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엘 나스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엘나스[10] 또는 황소자리 베타(β Tau)는 겉보기 등급 1.65로 황소자리에서 두 번째로 가장 밝은 별이다.(알파별은 알데바란) 이 별은 지구로부터 134 광년 떨어져 있으며 화학적으로 특이한 성질을 보이는 분광형 B7의 거성이다.
Remove ads
항성 이름
이 별에는 바이어 명칭으로 황소자리 베타와 마차부자리 감마 두 개가 있다. 프톨레미는 엘나스를 마차부자리 구성원으로 넣었으며 요한 바이어는 마차부자리와 황소자리 두 영역에 모두 포함시켰다. 1930년 현대 별자리의 영역이 확립되면서 '마차부자리 감마' 명칭은 거의 쓰이지 않고 있다.[11]
전통적으로 불려오던 애칭 엘나스(엘 나스 또는 알나스)는 아랍어 단어 النطح (안-나스, '황소의 두 뿔')에서 유래한 것이다. 다수(전부는 아님)의 아랍어 항성명칭처럼 관사 ال는 문자 그대로 엘(el)로 번역되지만, 이 관사는 아랍어 발음에서 뒤에 오는 n에 동화되어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항성 명칭을 '나스'로 줄여 부를 수 있다. 2016년 국제천문연맹은 항성의 고유명칭들을 정리하고 표준화 할 목적으로 산하에 항성명칭심의위원회(WGSN)를 조직했다.[12] WGSN은 2016년 7월 공식 인증된 항성명칭 목록을 최초로 공표했고 엘나스 또한 여기에 포함되었다.[13]
동아시아 별자리에서 엘나스는 필수(畢宿)에서 오거(五車, 다섯 수레)에 속해 있다. 오거는 엘나스, 마차부자리 이오타, 카펠라, 마차부자리 베타, 마차부자리 세타로 이루어져 있다.[14] 이 중 엘나스를 단독으로 부르는 명칭은 오거오(五車五)로 '오거 중 다섯 번째 별'이라는 뜻이다.[15]
Remove ads
특징
엘나스의 절대등급은 -1.34로 같은 별자리에 있는 플레이아데스 성단의 구성원 중 마이아와 비슷하다. 마이아처럼 엘나스 역시 B 분광형의 거성으로 밝기는 태양광도의 700 배이다.[5] 엘나스는 주계열 단계를 떠나 거성으로 진화한 상태로, 주계열 시절에 비해 부피는 커졌으나 표면 온도는 내려간 상태이다.[16] 다만 엘나스는 지구로부터 130 광년 떨어져 있어 거의 세 배 가까이 먼 마이아(360 광년)보다 우리 눈에 더 밝게 보인다.
엘나스는 수은-망가니즈 항성으로 자기장 활동이 나타나지 않으며 스펙트럼상 몇몇 무거운 원소들의 특징이 강렬하게 나타나 화학적으로 특이한 성질을 보여준다.[9] 엘나스는 대기 중 망간의 함량 비율이 태양보다 상대적으로 매우 높지만 칼슘과 마그네슘이 차지하는 비율은 태양보다 작다.[5][17] 이 별의 스펙트럼에는 수은의 특징이 그다지 강하게 드러나지 않으나 실리콘과 크로뮴의 존재는 뚜렷하게 나타나므로 일부 논문 저자들은 엘나스에 'SrCrEu 별' 또는 'Ap 별' 분광형을 부여하기도 했다.[18][19]
엘나스는 천구상 은하반중심방향으로부터 수 도 떨어진 곳에 있는데 이 곳에는 M36, M37, M38처럼 성운 및 성단이 다수 자리잡고 있다.[20] 가끔 달이 별을 가리기도 하는데 이런 엄폐 현상은 2007년의 경우처럼 달의 승교점이 춘분점 근처에 있을 때 발생한다. 엘나스는 달의 엄폐영역 중 북쪽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엄폐는 남반구에서만 볼 수 있다. 다만 드물게 캘리포니아주 남단에서도 관측이 가능한 경우가 있다.[21]
Remove ads
동반천체
동반천체로 추정되는 어두운 별이 엘나스에 가까이 붙어 있다. 안시이중성 BD+28 795B도 있는데 이 별의 위치각은 239도이며 주성(主星)으로부터 33.4 초각 떨어져 있다.[22][23]
엘나스의 갈색왜성 및 행성 동반천체를 찾는 과정에서 더 가깝고 어두운 별 여섯 개를 찾아냈지만 이들 모두 중력으로 묶이지 않아 단순한 배경 천체로 보인다.[24]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