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화계사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화계사(華溪寺)는 서울 강북구 수유동 북한산 자락에 위치한 대한불교조계종 소속의 사찰이다. 조계사의 말사로 편성되어 있다.
Remove ads
역사
고려 광종 때 탄문이 현재의 화계사 인근에 보덕암을 창건하였다. 이후 조선 중종 통치기 1522년에 신월선사가 고려 때부터 있던 암자를 옮겨 건립하였고 화계사로 개명하였다.[1] 광해군 10년(1618년)에 화재로 전소되었다가, 덕흥대원군(광해군의 할아버지) 가문의 도움으로 중수되었다.[2]
흥선대원군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 그에 얽힌 전설이 전해 내려온다. 흥선군이 재야에 있을 때 화계사에서 아버지 남연군의 묘를 이장하라는 말을 듣고 그대로 행했으며, 이로 인해 아들이 왕위에 오르게 되었다는 이야기이다.
소장 문화재
국가 지정 문화재
- 보물 제11-2호 - 사인비구 제작 동종 - 서울화계사동종
- 보물 제1822호 - 서울 화계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시도 지정 문화재
- 서울특별시 시도유형문화재 제65호 - 화계사 대웅전
같이 보기
외부 링크
- 화계사
- 공식 웹사이트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