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략 정보 해1390년 1391년 1392년 - 1393년 - 1394년 1395년 1396년 연대1370년대 1380년대 - 1390년대 - 1400년대 1410년대 세기12세기 13세기 - 14세기 - 15세기 16세기 닫기 간략 정보 서기 1393년의 다른 기년법 간지 임신년~계유년 단기 3726년 그레고리력 1393년 MCCCXCIII 불기 1937년 이슬람력 795–796 황기 2053년 히브리력 5153~5154 아시리아력 6143년 에티오피아력 1387~1388 닫기 연호 명(明) 홍무(洪武) 26년 일본(日本) 메이토쿠(明徳) 4년 쩐 왕조(陳朝) 꽝타이(光泰) 6년 기년 명(明) 태조 홍무제(太祖 洪武帝) 26년 조선(朝鮮) 태조(太祖) 2년 쩐 왕조(陳朝) 순종(順宗) 6년 사건 3월 27일(음력 2월 15일) - 조선왕조가 조선을 국호로 사용하다.[1] 정종 (조선) 영안대군이 황해도 문화현에 침입한 왜구를 토벌하다. 정종 (조선) 영안대군이 황해도 영녕현에 침입한 왜구를 토벌하다. 음력 11월 28일 - 도평의사사에서 왜적 피해가 줄어 든 것이 병선의 위력이라고 보고하였다.[2] 탄생 월일 미상 - 조선의 권규(權跬) 사망 음력 6월 24일 - 조선의 판삼사사(判三司事) 윤호 음력 9월 17일 - 조선의 병조전서(兵曹典書) 윤소종(尹紹宗) 음력 12월 13일 - 조선의 진안군(鎭安君) 이방우(李芳雨) 각주Loading content...참고 문헌Loading content...Loading related searches...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