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1988년 하계 올림픽 나라별 기수

위키미디어 목록 항목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1988년 하계 올림픽 개막식 중 선수 입장 행사에서는 올림픽에 참가하는 국가의 선수단이 자국의 국기를 앞세워 입장하였다. 국기를 든 기수는 해당 국가 올림픽 위원회 또는 선수단에서 선택한 각 국가의 선수였다.

입장 순서

근대 올림픽최초 개최지로서 그리스가 제일 먼저 입장하였으며, 대한민국은 개최국으로 마지막에 입장하였다. 나머지 국가는 국제 올림픽 위원회의 지침에 따라 개최국의 언어인 한국어문자 순서(가나다순)에 따라 입장하였다.[1]

대부분 국가는 국명을 그대로 사용하였으나, 정치적 문제로 인해 다른 이름을 사용한 사례가 있다. 중화민국(대만)은 차이니즈 이페이라는 이름으로 "타"에 맞추어 입장하였으며, 화인민공화국(중국)은 "중"에 맞추어 입장하였다.

"이" 근방에서는 국가 간의 분쟁으로 인해 순서가 상당수 바뀌었다. 가나다순에 따르면 이라크 → 이란 → 이스라엘 → 이집트 → 이탈리아 → 인도 → 인도네시아 → 일본으로 이어지나, 이란은 뒤로 3번, 이스라엘은 뒤로 5번 옮겨 둘 사이에 두 나라가 들어가게끔 조정되었다. 최종적인 입장 순서는 이라크 → 이집트 → 이탈리아 → 인도 → 이란 → 인도네시아 → 일본 → 이스라엘이었다.

또한 일부 국가의 입장 순서는 가나다순에 맞지 않는 경우가 있었는데, 적도 기니는 "기"에, 파푸아뉴기니는 "뉴"에, 엘살바도르는 "살"에 맞추어 각각 입장했으며, 태국은 "타이"라는 이름을 사용하면서도 "타일랜드"에 맞추어 입장하였다. 그 외에 미국령 버진아일랜드와 영국령 버진아일랜드는 둘 다 "버"에, 서사모아와 미국령 사모아(아메리칸사모아)는 둘 다 "사"에 맞추어 각각 입장했다.

총합하여 160개국 8,391명이 개막식에 참가하였다.[2][3] 남예멘(예멘 민주 공화국), 몰디브, 바누아투, 브루나이, 세인트빈센트그레나딘, 아루바, 아메리칸사모아(미국령 사모아), 쿡 제도는 최초로 올림픽에 참가하였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동맹국 쿠바는 올림픽을 보이콧하였으며, 세이셸, 알바니아, 에티오피아IOC가 보낸 초대장에 답하지 않았는데[4]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연대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5] 마다가스카르는 재정적 문제로, 니카라과내전으로 인해 참가하지 않았으며, 남아프리카 공화국아파르트헤이트 정책으로 인해 제외되었다.[5][6]

Remove ads

목록

요약
관점

다음은 실제 입장 순서를 기준으로 나열한 선수단 목록이다. 국명은 개막식 입장 당시 기준으로 표기하였다. 명판과 입장 방송 사이의 주요 차이점은 다음이 있다.

  • 미국의 영어 국명은 "the United States of America"로 방송되었으나 명판에는 "U.S.A."로 기재되었다.
  • 중앙아프리카(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의 영어 국명은 "Central African Republic"으로 방송되었으나 명판에는 "Central Africa"로 기재되었다.
  • 이집트(이집트 아랍 공화국)의 영어 국명은 "Arab Republic of Egypt"로 방송되었으나 명판에는 "Egypt"로 기재되었다.
  • 코트디부아르의 영어 국명은 "Ivory Coast"로 방송되었으나 명판에는 "Côte d'Ivoire"로 기재되었다.
  • 콩고의 영어 국명은 "People's Republic of Congo"로 방송되었으나 명판에는 "Congo"로 기재되었다.
  • 피지의 영어 국명은 "Fiji Islands"로 방송되었으나 명판에는 "Fiji"로 기재되었다.
자세한 정보 순서, 국가 ...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