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화면보호필름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화면보호필름
Remove ads

화면 보호 필름(畫面保護-, 영어: screen protector)은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모니터 등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부착하여 긁힘(스크래치)이나 외부 충격으로부터 화면을 보호하는 얇은 막 형태의 액세서리이다. 단순히 화면을 보호하는 목적 외에도 프라이버시 보호, 블루라이트 차단, 지문 방지 등 다양한 부가 기능을 갖춘 제품들이 있다.

Thumb
화면에 적재하기 전의 화면보호필름
Thumb
보호 필름을 부착한 이후의 스마트폰의 모습

역사

화면 보호 필름의 개념은 1990년대 개인용 정보 단말기(PDA)의 감압식 터치스크린을 보호하기 위해 처음 등장했다. 당시의 스크린은 스타일러스 펜의 압력으로 쉽게 긁힐 수 있었기 때문에, 얇은 플라스틱 필름을 붙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현대적인 의미의 화면 보호 필름은 2000년대 초반, 허버트 슈레겔이 군용 장비의 디스플레이를 보호하기 위해 개발한 것에서 유래했다고 알려져 있다. 이후 2007년 애플 아이폰의 등장으로 정전식 터치스크린을 탑재한 스마트폰이 대중화되면서 화면 보호 필름 시장도 폭발적으로 성장했다. 초기에는 PET 소재의 얇은 필름이 주를 이루었으나, 스마트폰 화면이 대형화되고 소재 기술이 발전하면서 충격 흡수 기능이 뛰어난 TPU 소재나 유리와 비슷한 질감을 제공하는 강화 유리 소재의 보호 필름이 주류로 자리 잡게 되었다.

Remove ads

소재 및 종류

화면 보호 필름은 주로 사용되는 소재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PET 필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소재로 만들어진 가장 기본적인 형태의 필름이다. 가격이 저렴하고 얇아서 부착 후 이질감이 적으며, 화면의 선명도를 잘 유지하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충격 흡수 능력은 거의 없어 낙하 시 파손 방지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렵고, 주로 가벼운 긁힘을 방지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TPU 필름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은 PET보다 유연하고 탄성이 뛰어난 소재이다. 충격 흡수 능력이 우수하여 낙하 시 어느 정도 화면을 보호할 수 있으며, 미세한 긁힘은 시간이 지나면 자연적으로 복원되는 자가 복원 기능을 갖춘 제품도 있다. 유연한 특성 덕분에 곡면 디스플레이(엣지 디스플레이)에도 잘 부착되지만, 부착이 다소 어렵고 표면이 다소 끈적이는 느낌을 주거나 시간이 지나면 노란색으로 변하는 황변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강화 유리

일반 유리를 열처리 또는 화학적 처리를 통해 강도를 높인 강화 유리 소재의 보호 필름이다. 일반 필름에 비해 두께가 있지만, 칼이나 열쇠 등 날카로운 물체에도 긁힘이 잘 발생하지 않는 높은 표면 강도(주로 9H 경도로 표기)를 자랑한다. 또한, 실제 유리와 유사한 촉감과 뛰어난 선명도를 제공하며, 외부 충격을 받으면 기기 액정 대신 스스로 깨지면서 충격을 흡수하여 액정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최근 가장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형태이다.

액상 보호 필름

나노 기술을 이용한 코팅 방식의 보호 필름이다. 액체 형태의 코팅제를 화면에 바르고 닦아내면, 눈에 보이지 않는 얇은 막이 형성되어 긁힘을 방지한다고 알려져 있다. 부착 과정에서 기포나 먼지가 들어갈 걱정이 없고 기기 본연의 모습을 해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지만, 보호 성능에 대한 논란이 있으며 한번 시공하면 제거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Remove ads

주요 기능

화면 보호 필름은 기본적인 화면 보호 외에 다음과 같은 부가 기능을 제공하기도 한다.

  • 프라이버시 보호: 마이크로루버 기술을 적용하여 정면에서는 화면이 잘 보이지만, 측면에서는 화면이 어둡게 보여 대중교통 등에서 타인이 화면을 엿보는 것을 방지한다.
  • 블루라이트 차단: 디스플레이에서 방출되는 유해한 청색광을 일부 차단하여 눈의 피로를 줄여주는 기능이다.
  • 안티글레어 / 지문 방지: 필름 표면을 무광 처리하여 빛 반사를 줄여주고, 유분이나 지문이 잘 묻지 않도록 한다. 다만, 화면의 선명도가 다소 저하될 수 있다.
  • 올레포빅 코팅: 필름 표면에 기름과 오염에 강한 코팅을 적용하여 지문이나 화장품 등이 묻었을 때 쉽게 닦아낼 수 있도록 돕는다. 대부분의 강화 유리 필름에 기본적으로 적용되어 있다.

장단점

자세한 정보 장점, 단점 ...

현대 사회에서의 필요성

코닝 사의 고릴라 글래스와 같이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자체의 내구성이 크게 향상되면서 화면 보호 필름이 불필요하다는 '생폰' 사용자들도 늘어나고 있다. 이들은 보호 필름이 기기 본연의 디자인과 부드러운 터치감을 해친다고 주장한다.

반면, 수십만 원에 달하는 액정 교체 비용에 대한 부담과 일상생활 속에서 발생하는 미세한 긁힘을 예방하기 위해 여전히 보호 필름이 필수적이라는 의견도 지배적이다. 특히 스마트폰을 자주 떨어뜨리거나 험하게 다루는 사용자, 또는 기기를 깨끗하게 오래 사용해 중고로 판매하려는 사용자에게는 심리적 안정감과 실질적인 보호 효과를 제공한다.

결론적으로 화면 보호 필름의 부착 여부는 개인의 사용 습관, 위험 감수 정도, 그리고 기기 본연의 사용자 경험과 보호 기능 사이의 선호도에 따른 개인적인 선택의 문제라고 할 수 있다.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