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화성시의 행정 구역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화성시의 행정 구역은 4읍 9면 16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화성시의 인구는 2024년 8월을 기준으로 412,269세대, 958,444명이며, 인구 100만명에 버금가는 대도시다.[1]
행정 구역

* 인구·세대는 2018년 1월 31일 기준
Remove ads
법정동·리
Remove ads
역사
- 1949년 8월 14일 수원읍이 수원부로 분리·승격하였고, 수원군이 화성군으로 개칭되었다.(19면)[3]
- 1949년 8월 15일 : 음덕면을 남양면으로 개칭하였다.[4]
- 1960년 1월 1일 : 오산면이 오산읍으로 승격하였다.(1읍 18면)[5]
- 1963년 1월 1일 : 일왕면 · 태장면 · 안룡면 각 일부가 수원시로 편입되고, 일왕면은 의왕면으로 개칭하여 시흥군에 편입되었고, 태장면과 안룡면은 태안면으로 합면하였다.(1읍 16면)[6]
- 1970년 6월 10일 : 군청사를 수원시에서 오산읍으로 이전하였다.
- 1983년 2월 15일 : 반월면 월암리·초평리를 시흥군 의왕읍에 편입하고, 비봉면 상기리를 봉담면에 편입하였다.[7]
- 1985년 10월 1일 : 태안면이 태안읍으로 승격하였다.(2읍 15면)[8]
- 1986년 1월 1일 : 반월면 일부를 신설된 안산시에 편입하였다.[9]
- 1987년 1월 1일 : 서신면 칠곡리가 송산면에 편입되었다. 팔탄면 지월리 일부가 향남면에 편입되어 장짐리가 신설되고, 동탄면 금곡리가 오산읍에 편입되어 은계리가 신설되었다. 매송면 금곡리, 호매실리가 수원시에, 양감면 고렴리가 평택군에 각각 편입되었다.[10]
- 1989년 1월 1일 : 오산읍이 오산시로 승격하여 화성군에서 분리되었다.(1읍 15면)[11]
- 1994년 12월 26일 : 태안읍 영통리·신리 일부·망포리 일부, 반월면 입북리·당수리가 수원시에, 반월면 건건리·사사리·팔곡1리가 안산시에, 반월면 둔대리·대야미리·속달리·도마교리가 군포시에 각각 편입되었다. 이로써 반월면은 폐지되었다.(1읍 14면)[12]
- 1995년 4월 20일 : 태안읍 신리·망포리가 수원시에 편입되었다.[13]
- 1998년 4월 1일 : 봉담면이 봉담읍으로 승격하였다.(2읍 13면)[14]
- 2000년 11월 1일 : 군청사를 오산시 오산동에서 남양면 남양리로 이전하였다.[15]
- 2001년 3월 21일 : 화성군이 화성시로 승격하였다.[16] 이와 함께 태안읍과 동탄면, 정남면을 관리하는 동부출장소를 설치하고, 남양면이 남양동으로 전환하였다.(2읍 12면 1동)[17]
- 2003년 6월 14일 : 우정면이 우정읍으로 승격하였다.(3읍 11면 1동)[18]
- 2006년 1월 2일 : 태안읍을 폐지하고, 진안동(법정동:진안동·능동·기산동·반정동), 병점1동(법정동:병정동 일부), 병점2동(법정동:병점동 일부), 반월동(법정동:반월동), 기배동(법정동:기안동·배양동), 화산동(법정동:황계동·송산동·안녕동) 등 6개 동으로 분리·전환하였다.(2읍 11면 7동)[19]
- 2007년 1월 29일 : 향남면이 향남읍으로 승격하고, 동탄면 반송리·석우리와 능동에 동탄동이 설치되었다.(3읍 10면 8동)[20]
- 2008년 3월 3일 : 동탄동이 동탄1동·동탄2동으로 분리되었다.(3읍 10면 9동)[21]
- 2009년 6월 8일 : 동탄3동이 동탄1동에서 분동하였다.(3읍 10면 10동)[22]
- 2014년 10월 20일 : 남양동이 남양읍으로 전환되었다.(4읍 10면 9동)[23][24]
- 2015년 1월 2일 : 동탄면 영천리·청계리·오산리에 중리·목리·산척리·방교리의 각 일부를 편입하여 동탄4동(법정동:영천동·청계동·오산동)이 설치되었다.(4읍 10면 10동)
- 2018년 1월 22일 : 송산그린시티 동측 지구에 새솔동을 설치하고, 동탄면·동탄4동을 동탄4동·동탄5동·동탄6동으로 개편하였다.(4읍 9면 13동)[25]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