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힌두교 경전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힌두교에는 방대한 양의 경전이 있으며, 이 경전들은 인도철기 시대("베다 시대: 1500-500 BC")에 성립된 베다를 근간으로 하여 형성되었다. 힌두교 경전성립 순서에 따라 구분할 수도 있으나, 전체 구성적인 측면에서 전통적으로 크게 슈루티("계시된 것")와 스므리티("기억된 것")로 구분한다.[1]

힌두교 전통에 따르면, 슈루티의 각 문헌은 고대의 리쉬(Rishi · "현자")가 우주적인 진리의 소리를 직접 들은("계시") 후 그것을 사람들이 이해할 수 있는 문자로 옮김으로써 최초로 성립된 것이다.[2] 반면 스므리티슈루티를 바탕으로하여 2차적으로 성립된 것으로, 해당 스므리티 문헌의 저술자 자신의 총체적인 지식("기억")에 근거하여 최초로 성립된 후 스승과 제자의 관계를 통해 전승된 것이다.

힌두교의 입장에서, 슈루티는 결코 변함이 없는 영원한 원리("Sanātana Dharma · 사나타나 다르마")들을 다룬 문헌이며, 스므리티슈루티 속에 진술된 영원한 원리들의 실천적인 적용 또는 응용을 다룬 문헌이다.[1]

Remove ads

슈루티

슈루티삼히타 · 브라마나 · 아란야카 · 우파니샤드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삼히타는 《리그베다·야주르베다·사마베다·아타르바베다》의 4종의 베다 정전(正典)을 가리킨다. 이 4종의 베다투리야라고 하며, 브라마나 · 아란야카 · 우파니샤드 등의 다른 모든 베다 문헌투리야를 중심으로 형성되었으며 또한 투리야는 그 중에서 《리그베다》를 기초로 하여 형성되었다.[3]

슈루티 중, 우주의 궁극적인 실재("브라만")와 개인의 진정한 자아("아트만")가 하나라는 범아일여(梵我一如)의 사상을 주창한 신비적 · 밀교적 문헌인 우파니샤드베다 시대 말기인 기원전 700년부터 500년 사이에 "집성(集成)"된 것으로,[4] 힌두교의 여섯 정통(正統) 사상("아스티카")인 육파 철학은 모두가 우파니샤드의 발전적 산물이다.[5] 또한 우파니샤드는 이후의 아드바이타 베단타 · 비슈누파 · 시바파 · 샤크티파 등 후대의 힌두 철학과 종교 전반에 큰 영향을 끼쳤다.

Remove ads

스므리티

스므리티에는 크게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참고 문헌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