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황정근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황정근(1961년 2월 3일~)은 대한민국의 법조인·공무원이다. 1989년 법관으로 임용되어 각급 법원과 대법원 재판연구관을 거쳤고, 2004년부터 변호사로 활동하였다. 2024년 12월 31일부터 국회도서관 관장으로 재임 중이다.[1][9]
Remove ads
개요
경상북도 예천군 출신으로 대성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였다.[2] 법관 재직 후 김앤장 법률사무소 변호사로 전직하였고, 2017년 법무법인 소백을 설립해 대표변호사를 맡았다.[3][5] 2024년 12월 31일 제24대 국회도서관장으로 임명·취임하였다.[9]
생애
경상북도 예천군에서 태어나 예천동부초등학교·연희중학교를 다녔고, 서울 대성고등학교를 졸업하였다.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에서 법학 학사를 취득하였다.[2]
법관 시절 (1989–2004)
제25회 사법시험 합격(사법연수원 15기) 후 1989년 판사로 임용되었다. 서울민사지방법원, 서울지방법원 남부지원, 대전지방법원 서산지원, 서울지방법원 서부지원, 법원행정처 송무심의관, 서울고등법원 판사, 창원지방법원 진주지원 부장판사, 대법원 재판연구관(부장판사급) 등을 역임하였다.[3]
변호사 활동 (2004–2017)
2004년부터 김앤장 법률사무소에서 활동하며 선거법·정치 분야 사건을 다수 수행하였다. 이 시기 칼럼과 저술 활동을 병행하였다.[3]
법무법인 소백 (2017–2024)
2017년 법무법인 소백을 설립해 대표변호사를 맡았다.[5] 2018년 3월 ㈜루멘스 사외이사로 선임되었고,[1] 2021년 3월 임기만료로 퇴임하였다.[6] 2006년에는 법률신문 논설위원으로 위촉되어 오피니언 활동을 시작하였다.[4]
정당·공직 (2023– )
2023년 4월 국민의힘 중앙윤리위원장으로서 징계 심의·의결 절차를 주관하였다.[7] 2023년 5월 윤리위원회는 태영호와 김재원에 대해 각각 3개월, 1년의 당원권 정지를 의결하였다.[10][11] 2014년 7월에는 국회의장 직속 국회개혁자문위원회 위원으로 위촉되었다.[12][13] 2021년 11월 대통령소속 군사망사고진상규명위원회 고문변호사로 위촉되었다.[14] 2024년 9월 「10·29 이태원참사 진상규명과 재발방지를 위한 특별조사위원회」 비상임 위원으로 위촉되었고,[8] 같은 해 12월 31일 제24대 국회도서관장으로 임명·취임하였다.[9]
주요 활동
정책 방향
국회도서관장 취임 이후 도서관 간행물 발행인으로서 출판·기획 사업을 총괄하고,[15][16] 지역 분관 유치 논의 등 서비스 외연 확대와 관련한 이슈에도 대응하였다.[17]
사법·행정 현안과 관련해 소액 사건 기준의 현실성, 기관의 독립성과 역할 분담 등을 강조하는 견해를 제시하였다.[18][19]
성과
국회도서관장으로서 기획 간행물과 팩트북 시리즈 발간을 추진하였다(예: 『문서로 읽는 대한민국 헌정사』).[20][15][16]
평가
법조 경력과 오피니언 활동을 병행한 점에서 “법조계 대표 논객”으로 소개되었다.[3]
논란
2023년 국민의힘 중앙윤리위원장 재임 중, 태영호·김재원 징계 수위를 둘러싼 당내 논쟁이 있었으며, 윤리위는 최종적으로 각각 3개월·1년의 당원권 정지를 의결하였다.[7][10][11]
개인사
모친 박규옥은 2025년 9월 21일 별세하였다.[21] 가족과 함께 2017년 법무법인 소백을 설립·운영하였다.[22]
저서
전임·후임
전임 이양희 |
국민의힘 중앙윤리위원장 2023년 4월~2024년 6월 |
후임 이용구 |
전임 이명우 |
제24대 국회도서관장 2025년 1월 1일~ |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