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밍 거리를 통한 정의
다음 데이터가 주어졌다고 하자.
- 유한 집합

- 자연수

그렇다면, 곱집합
위에 다음과 같은 이항 관계
들을 주자.

여기서
은 해밍 거리이다.
그렇다면,
은 결합 도식을 이룬다. 이를
-해밍 결합 도식이라고 한다.[1]:18–19, §1.4.3[2]:2479, Example 1
군 작용을 통한 정의
해밍 결합 도식은 대신 군의 작용을 통해 정의될 수도 있다.[2]:2482, Example 1 (continued)
구체적으로, 곱집합
이 주어졌을 때, 다음과 같은 두 단사 군 준동형을 생각할 수 있다.


여기서
는
의 원소의
개의 성분들 사이의 순열을 취하는 것이다.
는
의 원소의
개의 성분들에 각각 순열을 가하는 것이다.
의 상은
의 정규 부분군이며, 분할 완전열

이 존재한다. 그렇다면,
와
의 상으로 생성되는, 대칭군
의 부분군을 생각할 수 있으며, 이는
과
의 반직접곱

이다.
그렇다면,
위에
의 성분별 작용

을 가했을 때, 그 궤도들은
위의 결합 도식을 정의하며, 이를 해밍 결합 도식이라고 한다.
일반화 해밍 결합 도식
다음 데이터가 주어졌다고 하자.
- 결합 도식

- 자연수

그렇다면, 곱집합
의 임의의 두 원소
에 대하여,


를 정의하자. 그렇다면,

이다. 이제,
가
개의 성분을 가지며,
- 모든 성분이 0 또는 1이며,
- 모든 성분의 합이
인
벡터들의 집합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위에 각
에 대하여

를 주면, 이는 결합 도식을 이룬다. 이를
위의
차 일반화 해밍 결합 도식(영어: generalized Hamming association scheme)이라고 한다.[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