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호찌민 루트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호찌민 트레일(영어: Ho Chi Minh trail, 베트남어: Đường mòn Hồ Chí Minh) 또는 호찌민 루트는 라오스 및 캄보디아를 통과하는 북베트남과 남베트남을 이어주는 병참 도로와 오솔길의 복합망이다. 이 루트는 베트남 전쟁 기간 동안 베트콩과 베트남 인민군에게 병력과 군수품을 제공했다. 루트 건설은 1959년 7월 북베트남이 라오스를 침공한 이래 시작되었다.
![]() | 이 문서는 영어 위키백과의 Ho Chi Minh trail 문서를 번역하여, 문서의 내용을 확장할 필요가 있습니다. |
Remove ads
미국은 당시 북베트남의 대통령이었던 호찌민의 이름을 따서 루트의 이름을 지었다. 이 도로의 기원은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당시 "호찌민 항로"라고 불리는 베트남 해상 물류선이 있었던 데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1] 1960년 직후 프랑스 통신사가 베트남 남북도로가 개통되었음을 알릴 때 이 도로를 'Piste de Hồ Chí Minh' (호치민 도로)라고 불렀다.[1] 이 도로는 대부분 라오스에 있었으며, 베트남군은 이 도로를 베트남 중부에 있는 산맥의 이름을 따서 안남산맥 전략보급로(베트남어: Đường Trường Sơn)라고 불렀다.[2] 베트남군은 이 도로를 서안남(라오스)와 동안남(베트남)으로 구별하기까지 했다.[1] 미국 국가안보국의 공식 전쟁사 기록에 따르면, 호찌민 루트는 "20세기의 군사 공학이 이룩한 위대한 성과 중 하나"였다.[3] 호찌민 루트는 베트남 남부에서 싸우는 병력에게 효율적으로 보급을 제공할 수 있었고, 비길 데 없는 군사적 업적이 동반되어 역사상 가장 격렬한 단 하나의 공중차단 전역이 있었던 곳이다.
Remove ads
기원
요약
관점
호찌민 루트가 된 도로들은 수세기 동안 무역을 가능하게 하는 원시적인 오솔길로서 존재해 왔다. 루트가 굽이굽이 지나가는 지역은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이동하기 힘든 지역 중 하나였다. 해발 500m에서 2400m의 험준한 산들사이로 드문드문 사람이 사는 지역인데다가, 임관층의 정글과 빽빽하게 우거진 열대우림이 있는 곳이었다.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이전 이 도로들은 "동향", "남향", "서향", "북향"으로 알려졌다.[1]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당시 베트민은 오솔길과 도로를 넓혀 남북 통신과 병참을 유지했는데, 이 도로들을 "범서부 보급로" 그리고 "범인도차이나 연결망"으로 불렀다.[1]

1958년 5월 베트남 인민군과 파테트 라오는 라오스 9번 도로에 위치한 수송 허브인 세폰을 포위했다.[4] 5월의 라오스 선거에서 우익 정부가 라오스의 권력을 잡음으로서, 라오스는 미국의 군사 및 경제 지원에 더욱 의존하게 되었고 북베트남에 적대적인 태도를 취하게 되었다.[5]
1959년 7월 28일, 파테트라오와 함께 북베트남은 라오스를 침공했고, 북베트남-라오스 국경 지대에서 왕립 라오스군과 전투를 벌였다. 1959년 9월 하노이 정부는 라오스 북동부의 국경지대와 가까운 후아판주 나까이에 본부를 둔 제559수송단을 편성했다. 보 밤 중령이 부대를 지휘했고, 이 부대는 남베트남 정부에 대한 베트콩 반란군을 수송하기 위한 교통 체계를 개선하고 유지하기 위해 설립되었다.[6] 초기에 북베트남은 남북 베트남을 분리한 베트남 군사분계선 (DMZ) 바로 아래에 침투하는 데 주력했다.[7] 제559수송단은 안남산맥 서쪽 지역으로 통신선을 "플립"했다.[4]
1959년에 제559수송단은 70연대와 71연대 등 2개 연대에만 6,000명의 병력이 있었으며,[2] 이 병력에는 보안 역할의 전투 부대나 북베트남과 라오스 민간 노동자는 포함되지 않았다. 분쟁 초기에는 오로지 인력의 침투를 위해 호찌민 루트가 사용되었다. 이 시기에 북베트남은 바다를 통해 더 효율적으로 남쪽의 동맹 세력을 지원할 수 있었다. 1959년 북베트남은 침투를 수행하기 위해 20척의 철제 선박을 보유한 제759수송단을 설립했다.[2]
베트남 연안에서 마켓 타임 작전이라 알려진 미국 해군의 봉쇄 노력이 시작된 후, 호찌민 루트는 2가지 업무를 수행해야 했다. 북쪽에서 보내진 물자는 국경 지역의 은닉처에 저장되었고, 곧 이 은닉처들은 "기지 지역"(BA)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이 지역은 이후 휴식을 취하려는 베트콩과 베트남 인민군 부대의 은신처, 그리고 남베트남 지역에서 작전을 수행한 뒤의 재보급 기지가 되었다.[8]
주요 기지
라오스의 돌출부에는 5개의 큰 기지들이 있었다. BA 604는 전쟁 기간 동안 주요 물류 중심지였다. 그곳에서 더 남쪽의 남베트남 군관구 I과 기지 지역으로 병력과 보급품을 조정하고 분배했다.[8]
- BA 611은 BA 604에서 BA 609로의 수송을 용이하게 했다. 보급 수송차가 양방향으로 이동했다. BA607에 연료와 탄약을 공급하고 남베트남의 아샤우 계곡에도 보급했다.
- BA 612는 남베트남 중부 고지에서 B-3 전선을 지원하기 위해 사용되었다.[8]
- BA 614는 라오스 사바나켓과 남베트남 캄득을 이어주는 기지로, 주로 남베트남 군관구 2와 B-3 전선으로 인력과 물자를 이동시키는 데 사용되었다.[8]
- BA 609는 장마철에 물자를 수송할 수 있게 한 훌륭한 도로망 때문에 중요했다.[8]
Remove ads
같이 보기
- 호찌민 고속도로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