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해 (수)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해(垓, 1020)는 10의 20제곱을 나타내는 한자 수사이다. 대한민국·일본·중화민국 등 나라와 지역에서 큰 수를 표기할 때 간혹 사용된다.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는다. 옛날에는 다른 값에도 대응했었다.
값
요약
관점
1해는 경의 만 배에 해당하며, 그 값은
- 1020 = 100,000,000,000,000,000,000
이다. 해의 만 배는 자가 된다.
옛날에는 큰 수의 이름을 값매김하는 더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었다. 하수·중수·상수로 불리며, 오늘날의 명수법은 이와 상대하여 “만진”이라고 부른다. 해와 인접 수사들의 경우는 다음과 같다.
하수
하수는 수사가 나타내는 값이 10배씩 변화한다. 예를 들어, 10조는 경이며, 10경은 해이며, 10해는 자이다. 큰 수의 이름의 하수는 《수술기유》, 《오경산술》, 《손자산경》 등 저서에 등장한다.
- 1경 = 10조 = 107 = 10,000,000
- 1해 = 10경 = 108 = 100,000,000
- 1자 = 10해 = 109 = 1,000,000,000
만진
만진은 오늘날 사용된다. 만진은 수사의 값이 10,000배씩 변화한다. 예를 들어, 10,000조는 경, 10,000경은 해, 10,000해는 자이다. 만진은 일본의 저서 《진겁기》에 처음 등장하며, 청나라 저서 《어제수리정온》에서도 언급된다.
중수
중수는 수사의 값이 억( = 108 = 100,000,000)배씩 변화한다. 예를 들어, 억조는 경, 억경은 해, 억해는 자이다. 중수는 《수술기유》, 《오경산술》, 《손자산경》 및 명나라 저서 《산학계몽》 및 《상명산법》에 등장하며, 조선의 산학서 《구수략》과 《산학입문》에도 실려 있다.
상수
상수는 수사의 값이 제곱씩 변화한다. 예를 들어, 조조는 경, 경경은 해, 해해는 자이다. 상수는 하수와 함께 《수술기유》, 《오경산술》, 《손자산경》 등 저서에 등장한다.
- 1경 = 1조의 제곱 = 1032 = 1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 1해 = 1경의 제곱 = 1064 = 1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 1자 = 1해의 제곱 = 10128 = 1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Remove ads
나라별 차이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사용이 드물다. 정해진 표준이 없으며, 보통 과학적 기수법을 사용하거나 “만만만억”(중국어 간체자: 万万万亿, 정체자: 萬萬萬億, 병음: wàn wàn wàn yì, 주음 부호: ㄨㄢˋ ㄨㄢˋ ㄨㄢˋ ㄧˋ 완완완이[*])으로 일컫는다.
참고 문헌
- 김병덕 (1994). “우리나라 命數法에 대한 小考”. 《基礎科學硏究所 論文集》 6: 9–13.
- 김병덕 (1999). “우리나라 명수법에 대한 소고(II)”. 《한국수학사학회지》 12 (1): 53–64.
- 刘群. “有关中文大数词问题的缘由和建议” (PDF) (중국어). 2018년 4월 20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4월 19일에 확인함.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