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상경 용천부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상경 용천부(上京龍泉府)는 발해의 주요 도시였던 5경 중 하나이다. 발해 때는 상경성(上京城) 또는 홀한성(忽汗城)이라고도 했다.

간략 정보 상경上京, 시대 ...

개요

756년 발해 문왕중경에서 상경으로 천도하여 수도로 삼았다. 785년에서 794년 사이 수도가 동경 용원부로 잠시 옮겨졌다가 성왕이 다시 이 곳으로 수도를 옮겼다.[1] 발해가 요나라에 멸망한 뒤, 태조 야율아보기는 그 땅에 동란국(東丹國)을 설치했으나 928년(요 태종 천현 3년), 동란국을 요양부로 옮기면서 완전히 버려졌고, 버려진 성은 여진족이 차지하게 되었다.

조선 후기 실학자들이 상경용천부를 영고탑장군의 치소였던 영고탑으로 비정한 이래 헤이룽장성 무단장 시 닝안 현에 있음을 알았으나 정확한 소재지는 찾지 못하다가 만주국중화인민공화국의 고고학 발굴을 통하여 닝안 현 발해진에 있는 고성을 발해의 상경용천부로 비정하게 되었다. 유적으로는 당나라 장안을 본따 만든 것으로 보이는 성터, 도로터, 그리고 왕궁터 등이 있으며 그 안에서 치미, 수막새와 같은 발해시대의 유물들이 발굴되었다.

Remove ads

행정구역

용주(龍州), 호주(湖州), 발주(渤州)의 3개 속주를 관할했다.

자세한 정보 주명, 한자 ...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