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HMM (기업)
대한민국의 해운사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HMM(Hyundai Merchant Marine, 현대상선)은 대한민국의 해운 업체이며, 국내 유일의 컨테이너 선사이다.
Remove ads
역사
- 1976년 3월 25일: 아세아상선으로 설립.[1]
- 1977년: 벌크선 2척 인수와 동시에 부정기영업 개시.
- 1983년 8월: 상호명을 아세아상선에서 현대상선으로 변경.
- 1988년: 고려해운㈜ 흡수 합병.
- 1995년 10월 5일: 코스피 상장.
- 1998년 11월: 금강산 관광선 운행을 시작 및 국내 해운업계 최초 매출 40억달러 돌파.
- 2005년: 세계 양대 얼라이언스 그룹(TNWA - Grand Alliance) 전격 제휴.
- 2010년 2월: 국내 업계 최초로 AEO(공인 경제 운영자) 인증 AA등급을 획득.
- 2010년 12월 20일: 현대건설 인수 참여했으나 인수 최종 실패[2]
- 2014년 5월 9일: 현대상선의 LNG선 사업부 매각[3]
- 2016년 7월 14일: 유동성 위기 발발, 대주주 감자 후 한국산업은행이 최대 주주가 되며, 현대그룹 계열사에서 분리[4]
- 2017년 5월: 파산한 한진해운 소유 스페인 알헤시라스 터미널의 지분 인수[5]
- 2020년: 상호명을 현대상선에서 HMM으로 변경.
- 2021년: '2050 탄소중립' 전략 발표.
- 2023년 12월 18일: 산업은행과 한국해양진흥공사는 하림그룹을 HMM 매각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
- 2024년 2월 7일: 산은·하림간 협상이 결렬되어 HMM 매각취소됨.[6]
Remove ads
사업분야
컨테이너선 부문
1983년 컨테이너 수송을 시작한 현대상선은 2006년 기준 30개국, 80개 항만, 6,000여개 도시 등으로 연간 약 210만TEU의 컨테이너 화물을 수송하였다.
벌크선 부문
벌크선 부문은 유조선, LNG선, 부정기선, 화물선 등으로 다시 나뉜다.
- 1976년 초대형 유조선(VLCC) 3척으로 창업한 현대상선에게 있어 유조선 사업은 뿌리와도 같으며, 2006년 기준 18척의 초대형 유조선과 12척의 중형 유조선 및 석유제품선을 운영했다.
- 1994년 대한민국 최초로 LNG선을 취항시킨 현대상선은 2006년 기준 총 8척의 LNG선을 운영하며, 국내 LNG 수요의 31%를 수송하였다.
- 광탄전용선 운항은 1981년 8월 현대 퍼시픽호가 포항제철와 제철용 원료를 수송하는 장기계약을 체결하면서 시작되었다. 2006년 기준 총 11척의 광탄전용선단은 한국전력공사와 포스코가 장기계약을 통해 석탄과 철광석을 수송하였다.
- 2006년 기준 일반화물선 사업은 주로 장단기 용선을 투입하여 합판 수송과 펄프 수송으로 진행되었다.
Remove ads
사건/사고
창사이래 첫 파업 위기
2021년 8월 노사협상이 결렬되면서 선원 노조가 파업을 의결했다. 선원 노조는 임금 25% 인상에 성과급 1,200%를 제시했으며 사측은 임금 5.5% 인상 및 격려금 300%와 장려금 200% 등을 제안해 결국 결렬되고 말았다. 선원 노조의 파업 이유는 경쟁사 대비 열악한 처우를 들고 있으며, 경쟁사인 MSC로의 이직 등을 하기로 했다.[7]
9월 1일부터 재교섭을 한 끝에 다음날 2일 임금을 7.9% 인상하고 성과급을 650% 지급하는 것으로 노사간 교섭이 극적으로 타결되었다.[8]
산업은행측의 매각시도
2023년 7월 20일 한국산업은행과 한국해양진흥공사가 주식 매각공고를 국가종합전자조달시스템 등에 게재했다고 공시했다. 산은이 보유한 1조원 규모의 영구CB·BW가 주식으로 전환되면 HMM 총 발행주식 수는 기존 4억 8,903만주에서 6억 8,903만주로 늘어난다. 산은과 해진공의 지분은 구주 1억 9,878만주에 2억주가 더해져 3억 9,878만주로 증가한다. 매각 대상 주식의 지분율은 40.65%에서 57.87%로 바뀐다. 매각 측은 약 4억 주를 모두 매각한다는 게 원칙이지만 원매자가 요구하면 일부만 사갈 수 있도록 선택권을 줄 계획이다.[9]
8월 21일 IB(투자은행) 업계에 따르면 이날 오후 5시 HMM 지분과 경영권을 함께 매각하는 예비입찰이 마감됐다. 예비입찰결과, 중견기업 하림그룹, 동원그룹, LX그룹을 비롯해 세계 5위 해운사인 독일 하파크로이트까지 총 4개사가 참여키로 했다.[10] 그러다가 29일 독일 최대 컨테이너선사 하파크로이트가 적격인수후보(숏리스트) 선정 과정에서 탈락하면서 인수전이 동원·하림·LX그룹의 3파전으로 좁혀졌다.
하지만, 동원, 하림, LX그룹의 자체 현금성 자산만으로는 인수하는 데 무리가 있고 설사 인수하더라도 자칫 '승자의 저주' 우려가 나오고 있다.[11]
11월 23일 본입찰에서 LX그룹은 불참하고 동원,하림그룹만 공식적으로 참여했다.[12] 12월 18일 입찰가액 6조 4,000억원을 제시한 하림그룹이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되었다.[13] 그러나 2024년 2월 6일 사모펀드 JKL파트너스의 지분 매각 제한이 걸림돌이 되어 막판협상이 결렬되었다. 당분간 채권단 관리체제 유지되었다.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