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홍콩 성시 대학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홍콩성시대학(영어: City University of Hong Kong; CityU HK, 중국어: 香港城市大學) 또는 홍콩시립대학은 홍콩에 위치한 연구 중심의 세계 명문 국립대학이다.


1984년에 홍콩성시이공대학(City Polytechnic of Hong Kong, 香港城市理工大學)으로 설립되었으며, 1994년에 종합 대학으로 인가를 받아 현재의 교명인 홍콩성시대학으로 변경하였다.
총장은 ‘존 리’, 표어는 '책임과 공동체 의식'(敬業樂群, Officium et Civitas)이다. 50개 이상의 학사 과정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경영학, 인문사회과학, 과학과 공학, 방송매체학, 에너지와 환경학, 수의학, 그리고 법학 등이 있다. 대학원 과정은 저우예칭 대학원을 통해 이루어진다. 또한 홍콩 성시 대학 부설 사회교육원인 지속직업교육학교(SCOPE)는 전문직을 위한 수준 높은 평생 교육을 제공한다. 전문 교육과 학술 연구에서 선두적인 세계 최상의 중추가 되려는 목표를 가지고 홍콩 성시 대학은 모든 분야에 걸쳐 고속 성장을 하고 있으며, 짧은 기간 안에 홍콩에서 유명한 4개의 대학 중 하나가 되었다.[1]
홍콩성시대학은 QS 세계 대학 순위에서 발표하는 순위에서 세계 48위를 차지하였다. 홍콩성시대학 경영대학은 국제경영대학발전협의회 AACSB 인증과 유럽경영대학협의회 EQUIS 인증, MBA협회의 AMBA 인증을 모두 받았으며, 경영대학 연구 성과 순위 세계 37위, 아시아 2위[2]를 차지하는 등 홍콩성시대학의 교수진은 세계적인 수준으로 평가받고 있다.
홍콩성시대학은 세계의 대학들과의 교류가 활발하며 컬럼비아 대학교 등과 복수학위 제도를 운영하고 있고, 대한민국의 서울대학교, 연세대학교 및 한국과학기술원(KAIST), 서강대학교 등과 학생교류를 하고 있다.
Remove ads
역사
홍콩성시대학의 역사는 1972년에 홍콩 이공학원이 세워진 뒤부터 있었던 두 번째 공과대학을 세우고자 하는 움직임에서부터 시작한다. 1984년 10월 8일 홍콩성시이공대학이 문을 열었으며 480명의 정규 학생들과 680명의 시간제 학생들이 입학했다. 1994년에는 종합 대학 인가를 받고 오늘날의 이름인 홍콩성시대학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캠퍼스
홍콩성시대학은 탓치 가(Tat Chee Avenue)에 위치해있으며, MTR 가우룽통 역(동철선 / 군통 선)과 페스티벌 워크 백화점과 가까이 있다. 아카데믹 1과 아카데믹 2, 칭강악루(Amenities Building), 몽만와이(Mong Man-wai Building), 퐁윤와(Fong Yun-wah Building), 청익치(Cheng Yick-chi Building)와 학술교류빌딩(Academic Exchange Building), 후파쾅 스포츠 센터(Hu Fa Kwang Sports Centre), 두개의 상급 직원 구역(남산위안, 더츠위안), 런런 쇼 크리에이티브 미디어 센터(Run Run Shaw Creative Media Centre), 그리고 학생기숙사를 포함한 캠퍼스의 면적은 15.6 헥타르이다.
아카데믹 1
아카데믹 1을 포함한 홍콩성시대학의 초기 건물들은 국제 디자인 대회에서 우승한 퍼시 토머스 파트너십과 앨런 피치, W. N. 충이 디자인했다. 시공의 첫 단계는 1990년에 끝났으며 학생을 2만 명까지 수용할 수 있도록 한 두 번째 단계는 1993년에 끝났다. 건물들은 공항 높이 제한 때문에 낮게 지어졌다.[3]
Remove ads
조직[4]
학부 구성
연구소[5]
- 국가중점연구소
- 밀리파 국가중점연구소
- 해양오염 국가중점연구소 보관됨 2018-01-20 - 웨이백 머신
- 대학 연구소
- 응용전략개발연구소
- 반도체 패키징 및 고장분석 신뢰성공학연구소
- 인터넷 및 멀티미디어기술 혁신응용연구소
- 스마트에너지전환 및 활성화연구소
- 홍콩 지속가능연구소
- 홍콩 해사 및 운수법연구소 보관됨 2018-01-20 - 웨이백 머신
- 국제인터넷금융연구소 보관됨 2018-01-06 - 웨이백 머신
- 응용 원헬스 연구 및 정책조언연구소
- 선진원자력안전 및 지속가능발전연구소
교환학생 파트너[6]
요약
관점
아시아
북아메리카
오세아니아
유럽
Remove ads
학교 동문
명성과 순위
순위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