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내분비계 장애물질

내분비계나 호르몬에 간섭하는 화학 물질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내분비계 장애/교란물질(內分泌界障碍/攪亂物質, 영어: endocrine disruptors, hormonally active agents,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 endocrine disrupting compounds (EDCs))은 생체 외부에서 들어와 내분비 기관 안에서 호르몬의 생리 작용을 교란시키는 화합물을 말한다. 주로, 환경 호르몬이라는 일본식 용어로 더 잘 알려져 있다. 외인성 내분비 교란물질이라고도 부른다.

인체의 내분비계에 작용해 정상발육을 가로막고 숫컷의 정자수를 감소시키는 등 생식기능에 이상을 초래하여 숫컷을 암컷으로 전환시키는 물질을 일컫는다. 70여 종의 화학물질이 여기에 해당된다. 극소량만으로도 생식기능에 악영향을 미치며 일상생활에 접하는 거의 모든 제품에 포함돼 있다는 데 심각한 문제를 가지고 있다.[1]

환경 호르몬은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대표적으로 비스페놀A(BPA), 프탈레이트(Phthalates), 다이옥신(dioxin), 폴리염화비페닐(PCB) 등이 있으며, 각각 생산·사용되는 분야가 다르다. 또한, 산업 공정이나 농약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흙, 물, 공기 중에 퍼지기도 한다.

플라스틱 제품(식품 용기, 물병 등): 고온에 노출되거나 스크래치가 심한 경우 BPA가 용출될 수 있다.

화장품 및 생활용품(샴푸, 로션, 세제 등): 방부제나 합성향료 등에 프탈레이트 등 환경 호르몬 유발 물질이 함유될 수 있다.

가공식품 포장재: 통조림 내부 코팅제, 일회용 컵 등에 환경 호르몬이 포함될 수 있다.

산업 공정 및 대기 오염: 공장 매연, 농약, 각종 화학약품 배출로 인해 토양과 수질을 오염시키며, 이를 통해 간접적으로 우리 식탁까지 침투한다.[2]

다수의 가정 및 산업용 제품에서 발견되는 내분비 교란물질은 "신체 내 자연호르몬의 합성, 분비, 운반, 결합, 작용, 또는 항상성(정상세포 대사)의 발달, 행동, 유지에 책임이 있는 물질이다." 이를 호르몬 활성제, 내분비교란 화학물질, 내분비 교란 화합물이라고 한다. 이러한 물질을 묘사하는 데 사용되는 용어의 다양성은 의미 범위에 더하여 내분비 교란체가 해로운 영향을 강조하는 반면 호르몬적으로 활성제 또는 제노호르몬은 약리학들의 원리에 따라 선량의 독을 만든다.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