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해녀

물질하는 여성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해녀
Remove ads

해녀(海女)는 주로 바닷속에 들어가 해산물을 채취하는 여자로 공기탱크 없이 간단한 잠수복과 잠수용 오리발, 마스크를 착용하고 바닷물에 들어가 전복성게 그리고 조개(보말,소라,미역) 등을 채취한다. 잠녀(潛女)라고도 한다. 잠수복을 착용하고 오리발을 사용하는 현대 해녀들의 일회 잠수시간 및 표면휴식시간은 5m 잠수시에는 약 32초 및 46초이며 10m 잠수시에는 43초 및 85초로서 5m 잠수시에는 한 시간에 46번 정도, 그리고 10m 잠수시에는 한 시간에 28번 정도 잠수한다.[1] 현재 고무로 된 잠수복을 착용하고 있지만 이전에는 다른 장비 없이 면으로 된 잠수복만을 착용하고 물에 들어갔다.[2] 제주도의 해녀들이 수가 감소하고 있지만, 그 전통(문화)을 보존하려는 노력(해녀학교 등)이 있으며, 해녀허벅춤과 같은 노래가 구전되고 있다.

Thumb
해녀 (1958년)
Thumb
해녀 (1962년)
간략 정보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국가 ...
Remove ads

해녀 문화

현재의 모습

전문적인 해녀 양성을 위해 해녀학교가 운영되고 있으며, 국가에서 해녀에게 주는 잠수어업증이라는 자격증을 발급받아야 채취물의 판매가 가능하다.[3] 다양한 매체를 통해 공개된 해녀들의 수입은 천차만별이지만, 보통 성수기 기준 하루 30-50만원이다.[4] 1960년대 당시 월세가 200원이던 시절 남편의 한 달 월급을 하루 만에 벌었던 적이 있다는 해녀도 있다. 해녀들은 가족의 생계 때문에 물질을 시작했지만, 해녀로서 강한 정체성과 경제적 어려움을 극복했다는 자부심을 가지고 살아가고 있다.[5] 집안의 가장 역할을 하는 독립적이고 강한 여성상으로 한국 최초의 일하는 어머니로 여겨지며, 공동체 문화가 뿌리 깊게 남아있어 능력에 따라 공동작업을 하며 이익을 나누고 서로의 안전을 보살펴준다.[6][7]

인류무형문화유산

유네스코에서는 제주 해녀 문화를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하였다.[8]

고령화

서귀포시가 2020년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서귀포시의 해녀는 총1,579명이고, 이중 60대 이상이 1,442명으로 91.3%에 달했다.[9]

Remove ads

복장 및 장비

과거 제주의 해녀들은 물질 할 때 천으로 된 '물옷'을 입었는데, '물소중이'(하의), '물적삼'(상의), 그리고 머리카락을 정돈하기 위해 머리에 쓴 '물수건' 등으로 구분되어 있었다. 물소중이는 입고 벗기가 편하고 옆트임이 있어 품을 조절하기 용이해 속옷으로 입기도 했으며, 소중기, 속곳으로 불리기도 했다. 상의인 물적삼은 흰 무명옷으로 1960년대부터 입기 시작했다. 1970년대 초반에 고무로 제작된 잠수복인 '고무옷'이 일본에서 도입되었으며 이후 '오리발'이라 불리는 물갈퀴를 신어 작업했다. 고무옷은 스펀지 형태로 되어 있어 부력이 발생했기 때문에 연철이라는 납추를 달아야 물에 들어갈 수 있었다. 고무옷의 보급으로 과거 30분~1시간 하던 작업이 3시간~5시간 넘게 작업할 수 있게 되었으며 또한 더욱 깊은 곳 까지 들어갈 수 있게 되었다. 현재는 바다에서 작업하는 해녀들을 멀리서도 식별할 수 있게 2012년부터 주황색 고무옷을 입고 작업하기도 한다.

Thumb
족쉐눈 및 쉐눈, 제주해녀박물관

해녀가 물질 할 때 사용하는 도구에는 물안경, 테왁망사리, 빗창, 까꾸리 등이 있다. 물안경은 20세기에 들어서 보급되었으며, '눈'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왕눈, 쉐눈, 족쉐눈 등 종류도 다양하며 눈을 보관하는 눈곽도 있다. 테왁은 해녀가 물에 쉽게 뜰 수 있게 해주는 도구이다. 테왁에는 그물인 망사리가 부착되어 있어, 채취한 해산물을 넣을 수도 있다. 빗창은 바위에 붙은 전복을 떼어내는 데 사용되는 철제 도구이며, 까꾸리는 바위틈의 해산물을 채취하거나 물속에서 돌멩이를 뒤집을 때 사용하는 등 가장 많이 사용되는 도구이다. 이외에도 작살, 돌추, 추망사리, 본조갱이 등의 도구들이 있다.

Remove ads

관련 문화재

각주

같이 보기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