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흰목덜미망가베이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흰목덜미망가베이
Remove ads

흰목덜미망가베이 (Cercocebus lunulatus)는 긴꼬리원숭이과에 속하는 영장류의 일종이다. 코트디부아르 중부와 동부, 부르키나파소 남서부 그리고 가나의 사산드라강과 볼타강 사이의 산림에서 서식한다. 삼림 벌채와 사냥으로 인해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으며,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이 절멸위급종으로 분류하고 있다. 한때는 검댕망가베이의 아종으로 간주했지만, 현재는 별도의 종으로 분류한다.[1][2][3][4]

간략 정보 흰목덜미망가베이, 생물 분류ℹ️ ...
Remove ads

특징

흰목덜미망가베이는 머리부터 몸통까지 몸길이가 암컷 약 47.4~51cm, 수컷 약 52~73cm, 꼬리 평균 길이는 암컷 약 68cm, 수컷 약 67.5~74cm이며, 몸무게는 암컷 약 3.9~6.3kg, 수컷 약 7.1~11.8kg이다. 암컷 흰목덜미망가베이는 암컷 검댕망가베이와 크기가 같지만, 수컷 흰목덜미망가베이는 훨씬 더 크다. 등과 꼬리, 팔다리, 손, 발의 바깥쪽 표면은 갈색부터 짙은 회색까지 띤다. 아랫면, 팔다리 안쪽, 목은 흰색이다. 얼굴은 회색빛이 도는 분홍빛을 띠며 검은망가베이보다 더 어두운 색을 띤다. 흰목덜미망가베이는 머리 부분에 눈에 띄는 털 뭉치가 있고, 머리 뒤쪽에는 초승달 모양의 흰색 반점이 있는데, 이 때문에 일반명과 학명 C. lunulatus가 유래했다.[5]

생활사

흰목덜미망가베이는 1차림과 2차, 건조림, 대상림 그리고 맹그로브 숲에 서식하며, 주로 숲의 저지대에서 서식한다. 여러 마리의 성체 수컷과 암컷 그리고 그들의 새끼들로 이루어진 무리를 지어 생활한다. 무리의 크기는 3마리에서 58마리까지이며, 일반적인 서식지 면적은 약 200헥타르다. 흰목덜미망가베이는 주로 열매와 씨앗, 기타 식물 그리고 작은 동물을 먹는다. 암컷의 월경 주기는 약 30일이며, 약 170일의 임신 기간 후에 한 마리의 새끼를 낳는다.[5]

보전상태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은 흰목덜미망가베이를 절멸위기종으로 분류한다. 인간의 야생 동물 고기 사냥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현재 서식지는 불분명하고 단편화되어 있다. 2000년에서 2006년 사이 IUCN은 흰목덜미망가베이를 25종의 가장 심각한 멸종 위기에 처한 영장류 중 하나로 지정했는데, 이 기간 동안 코트디부아르 동부와 가나 서부에서 거의 완전히 사라졌기 때문이다.[1]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