악보는 안상금보가 가장 오래된 것이다.

거문고 합자보의 예

  •  : 유현을 뜯으라는 것으로 유(遊)의 약자를 의미한다.
  •  : 대현을 뜯으라는 것을 의미한다.
  •  : 엄지(母指)로 짚으라는 것으로 모(母)의 약자를 의미한다.
  •  : 식지(食指)로 짚으라는 것으로 식(食)의 약자를 의미한다.
  •  : 장지(長指)로 짚으라는 것으로 장(長)의 약자를 의미한다.
  •  : 무명지(無名指)로 짚으라는 것으로 명(名)의 약자를 의미한다.
  •  : 술대로 현을 밖으로 내치라는 것을 의미한다.
  •  : 문현(文絃)을 밖으로 내치라는 것을 의미한다.
  • 밑에 쓰인 숫자 : 짚는 괘의 차례 수를 의미한다.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합자보〉 항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Remove ads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