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회개 (기독교)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회개는 기독교 신자가 자신의 죄를 인정하고 죄에서 떠나는 구원의 한 순서이다. 회개는 날마다 하는 것이며, 회심은 일생에 한번 하는 것으로 하나님께 돌아서는 행위이다. 따라서 회심후에 회개는 자주 하는 것이다. 구원의 순서의 뚜렷한 단계로서 그 위치는 논쟁의 여지가 있다. 일부 신학 전통에서는 그것이 신앙 이전에 발생한다고 주장하고, 개혁주의 신학에서는 그것이 신앙 후에 발생한다고 주장한다다.[1] 가톨릭 신학, 루터교 신학, 정교회 신학, 성공회 신학에서 회개는 고백과 사면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2][3]
근원
히브리 성경에서 회개라는 용어는 "돌아서다"를 의미하는 히브리어 단어 그룹에서 유래했다.[4] :1007 데이비드 램버트(David Lambert)는 "랍비 유대교와 초기 기독교의 저술에서 신흥 종교 어휘의 기본 항목인 기술 용어의 지위를 획득했습니다"라고 주장한다.[5]
신약에서 세례 요한은 연설 중 회개를 촉구했다.[6] 예수 그리스도 또한 구원을 위한 복음을 선포할 때 회개를 촉구했다.[7] 그것은 베드로 와 사도 바울의 설교의 초점이기도 했다.[8]
신약에서 μετανοέΩ/metanoeo는 후회를 의미할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죄에서 돌아서는 것으로 번역된다(마태복음 3:2).[4] :1007신학적으로 '회개', 즉 죄에서 돌이키는 것은 이에 일치하며 하나님을 믿는 믿음으로의 전환과 연결된다.[4] :1008
Remove ads
신학
요약
관점
카톨릭교
로마 카톨릭 신학에서는 회개가 죄를 사함의 기본이다.
개신교
루터교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 (라틴어에서는 Confessio Augustana 로 알려짐)은 루터교에서 사용되는 주요 신앙고백이다. 개신교 종교개혁의 가장 중요한 문서 중 하나이다. 회개는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 "하나는 통회, 즉 죄에 대한 지식으로 인해 양심을 치는 공포다."
- "다른 하나는 믿음, 복음이나 사면에서 태어나 그리스도로 인해 죄가 용서되고 양심을 위로하며 공포에서 구원받는다는 것이다."[10]
개혁주의

개혁 전통에서 존 칼빈은 회개는 "하나님에 대한 진지한 두려움에서 출발하고 육신과 옛 사람을 죽이며, 성령으로 인한 영의 살림"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한 "우리가 제시한 정의를 확대하고 설명하는 것이 유용할 것이다. 특히 고려해야 할 세 가지 사항이 있다"라고 말했다.
우선, 우리가 회개를 '하나님을 향한 삶의 전환'이라고 부를 때, 우리는 외적인 행동뿐만 아니라 영혼 내의 변화도 요구하는 것이다. 옛 본성을 벗어버린 후에는 그 혁신에 상응하는 행동의 열매를 맺어야 한다....
둘째로, 우리는 회개가 하나님에 대한 심각한 두려움에서 나오는 것임을 표현했다. 죄인의 마음이 회개할 수 있으려면 먼저 하나님의 심판에 대한 지식으로 자극을 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셋째로, 회개는 두 부분, 즉 육신의 죽임과 영의 살림으로 구성된다는 우리의 입장을 설명해야 한다.... 회개의 이 두 가지는 우리가 그리스도에 참여하는 데 영향을 미친다. 만일 우리가 그의 죽으심에 참여하면 우리 옛 사람이 그 권세로 십자가에 못 박혀 죽고 죄의 몸이 멸절하리니 이는 우리의 부패한 성품이 그 활력을 모두 잃음이니라.... 만일 우리가 그의 부활에 참여하는 자라면, 그 부활로 말미암아 하나님의 의에 상응하는 새 생명으로 일으킴을 받는 것이다. " [Hugh T. Kerr가 편집한 John Calvin의 A Compend of the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에서 인용, The Westminster Press-Philadelphia 1939.]
감리교
감리교 신학에서는 회개에 대해 이렇게 표현한다:
"하나님께 대한 참된 회개는 죄를 알고, 후회하고, 자백하고, 버리는 것이다. 이는 진리를 통해 하나님의 선하심과 준엄하심을 알고, 성령의 확신을 주시는 능력으로 말미암는 것이다." (마 3:2; 행 20:21; 고후 7:10, 11; 요한일서 1:9; 첫 번째 절). —종교 조항, 임마누엘 선교 교회
Remove ads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