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훈민정음의 치두음과 정치음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훈민정음의 치두음과 정치음은 중국어의 다른 두 치음을 표기하기 위해 ㅅ, ㅆ, ㅈ, ㅉ, ㅊ의 왼쪽과 오른쪽 획의 길이를 다르게 한 글자를 말한다. 훈민정음에는 없지만, 훈민정음보다 나중에 펴낸 훈민정음 언해에서 처음 도입되었다.
종류
치음 | ㅅ | ㅆ | ㅈ | ㅉ | ㅊ |
치두음 | ᄼ | ᄽ | ᅎ | ᅏ | ᅔ |
心 | 邪 | 精 | 從 | 淸 | |
/s/ | /z/ | /ts/ | /dz/ | /tsʰ/ | |
정치음 | ᄾ | ᄿ | ᅐ | ᅑ | ᅕ |
審 | 禪 | 照 | 牀 | 穿 | |
/ɕ/ | /ʑ/ | /tɕ/ | /dʑ/ | /tɕʰ/ |
치두음과 정치음은 각각 현대 음성학의 치경음과 치경구개음에 해당한다. 닿소리의 이름은 각각 치두음시옷, 치두음쌍시옷, 치두음지읒, 치두음쌍지읒, 치두음치읓, 정치음시옷, 정치음쌍시옷, 정치음지읒, 정치음쌍지읒, 정치음치읓이다.
닿소리를 유니코드로 나타내면 각각 다음과 같다.
![]() |
이 글은 문자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Remove ad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