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호프 대수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호프 대수
Remove ads

수학에서 호프 대수(영어: Hopf algebra)는 곱셈과 쌍대곱셈(comultiplication)이 정의되고, 두 구조가 앤티포드(영어: antipode)라는 연산을 통해 호환되는 결합 대수이다.[1][2][3][4]

정의

요약
관점

R가 (단위원을 가진) 가환환이라고 하자. R계수를 가진 호프 대수 H는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갖춘다.

  • (곱셈 영어: multiplication)
  • (단위원 영어: unit)
  • (쌍대곱셈 영어: comultiplication)
  • (쌍대단위원 영어: counit)
  • (앤티포드 영어: antipode)

이들은 다음과 같은 공리들을 만족시킨다. (, )

  • 에 대한 가군이고, 모두 R-선형 변환이다.
  • 결합법칙을 만족시키고, 단위원을 갖춘 대수다. 즉,
    • (결합법칙)
    • (단위원의 존재)
  • 은 쌍대결합법칙을 만족시키고, 쌍대단위원을 갖춘 쌍대대수다. 즉,
    • (쌍대결합법칙)
    • (쌍대단위원의 존재)
  • 대수 구조와 쌍대대수 구조가 서로 호환돼, H이중대수(영어: bialgebra)를 이룬다. 즉,
    • (곱셈과 쌍대곱셈의 호환성) . 여기서 이다.
    • (곱셈과 쌍대단위원의 호환성)
    • (쌍대곱셈과 단위원의 호환성)
    • (단위원과 쌍대단위원의 호환성)
  • (앤티포드)

마지막 공리는 다음과 같은 가환 그림(영어: commutative diagram)으로 나타낼 수 있다.

Thumb
Remove ads

역사와 어원

하인츠 호프의 이름을 땄다.

자세한 정보 ...

응용

호프 대수의 개념은 이론물리학에서 특수한 대칭을 묘사하기 위하여 사용된다.[5][6]

역사

호프 대수의 개념은 하인츠 호프가 1941년에 콤팩트 리 군의 코호몰로지를 계산하기 위하여 도입하였다.[7]

각주

같이 보기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