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헌병총사령부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헌병총사령부(憲兵總司令部)는 1948년부터 1960년까지 있었던 대한민국 육군, 그리고 대한민국 국군헌병 최고사령부였다.

간략 정보 헌병총사령부, 활동 기간 ...

역사

1948년 3월 11일, 군기사령부가 창설되었다.

1949년 6월 20일, 육군본부 헌병감실을 부대로 재편성함에 따라 헌병사령부로 창설되었다.

6.25 전쟁 말기인 1953년 3월 22일(혹은 3월 24일)에 초대 대통령 이승만의 지시에 따라 다른 군의 헌병기능을 통합하여 연합참모본부의 지휘감독을 받는 국직부대로 전환되었다. 2개 대대로 편성되었다.[1]

1960년 4.19 혁명으로 이승만 초대 대통령이 하야하고, 그 영향으로 일본 제국 육군헌병령을 고스란히 이은 헌병령이 군의 통수권에 정치적으로 악영향을 끼치는 문제를 발견하여 각 군종별 참모본부로 넘기면서 헌병총사령부는 1960년 10월 9일에 해체되었다. 대신 다음날, 10월 10일에 헌병총사령부의 수사 기능을 분리하여 국방부 직할 조사대를 창설하였다. 원용덕 헌병총사령관은 연합참모본부 고문으로 좌천되었다.

Remove ads

조직

지휘관

자세한 정보 #, 계급 ...
자세한 정보 #, 계급 ...
자세한 정보 #, 계급 ...
자세한 정보 #, 군별 ...

계보

  • 1948년 3월 11일, 군기사령부
  • 1949년 6월 20일, 헌병사령부
  • 1952년, 헌병사령부
  • 1953년 3월 24일, 헌병총사령부

같이 보기

참고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