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호러와 테러

주로 고딕 문학과 영화에서 쓰이는 기본 문학, 심리학 주제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호러와 테러
Remove ads

무서움(영어: horror 호러[*])과 두려움(영어: terror 테러[*])는 고딕물에 있어 서로 구분되는 심리적 개념으로서 존재한다.[1] "두려움"이란 앞으로 무시무시한 경험을 하게 될 것을 예상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감정이다. 이에 반해 "무서움"이란 무언가 공포스러운 것을 보거나, 듣거나, 경험했을 때 발생하는 혐오감으로서, 무언가 끔찍한 것을 인지했거나 매우 불쾌한 무언가를 경험하고 나서 발생하는 감정이다. 달리 말해, 무서움은 충격과 공포(소위 겁을 먹는)와 관계가 깊으며, 두려움은 불안과 우려와 관계가 깊다고 할 수 있다.[2] 또한 두려움과 혐오감이 복합된 것이 무서움이라고 하기도 한다.

Thumb
Thumb
찰스 다윈의 《인간과 동물의 감정》에 수록된 그림 20(좌, "두려움")과 그림 21(우, "무서움")
Remove ads

공포, 무력감, 트라우마

공포영화/책을 통해 경험하는 쾌락의 역설은 부분적으로는 놀이 속 공포 경험을 통해 실제 공포로부터의 안도감에서 비롯된 것으로, 부분적으로는 성인이 되어 유아기의 무력감이라는 마비된 감정으로 되돌아갈 수 있는 안전한 방법으로 설명될 수 있다.

무력감은 심리적 트라우마 속에서 실제 공포를 압도적으로 경험하는 요인이기도 하다. 트라우마를 다시 경험하는 것은 트라우마를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같이 보기

각주

참고 자료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