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10 히기에이아

소행성대의 소행성이다.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10 히기에이아
Remove ads

10 히기에이아(10 Hygiea)는 소행성대의 소행성 중 하나이다. 직사각형 형태를 띠고 있으며, 지름은 350~500 km, 그리고 소행성대 전체 질량의 2.9%를 차지한다.[1] C형 소행성 중에서 제일 크며 탄소질의 표면이 있다.

간략 정보 발견, 발견자 ...
Remove ads

발견과 명명

주변에서 가장 큰 천체이지만, 어두운 표면과 태양으로부터의 거리 때문에, 지구에서는 매우 어둡게 보인다. 때문에, 다른 소행성보다 늦게 발견됐는데, 1849년 4월 12일, 나폴리에서 아니발레 데 가스파리스가 발견했다.[2] 그리고 나폴리 천문대의 대장인 어네스토 카포치가 이름을 붙였다.

히기에이아라는 이름은 그리스 신화의 건강의 여신에서 따왔다.[3]

물리적 특성

히기에이아의 표면은 탄소질의 물질로 이루어져 있다. 표면에서 물의 흔적이 발견됐는데, 이는 과거에 큰 용융 현상으로 물이 있었다는 것을 알려준다.[3] 히기에이아의 원시적인 표면에서 태양계의 형성 초기에 히기에이아의 표면은 녹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3]

히기에이아 족의 주체이고 군 전체 질량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히기에이아를 관측하기 위해서는 근일점에 위치했을 때를 기준으로, 최소한 구경 1 m의 망원경이 필요하다. 10x50 배율의 쌍안경으로 관측할 수도 있다.

최소한 히기에이아의 5번의 엄폐 현상으로 지구에 추적됐다.[4] 그러나 모두 독립적인 관측으로 인한 측정으로 인해 정확한 형태를 계측할 수 없었다. 허블 우주 망원경으로 히기에이아를 뚜렷히 볼 수 있었다.[5]

참고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