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2004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아시아 지역 예선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2004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아시아 지역 예선은 2003년 4월 5일부터 2004년 5월 12일까지 진행되었다. 2004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에서 아시아 대표로 참가할 3개 팀을 결정했으며 아시아 축구 연맹(AFC)에 소속되어 있던 36개 팀이 참가했다.

진행 방식

2004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아시아 지역 예선은 3단계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36개 팀 가운데 상위 12개 팀은 2차 예선에 직행하고 하위 24개 팀은 1차 예선부터 참가한다.

  • 1차 예선: 24개 팀이 2개 팀씩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른다. 승리한 팀은 2차 예선에 진출한다.
  • 2차 예선: 2차 예선에 직행한 12개 팀과 1차 예선에서 승리한 12개 팀이 2개 팀씩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른다. 승리한 팀은 2차 예선에 진출한다.
  • 최종 예선: 2차 예선에서 승리한 12개 팀을 4개 팀씩 3개 조로 나누어 편성하며 한 팀당 6경기를 치른다. 각 조에서 1위를 차지한 팀은 본선에 진출한다.

참가 팀

2004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아시아 지역 예선 참가 팀의 시드는 2000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본선 성적, 2000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아시아 지역 예선 성적을 기준으로 하여 배정되었다. 상위 12개 팀은 2차 예선에 직행하며 하위 24개 팀은 1차 예선부터 치른다. 1차·2차 예선 대진 추첨은 2002년 12월 9일에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진행되었다.[1][2]

2차 예선에 직행하는 12개 팀

1차 예선부터 참가하는 24개 팀

Remove ads

1차 예선

요약
관점

대진 추첨

1차 예선 대진 추첨은 2002년 12월 9일에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진행되었으며 다음과 같이 추첨 결과가 결정되었다.[1][2]

자세한 정보 C조, D조 ...
자세한 정보 1차 예선 승자가 2차 예선에서 상대하는 팀, 1차 예선 홈 팀 ...

경기 결과

자세한 정보 팀 1, 합계 ...

1 몰디브가 1차 예선이 시작되기 이전에 기권함에 따라 이란이 부전승으로 우즈베키스탄과의 2차 예선에 진출했다.

2 예멘이 1차 예선이 시작되기 이전에 기권함에 따라 키르기스스탄이 부전승으로 바레인과의 2차 예선에 진출했다.

자세한 정보 2003년 4월 5일, 2003년 4월 19일 ...
자세한 정보 2003년 4월 5일, 2003년 4월 19일 ...
자세한 정보 2003년 9월 10일3, 2003년 9월 17일3 ...
자세한 정보 2003년 9월 10일4, 2003년 9월 17일4 ...
자세한 정보 2003년 4월 5일, 2003년 4월 9일 ...
자세한 정보 2003년 9월 10일6, 2003년 9월 17일6 ...
자세한 정보 2003년 4월 12일, 2003년 4월 19일 ...
자세한 정보 2003년 4월 12일, 2003년 4월 14일 ...
자세한 정보 2003년 4월 16일, 2003년 4월 19일 ...
자세한 정보 2003년 4월 19일, 2003년 4월 26일 ...

3 중화 타이베이와 싱가포르의 1차 예선 경기는 원래 1차전은 2003년 4월 5일에, 2차전은 2003년 4월 19일에 각각 열릴 예정이었다. 그러나 아시아 축구 연맹(AFC)은 2003년 4월 1일에 아시아에서 일어난 사스 유행의 여파를 고려하여 해당 경기 일정을 연기한다고 결정했다.[3][4][5]

4 이라크와 베트남의 1차 예선 경기는 원래 1차전은 2003년 4월 5일에, 2차전은 2003년 4월 19일에 각각 열릴 예정이었다. 그러나 이라크 전쟁의 여파로 인하여 이라크 축구 협회와의 연락이 두절되고 이라크 U-23 축구 국가대표팀의 해외 출국이 어려워지자 아시아 축구 연맹(AFC)은 해당 경기 일정을 연기한다고 결정했다.[6][7] 아시아 축구 연맹(AFC)은 이라크와 베트남의 1차 예선 경기 1차전은 2003년 9월 10일에, 2차전은 2003년 9월 17일에 각각 열린다고 결정했다.[8]

5 이라크는 이라크 전쟁과 관련된 안전 문제로 인하여 베트남과의 1차 예선 홈 경기를 중립 지대인 시리아에서 치렀다.[9]

6 홍콩과 스리랑카의 1차 예선 경기는 원래 1차전은 2003년 4월 12일에, 2차전은 2003년 4월 19일에 각각 열릴 예정이었다. 그러나 아시아 축구 연맹(AFC)은 2003년 4월 1일에 아시아에서 일어난 사스 유행의 여파를 고려하여 해당 경기 일정을 연기한다고 결정했다.[3][4][5]

Remove ads

2차 예선

요약
관점

대진 추첨

2차 예선 대진 추첨은 2002년 12월 9일에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진행되었으며 다음과 같이 추첨 결과가 결정되었다.[1][2]

자세한 정보 A조, B조 ...
자세한 정보 2차 예선에 직행한 팀, 2차 예선에 직행한 팀이 상대하는 1차 예선 승자 ...

경기 결과

자세한 정보 팀 1, 합계 ...

1 투르크메니스탄이 2차 예선이 시작되기 이전에 사스 유행을 이유로 기권함에 따라 말레이시아가 부전승으로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10]

자세한 정보 2003년 10월 1일2, 2003년 10월 7일2 ...
자세한 정보 2003년 5월 3일, 2003년 6월 7일 ...
자세한 정보 2003년 10월 1일3, 2003년 10월 7일3 ...
자세한 정보 2003년 9월 22일3, 2003년 11월 8일3 ...
자세한 정보 2003년 5월 3일, 2003년 6월 7일 ...
자세한 정보 2003년 5월 1일, 2003년 5월 4일 ...
자세한 정보 2003년 5월 1일, 2003년 5월 3일 ...
자세한 정보 2003년 5월 3일, 2003년 6월 7일 ...
자세한 정보 2003년 9월 10일3, 2003년 9월 17일3 ...
자세한 정보 2003년 9월 10일3, 2003년 9월 17일3 ...
자세한 정보 2003년 5월 3일, 2003년 6월 7일 ...

2 홍콩과 대한민국의 2차 예선 경기는 원래 1차전은 2003년 5월 3일에, 2차전은 2003년 6월 7일에 각각 열릴 예정이었다.[11][12] 그러나 아시아 축구 연맹(AFC)은 2003년 4월 17일에 아시아에서 일어난 사스 유행의 여파를 고려하여 해당 경기 일정을 연기한다고 결정했는데 그 당시에는 1차 예선 승자가 어느 팀인지 결정되지 않은 상태였다.[13][14]

3 사우디아라비아와 싱가포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이라크, 중국과 시리아, 아랍에미리트와 태국의 2차 예선 경기는 원래 1차전은 2003년 5월 3일에, 2차전은 2003년 6월 6일에 각각 열릴 예정이었다. 그러나 아시아 축구 연맹(AFC)은 2003년 4월 17일에 아시아에서 일어난 사스 유행의 여파를 고려하여 해당 경기 일정을 연기한다고 결정했는데 그 당시에는 1차 예선 승자가 어느 팀인지 결정되지 않은 상태였다.[13][14]

4 이라크는 이라크 전쟁과 관련된 안전 문제로 인하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의 2차 예선 홈 경기를 중립 지대인 시리아에서 치렀다.

Remove ads

최종 예선

요약
관점

최종 예선은 2004년 3월 1일부터 5월 12일까지 진행되었다. 각 조에서 1위를 차지한 팀만이 올림픽 본선에 참가하게 된다. 원래는 2003년 8월 30일부터 10월 18일까지 열릴 예정이었으나 아시아에서 일어난 사스 유행의 여파로 인하여 연기되었다.[15]

시드 배정

최종 예선 조 추첨은 2003년 10월 18일에 카타르 도하에서 진행되었다. 최종 예선에 진출한 팀들은 2000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본선, 2000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아시아 지역 예선 성적을 기준으로 하여 시드를 배정받았다.[16][17]

자세한 정보 포트 1, 포트 2 ...

(*) 추첨 당시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이라크의 2차 예선 2차전 경기가 열리기 이전인 상태였기 때문에 최종 예선 진출 팀이 어느 팀인지 결정되지 않은 상태였다.

A조

최종 예선 A조 경기는 2004년 3월 3일부터 5월 12일까지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다.[18][19]

자세한 정보 팀, 경기 ...

대한민국이 2004년 하계 올림픽 축구 본선에 진출했다.

2004년 3월 3일
대한민국 1–0 중국 중화인민공화국 서울월드컵경기장, 서울
2004년 3월 3일
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 1–4 이란 이란 프탈링자야 스타디움, 프탈링자야
2004년 3월 17일
이란 이란 0–1 대한민국 아자디 스타디움, 테헤란
2004년 3월 20일
중화인민공화국 중국 1–1 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 우한 스포츠 센터 스타디움, 우한
2004년 3월 24일
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 0–1 대한민국 프탈링자야 스타디움, 프탈링자야
2004년 3월 27일
중화인민공화국 중국 3–1 이란 이란 우한 스포츠 센터 스타디움, 우한
2004년 4월 14일
대한민국 3–0 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 수원월드컵경기장, 수원
2004년 4월 16일
이란 이란 2–1 중국 중화인민공화국 아자디 스타디움, 테헤란
2004년 4월 30일
이란 이란 6–0 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 아자디 스타디움, 테헤란
2004년 5월 1일
중화인민공화국 중국 0–2 대한민국 허룽 스포츠 센터 스타디움, 창사
2004년 5월 12일
대한민국 1–0 이란 이란 서울월드컵경기장, 서울
2004년 5월 12일
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 1–2 중국 중화인민공화국 프탈링자야 스타디움, 프탈링자야

B조

최종 예선 B조 1라운드 경기는 2004년 3월 1일부터 3월 5일까지 아랍에미리트 두바이에서, 2라운드 경기는 2004년 3월 14일부터 3월 18일까지 일본 사이타마(1차전)·도쿄(2·3차전)에서 각각 열렸다.[18][19]

자세한 정보 팀, 경기 ...

일본이 2004년 하계 올림픽 축구 본선에 진출했다.

2004년 3월 1일
일본 0–0 바레인 모함메드 빈 자예드 스타디움, 두바이
2004년 3월 1일
아랍에미리트 아랍에미리트 4–2 레바논 레바논 모함메드 빈 자예드 스타디움, 두바이
2004년 3월 3일
레바논 레바논 0–4 일본 모함메드 빈 자예드 스타디움, 두바이
2004년 3월 3일
바레인 0–3 아랍에미리트 아랍에미리트 모함메드 빈 자예드 스타디움, 두바이
2004년 3월 5일
일본 2–0 아랍에미리트 아랍에미리트 모함메드 빈 자예드 스타디움, 두바이
2004년 3월 5일
바레인 5–3 레바논 레바논 모함메드 빈 자예드 스타디움, 두바이
2004년 3월 14일
레바논 레바논 2–2 아랍에미리트 아랍에미리트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사이타마
2004년 3월 14일
바레인 1–0 일본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사이타마
2004년 3월 16일
아랍에미리트 아랍에미리트 0–2 바레인 도쿄 국립경기장, 도쿄
2004년 3월 16일
일본 2–1 레바논 레바논 도쿄 국립경기장, 도쿄
2004년 3월 18일
아랍에미리트 아랍에미리트 0–3 일본 도쿄 국립경기장, 도쿄
2004년 3월 18일
레바논 레바논 1–1 바레인 국립 니시가오카 축구장, 도쿄

C조

최종 예선 C조 경기는 2004년 3월 3일부터 5월 12일까지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다.[18][19]

자세한 정보 팀, 경기 ...

이라크가 2004년 하계 올림픽 축구 본선에 진출했다.

2004년 3월 3일
이라크 이라크 4–0 오만 오만 킹 압둘라 2세 스타디움, 암만 (요르단)1
2004년 3월 3일
쿠웨이트 쿠웨이트 0–0 사우디아라비아 사우디아라비아 알사다쿠아 왈살람 스타디움, 쿠웨이트시티
2004년 3월 17일
오만 오만 1–0 쿠웨이트 쿠웨이트 술탄 카부스종합운동장, 무스카트
2004년 3월 17일
사우디아라비아 사우디아라비아 1–0 이라크 이라크 프린스 모하메드 빈 파흐드 스타디움, 담맘
2004년 3월 24일
이라크 이라크 2–1 쿠웨이트 쿠웨이트 킹 압둘라 2세 스타디움, 암만 (요르단)1
2004년 3월 24일
사우디아라비아 사우디아라비아 1–1 오만 오만 프린스 모하메드 빈 파흐드 스타디움, 담맘
2004년 4월 14일
쿠웨이트 쿠웨이트 2–0 이라크 이라크 알사다쿠아 왈살람 스타디움, 쿠웨이트시티
2004년 4월 14일
오만 오만 0–0 사우디아라비아 사우디아라비아 술탄 카부스종합운동장, 무스카트
2004년 4월 28일
오만 오만 2–0 이라크 이라크 술탄 카부스종합운동장, 무스카트
2004년 4월 28일
사우디아라비아 사우디아라비아 0–1 쿠웨이트 쿠웨이트 프린스 압둘라 알파이살 스타디움, 지다
2004년 5월 12일
쿠웨이트 쿠웨이트 0–0 오만 오만 알사다쿠아 왈살람 스타디움, 쿠웨이트시티
2004년 5월 12일
이라크 이라크 3–1 사우디아라비아 사우디아라비아 킹 압둘라 2세 스타디움, 암만 (요르단)1

1 이라크는 이라크 전쟁과 관련된 안전 문제로 인하여 오만, 쿠웨이트, 사우디아라비아와의 최종 예선 홈 경기를 중립 지대인 요르단에서 치렀다.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