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2002년 아시안 게임
아시안 게임 제 14 판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제14회 아시안 게임은 2002년 9월 29일부터 10월 14일까지 대한민국 부산에서 열렸다. 45개국 약 9900명의 선수가 48개 종목에 참가해 기량을 겨뤘다.
유치 신청 도시
1995년 5월 23일에 대한민국 서울에서 열린 아시아 올림픽 평의회(OCA) 총회에서 대한민국 부산이 중화 타이베이 가오슝을 누르고 2002년 아시안 게임 개최 도시로 선정되었다.[1]
대회 개최 장소
요약
관점
경기장
아시안 게임을 대비하여 건설하고 이미 같은 해 6월에 2002년 FIFA 월드컵 경기를 치르기도 하였던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을 비롯한 여러 경기 시설과 시립 체육 공원이나 부산 시내에 소재한 대학교의 체육관 등을 이용하여 치러졌다. 예선전은 울산, 창원, 마산, 양산 등지에서 치러지기도 하였다.[2]
선수촌 및 미디어촌
선수촌의 명칭은 아시아선수촌아파트이다. 2002년 6월에 준공되었으며,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선수촌로 122(반여동 1638)에 위치하고 있다. 시행사는 한국토지주택공사이며, 시공사는 현대건설과 (주)서한이다. 선수촌은 2,290세대의 20개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층수는 16층 ~ 25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총 2,919대(가구당 1.27대)의 주차가 가능하다.
대회에 참가하는 아시아 45개국의 선수들을 위해 숙박 시설로 사용된 뒤 2003년 4월에 일반인에게 분양하였다.
- 면적 : 80㎡, 101㎡, 114㎡, 136A㎡, 136B㎡, 159A㎡, 159B㎡, 181A㎡, 181B㎡
- 평형 : 24평, 30평, 34평, 41A평, 41B평, 48A평, 48B평, 54A평, 54B평
- 용적률 : 243%
- 건설사 : 현대건설(주)외1
- 난방 : 개별난방, 도시가스
- 배정학교 : 인지초등학교
Remove ads
상징
엠블렘
대회 엠블렘은 푸른색 파도를 태극 모양으로 표현해 부산과 한국을 상징했다. 아시아의 발전과 단합이 표현되어 있다. 파도의 형태는 부산의 영문자 첫자인 B를 나타낸다.
마스코트
공식 마스코트는 부산광역시의 시조(市鳥)인 갈매기를 디자인한 '두리아'였다. 두리아에는 '영속의 아시아'(Durative + Asia)라는 뜻과 함께 '둘이 함께'라는 뜻이 담겨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참가
대한민국에서 개최되는 국제대회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처음으로 참가하였다. 선수단은 평양에서 고려항공을 이용해 김해국제공항으로 들어왔고 응원단은 만경봉호를 타고 원산을 출발해 부산 다대포항에 들어왔다. 북한은 18개 종목에 316명(선수 184명)의 선수단과 280명의 응원단을 파견하였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부산 아시안게임 참가는 여러 가지 에피소드를 남겼는데, 대한사격연맹이 북측선수단에게 연습탄 5만발을 지원했는데 북한이 연습탄을 4만발 이상 남기고 이를 갖고 출국할려다가 세관에게 적발돼 압류당하는가 하면 다대포항에 입항한 만경봉호는 원산까지 갈 연료가 없어 돌아가기 직전에 기름을 지원받는 촌극을 빚기도 했다.
2002년 10월 1일 부산 아시안 게임 여자 역도 리성희 선수의 금메달 시상식에서, 대한민국 정부는 건국이래 최초로 공식행사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기 계양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 연주를 허용했다.
경기 종목
보디빌딩이 역사상 처음으로 아시안 게임에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선수
대회 일정
개회식 | 경기 | 결승 | 폐회식 |
Remove ads
메달 집계
대회 이모저모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