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11년 UEFA 유로파리그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2010-11년 UEFA 유로파리그(2010-11 UEFA Europa League)는 현재의 UEFA 유로파리그 방식으로의 두 번째 시즌으로 이전의 UEFA컵이다. 결승전은 2011년 5월 18일에 아일랜드의 더블린에 위치한 아비바 스타디움에서 개최되었다. 결승전에서 포르투갈 리가 소속인 FC 포르투와 SC 브라가가 맞붙었는데 결국 1 : 0으로 FC 포르투가 두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팀 배정
요약
관점
2010-11년 UEFA 유로파리그에는 총 53개 축구협회에서 총 194개 클럽이 참가한다.
2010-11 시즌의 UEFA 유로파리그의 참가팀 수는 아래와 같다.
- 1~6위 협회 : 각 3팀 참가
- 7~9위 협회 : 각 4팀 참가
- 10~51위 협회 : 각 3팀 참가 (리히텐슈타인(1팀) 제외)
- 52~53위 협회 : 각 1팀 참가
- 2009–10시즌의 UEFA 페어 플레이 랭킹의 상위 3개 협회(스웨덴, 덴마크, 핀란드)에서 각각 1팀씩 참가[1]
- 2010-11년 UEFA 챔피언스리그에서 넘어오는 팀 : 33개 클럽
클럽 분배방식
2009-10년 UEFA 유로파리그의 우승 팀인 아틀레티코 마드리드는 2010-11년 UEFA 챔피언스리그에 진출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이번 시즌의 조별리그 참가가 확정되었다. 하지만 아틀레티코 마드리드는 코파 델 레이 우승 팀인 세비야가 챔피언스리그에 진출했기 때문에 준우승 팀 자격으로 3차 예선전에 참가할 예정이었기 때문에,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의 자리였던 3차 예선전의 1자리가 남게 되어 아래와 같은 변화가 생겼다.
- 28위 협회 (핀란드)의 컵 대회 우승 팀이 2차 예선전 참가에서 3차 예선전 참가로 변경되었다.
- 52위 협회 (몰타)와 53위 협회 (산마리노)의 컵 대회 우승 팀들이 1차 예선전 참가에서 2차 예선전 참가로 변경되었다.
1차 예선전 (52팀)
- 33~53위 협회의 리그 준우승 팀 20팀 (리히텐슈타인 제외)
- 22~51위 협회의 리그 3위 팀 29팀 (리히텐 슈타인 제외)
- UEFA 페어 플레이 랭킹 상위 3팀
2차 예선전 (80팀)
- 1차 예선전의 승리팀 26팀
- 29~53위 협회의 컵 대회 우승 팀 25팀
- 19~32위 협회의 리그 준우승 팀 14팀
- 16~21위 협회의 리그 3위 팀 6팀
- 10~15위 협회의 리그 4위 팀 6팀
- 7~9위 협회의 리그 5위 팀 3팀
3차 예선전 (70팀)
- 2차 예선전의 승리팀 40팀
- 16~28위 협회의 컵 대회 우승 팀 13팀
- 16~18위 협회의 리그 준우승 팀 3팀
- 10~15위 협회의 리그 3위 팀 6팀
- 7~9위 협회의 리그 4위 팀 3팀
- 4~6위 협회의 리그 5위 팀 3팀 (프랑스는 리그컵 우승 팀)
- 1~3위 협회의 리그 6위 팀 2팀 (잉글랜드는 리그컵 우승 팀)
플레이오프전 (74팀)
- 3차 예선전의 승리팀 35팀
- 1~15위 협회의 컵 대회 우승 팀 15팀
- 7~9위 협회의 리그 3위 팀 3팀
- 4~6위 협회의 리그 4위 팀 3팀
- 1~3위 협회의 리그 5위 팀 3팀
- 2010-11년 UEFA 챔피언스리그의 3차 예선전에서 패한 팀 15팀
조별리그전 (48팀)
- 전년도 우승 팀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플레이오프전의 승리팀 37팀
- 2010-11년 UEFA 챔피언스리그의 플레이오프전에서 패한 팀 10팀
토너먼트전 (32팀)
- 조별리그전의 각 조 1위 팀 12팀
- 조별리그전의 각 조 2위 팀 12팀
- 2010-11년 UEFA 챔피언스리그의 조별리그전의 각조 3위 팀 8팀
재분배규칙
한 팀이 챔피언스리그와 유로파리그에 동시에 진출자격이 있을 때, 유로파리그의 자리는 공석으로 둔다. 공석이 되었을 때, 공석은 아래의 규칙에 따라 각국 협회에 재분배된다.
- 컵 대회 우승 팀 (각 국의 협회의 유로파리그 최상위 진출팀)이 챔피언스리그에도 진출하였을 경우, 그 자리는 공석으로 두고 남아있는 그 다음 순위의 유로파리그진출팀들이 한 계단씩 상승한다. 또는 컵 대회 준우승 팀이 챔피언스리그에 진출하지 않았을 경우 준우승 팀이 진출하게 되고, 아닐 경우 유로파리그에 진출하지 못한 팀 가운데 리그 순위가 가장 높은 팀이 참가한다.
- 컵 대회 우승 팀이 컵 대회 우승과 리그 순위로 동시에 유로파리그에 진출해 있다면, 리그 순위로 인한 유로파리그 자리는 공석으로 둔다. 그리고 컵 대회 우승 팀 아래의 클럽들이 한 계단씩 상승하여 유로파리그에 진출하게 된다.
- 리그컵 우승 팀의 자리가 공석일 경우 유로파리그에 진출하지 못한 팀 가운데 리그 최상위 팀이 진출한다.
- 페어 플레이 랭킹의 자리는 챔피언스리그와 유로파리그에 진출하지 못한 팀 가운데 리그 최상위 팀이 진출한다.
참가팀
- TH: 전년도 우승 팀
- CW: 컵대회 우승 팀(Cup Winner)
- CR: 컵대회 준우승 팀(Cup runners-up)
- LC: 리그컵 우승 팀
- N위: 리그 순위
- P-N위: 포스트시즌의 플레이오프 순위
- FP: 페어플레이
- UCL: 챔피언스리그에서 넘어옴
- GS: 조별리그전의 각 조 3위 팀
- PO: 플레이오프전에서 탈락한 팀
- Q3: 3차 예선전에서 탈락한 팀
- 주
- 아일랜드: 2009 시즌의 리그 오브 아일랜드 프리미어디비전의 3위 팀인 코크 시티와 4위 팀인 데리 시티가 시즌 후 해체되고 리그에서 퇴출되었기 때문에 5위 팀인 던독이 1차 예선전 출전 자격을 얻었다.[8]
일정
대진 추첨은 UEFA의 본부가 있는 스위스 니옹에서 이루어진다.
단계 | 라운드 | 추첨일 | 1차전 | 2차전 |
---|---|---|---|---|
예선 | 1차 예선전 | 2010년 6월 21일 | 2010년 7월 1일 | 2010년 7월 8일 |
2차 예선전 | 2010년 7월 15일 | 2010년 7월 22일 | ||
3차 예선전 | 2010년 7월 16일 | 2010년 7월 29일 | 2010년 8월 5일 | |
플레이오프 | 플레이오프전 | 2010년 8월 6일 | 2010년 8월 19일 | 2010년 8월 26일 |
조별리그 | 매치데이 1 | 2010년 8월 27일 (모나코) |
2010년 9월 16일 | |
매치데이 2 | 2010년 9월 30일 | |||
매치데이 3 | 2010년 10월 21일 | |||
매치데이 4 | 2010년 11월 4일 | |||
매치데이 5 | 2010년 12월 1–2일 | |||
매치데이 6 | 2010년 12월 15–16일 | |||
토너먼트전 | 32강전 | 2010년 12월 17일 | 2011년 2월 17일 | 2011년 2월 24일 |
16강전 | 2011년 3월 10일 | 2011년 3월 17일 | ||
8강전 | 2011년 3월 18일 | 2011년 4월 7일 | 2011년 4월 14일 | |
준결승전 | 2011년 4월 28일 | 2011년 5월 5일 | ||
결승전 | 2011년 5월 18일 |
예선전
요약
관점
2010년 6월 21일에 1차 예선전과 2차 예선전의 대진이 추첨되었고,[10] 7월 16일에 3차 예선전의 추첨이 열렸다.[11]
1차 예선전
1차전은 2010년 7월 1일, 2차전은 2010년 7월 8일에 열렸다.
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UE 산타콜로마 ![]() |
0–5 | ![]() |
0–3 | 0–2 |
올림피야 ![]() |
0–5 | ![]() |
0–2 | 0–3 |
아노르토시스 ![]() |
4–0 | ![]() |
3–0 | 1–0 |
올림피아 ![]() |
1–1 (a)1 | ![]() |
0–0 | 1–1 |
시베니크 ![]() |
3–0 | ![]() |
0–0 | 3–0 |
토볼 ![]() |
2–4 | ![]() |
1–2 | 1–2 |
율리시즈 ![]() |
0–1 | ![]() |
0–0 | 0–1 |
라보트니치키 ![]() |
11–01 | ![]() |
5–0 | 6–0 |
KF 티라나 ![]() |
1–0 | ![]() |
0–0 | 1–0 (연장) |
제스타포니 ![]() |
5–0 | ![]() |
5–0 | 0–0 |
NSI 루나비크 ![]() |
1–4 | ![]() |
0–2 | 1–2 |
토르페도 벨라스 조지나 ![]() |
6–1 | ![]() |
3–0 | 3–1 |
라네르스 ![]() |
7–3 | ![]() |
6–1 | 1–2 |
포터다운 ![]() |
2–1 | ![]() |
1–1 | 1–0 |
TPS ![]() |
7–1 | ![]() |
3–1 | 4–0 |
KR 레이캬비크 ![]() |
5–2 | ![]() |
3–0 | 2–2 |
그레벤마허 ![]() |
4–51 | ![]() |
3–3 | 1–2 |
칼마르 ![]() |
4–0 | ![]() |
1–0 | 3–0 |
흘라네흘리 ![]() |
4–5 | ![]() |
2–2 | 2–3 (연장) |
나르바 트란스 ![]() |
0–7 | ![]() |
0–2 | 0–5 |
제타 ![]() |
1–1 (a)1 | ![]() |
1–1 | 0–0 |
라치 ![]() |
2–8 | ![]() |
1–1 | 1–7 |
샤흐타르 카라간디 ![]() |
1–3 | ![]() |
1–2 | 0–1 |
디나모 트빌리시 ![]() |
2–1 | ![]() |
2–1 | 0–0 |
니트라 ![]() |
3–5 | ![]() |
2–2 | 1–3 |
카라바흐 ![]() |
5–2 | ![]() |
4–1 | 1–1 |
- 주 1: 원래 일정과는 달리 경기 순서가 바뀐 경우.
2차 예선전
1차전은 2010년 7월 15일, 2차전은 2010년 7월 22일과 23일에 열렸다.
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세르클러 브뤼허 ![]() |
2–2 (a) | ![]() |
0–1 | 2–1 |
마더웰 ![]() |
2–0 | ![]() |
1–0 | 1–0 |
아노르토시스 ![]() |
3–22 | ![]() |
0–2 | 3–0 (연장) |
로잔-스포르트 ![]() |
2–1 | ![]() |
1–0 | 1–1 |
샤울랴이 ![]() |
0–7 | ![]() |
0–2 | 0–5 |
칼마르 ![]() |
2–0 | ![]() |
0–0 | 2–0 |
위트레흐트 ![]() |
5–1 | ![]() |
4–0 | 1–1 |
고리차 ![]() |
1–4 | ![]() |
0–3 | 1–1 |
마리티무 ![]() |
6–4 | ![]() |
3–2 | 3–2 |
수두바 마리얌폴레 ![]() |
2–6 | ![]() |
0–2 | 2–4 |
벤츠필스 ![]() |
1–3 | ![]() |
0–0 | 1–3 |
OFK 베오그라드 ![]() |
3–2 | ![]() |
2–2 | 1–0 |
올림피아 ![]() |
1–7 | ![]() |
0–2 | 1–5 |
미파 ![]() |
8–0 | ![]() |
3–0 | 5–03 |
비데오톤 ![]() |
1–3 | ![]() |
1–1 | 0–2 |
브뢴비 ![]() |
3–0 | ![]() |
3–0 | 0–0 |
스타백 ![]() |
3–3 (a) | ![]() |
2–2 | 1–1 |
샴록 로버스 ![]() |
2–1 | ![]() |
1–1 | 1–0 |
엘프스보리 ![]() |
3–1 | ![]() |
2–1 | 1–0 |
KR 레이캬비크 ![]() |
2–6 | ![]() |
0–3 | 2–3 |
마카비 텔아비브 ![]() |
3–2 | ![]() |
2–0 | 1–2 |
아우스트리아 빈 ![]() |
3–2 | ![]() |
2–2 | 1–0 |
타우라스 타우라제 ![]() |
1–6 | ![]() |
0–3 | 1–3 |
몰데 ![]() |
2–2 (a) | ![]() |
1–0 | 1–2 |
제스타포니 ![]() |
3–1 | ![]() |
3–0 | 0–1 |
홍카 ![]() |
2–3 | ![]() |
1–1 | 1–2 |
레프스키 소피아 ![]() |
8–0 | ![]() |
6–0 | 2–0 |
WIT 조지아 ![]() |
0–6 | ![]() |
0–6 | 0–0 |
라보트니치키 ![]() |
1–0 | ![]() |
1–0 | 0–0 |
아테라우 ![]() |
0–5 | ![]() |
0–34 | 0–2 |
포터다운 ![]() |
2–32 | ![]() |
1–2 | 1–1 |
베식타시 ![]() |
7–0 | ![]() |
3–0 | 4–0 |
디페르당주 ![]() |
3–5 | ![]() |
3–3 | 0–2 |
디나모 민스크 ![]() |
10–1 | ![]() |
5–1 | 5–0 |
발레타 ![]() |
1–1 (a) | ![]() |
1–1 | 0–0 |
바쿠 ![]() |
2–4 | ![]() |
0–35 | 2–1 |
즈린스키 모스타르 ![]() |
13–3 | ![]() |
4–1 | 9–2 |
예플레 ![]() |
2–42 | ![]() |
1–2 | 1–2 |
클리프턴빌 ![]() |
1–02 | ![]() |
1–0 | 0–0 |
베사 카바여 ![]() |
1–11 | ![]() |
0–5 | 1–6 |
- 주
- 주 2: 원래 일정과는 달리 경기 순서가 바뀐 경우
3차 예선전
1차전은 2010년 7월 29일(한 경기만 7월 27일), 2차전은 2010년 8월 5일(한 경기만 8월 3일)에 열렸다.
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오덴세 ![]() |
5–3 | ![]() |
5–3 | 0–0 |
드네프르 묘길로프 ![]() |
3–1 | ![]() |
1–0 | 2–1 |
라보트니치키 ![]() |
0–46 | ![]() |
0–2 | 0–2 |
마리티무 ![]() |
10–3 | ![]() |
8–2 | 2–1 |
베로에 스타라 자고라 ![]() |
1–4 | ![]() |
1–1 | 0–3 |
미파 ![]() |
4–56 | ![]() |
1–2 | 3–3 |
CSKA 소피아 ![]() |
5–1 | ![]() |
3–0 | 2–1 |
카르파티 리비우 ![]() |
2–0 | ![]() |
1–0 | 1–0 |
샴록 로버스 ![]() |
0–3 | ![]() |
0–2 | 0–1 |
엘프스보리 ![]() |
7–1 | ![]() |
5–0 | 2–1 |
노르셸란 ![]() |
1–3 | ![]() |
0–1 | 1–2 |
마리보르 ![]() |
6–2 | ![]() |
3–0 | 3–2 |
츠르베나 즈베즈다 ![]() |
2–3 | ![]() |
1–2 | 1–1 |
인테르 투르쿠 ![]() |
3–8 | ![]() |
1–5 | 2–3 |
루흐 호주프 ![]() |
1–6 | ![]() |
1–3 | 0–3 |
빅토리아 플젠 ![]() |
1–4 | ![]() |
1–1 | 0–3 |
올림피아코스 ![]() |
2–2 (a) | ![]() |
2–1 | 0–1 |
비스와 크라쿠프 ![]() |
2–4 | ![]() |
0–1 | 2–3 |
슈투름 그라츠 ![]() |
3–1 | ![]() |
2–0 | 1–1 |
세르클러 브뤼허 ![]() |
2–36 | ![]() |
1–0 | 1–3 |
부두츠노스트 포드고리차 ![]() |
1–3 | ![]() |
1–2 | 0–1 |
몰데 ![]() |
4–5 | ![]() |
2–3 | 2–2 |
마카비 하이파 ![]() |
2–3 | ![]() |
1–0 | 1–3 |
위트레흐트 ![]() |
4–1 | ![]() |
1–0 | 3–1 |
시비리 노보시비르스크 ![]() |
2–2 (a) | ![]() |
1–0 | 1–2 |
라네르스 ![]() |
3–4 | ![]() |
2–3 | 1–1 |
디나모 부쿠레슈티 ![]() |
3–4 | ![]() |
3–1 | 0–3 |
AZ ![]() |
2–1 | ![]() |
2–0 | 0–1 |
스파르타크 즐라티보르 보다 ![]() |
2–3 | ![]() |
2–1 | 0–2 |
죄르 ETO ![]() |
1–1 (4 승) | ![]() |
0–1 | 1–0 (연장) |
올레순 ![]() |
1–4 | ![]() |
1–1 | 0–3 |
칼마르 ![]() |
3–6 | ![]() |
1–1 | 2–5 |
갈라타사라이 ![]() |
7–3 | ![]() |
2–2 | 5–1 |
야기엘로니아 비아위스토크 ![]() |
3–4 | ![]() |
1–2 | 2–2 |
APOEL ![]() |
4–1 | ![]() |
1–0 | 3–1 |
- 주
- 주 6: 원래 일정과는 달리 경기 순서가 바뀐 경우.
플레이오프전
요약
관점
플레이오프전 추첨은 2010년 8월 6일에 있었다.[14] 1차전은 2010년 8월 19일(두 경기는 8월 17일), 2차전은 2010년 8월 26일(한 경기만 8월 24일)에 열렸다.
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파리 생제르맹 ![]() |
5–4 | ![]() |
2–0 | 3–4 |
바이어 레버쿠젠 ![]() |
6–1 | ![]() |
3–0 | 3–1 |
CSKA 모스크바 ![]() |
6–1 | ![]() |
4–0 | 2–1 |
하이두크 스플리트 ![]() |
5–2 | ![]() |
4–1 | 1–1 |
페예노르트 ![]() |
1–2 | ![]() |
1–0 | 0–2 |
겡크 ![]() |
2–7 | ![]() |
0–3 | 2–4 |
데브레첸 ![]() |
4–1 | ![]() |
2–0 | 2–1 |
아리스 ![]() |
2–1 | ![]() |
1–0 | 1–1 |
갈라타사라이 ![]() |
3–3 (a) | ![]() |
2–2 | 1–1 |
팔레르모 ![]() |
5–3 | ![]() |
3–0 | 2–3 |
클럽 브뤼헤 ![]() |
5–3 | ![]() |
2–1 | 3–2 |
오모니아 ![]() |
2–3 | ![]() |
0–1 | 2–2 |
바슬루이 ![]() |
0–2 | ![]() |
0–0 | 0–2 |
나폴리 ![]() |
3–0 | ![]() |
1–0 | 2–0 |
스포르팅 CP ![]() |
3–2 | ![]() |
0–2 | 3–0 |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 ![]() |
1–1 (4 승)7 | ![]() |
1–0 | 0–1 (연장) |
리버풀 ![]() |
3–1 | ![]() |
1–0 | 2–1 |
셀틱 ![]() |
2–4 | ![]() |
2–0 | 0–4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
5–0 | ![]() |
4–0 | 1–0 |
AIK ![]() |
1–2 | ![]() |
0–0 | 1–2 |
슈투름 그라츠 ![]() |
1–3 | ![]() |
1–2 | 0–1 |
헤타페 ![]() |
2–1 | ![]() |
1–0 | 1–1 (연장) |
던디 유나이티드 ![]() |
1–2 | ![]() |
0–1 | 1–1 |
AZ ![]() |
3–2 | ![]() |
2–0 | 1–2 |
드니프로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 ![]() |
0–1 | ![]() |
0–1 | 0–0 |
라피트 빈 ![]() |
4–3 | ![]() |
1–1 | 3–2 |
CSKA 소피아 ![]() |
5–2 | ![]() |
3–0 | 2–2 |
베식타시 ![]() |
6–0 | ![]() |
2–0 | 4–0 |
슬로반 브라티슬라바 ![]() |
2–3 | ![]() |
0–1 | 2–2 |
시비리 노보시비르스크 ![]() |
1–5 | ![]() |
1–0 | 0–5 |
BATE ![]() |
5–1 | ![]() |
3–0 | 2–1 |
로잔-스포르트 ![]() |
2–2 (4 승) | ![]() |
1–1 | 1–1 (연장) |
죄르 ETO ![]() |
1–4 | ![]() |
0–2 | 1–2 |
오덴세 ![]() |
3–1 | ![]() |
2–1 | 1–0 |
PAOK ![]() |
2–1 | ![]() |
1–0 | 1–1 (연장) |
비야레알 ![]() |
7–1 | ![]() |
5–0 | 2–1 |
티미쇼아라 ![]() |
0–3 | ![]() |
0–1 | 0–2 |
- 주 7: 원래 일정과는 달리 경기 순서가 바뀐 경우.
조별 리그전
요약
관점
2010년 8월 27일 모나코에서 48개 클럽의 조별 리그 조 구성과 대진이 정해졌다.[15] 각 조는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홈과 원정에서 각각 한번씩 경기를 한다. 경기일은 9월 16일, 30일, 10월 21일, 11월 4일, 12월 1-2일, 12월 15-16일이다. 각 조 1위 팀과 2위 팀이 32강전에 올라가 챔피언스리그 조별 리그의 각 조 3위 팀과 함께 토너먼트전을 벌인다.
색의 분류에 따른 그룹 일람표 |
---|
각 조에서 토너먼트전에 진출한 두 팀 |
A조
B조
C조
D조
E조
F조
G조
H조
I조
J조
K조
L조
토너먼트전
요약
관점
32강전
1차전은 2011년 2월 17일(2월 15일 아리스의 홈 경기)에 열렸고 2차전이 2011년 2월 24일에 열렸다(CSKA 모스크바와 포르투의 홈 경기 2월 22, 23일 각각 열림).
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나폴리 ![]() |
1-2 | ![]() |
0-0 | 1-2 |
레인저스 ![]() |
3-3(a) | ![]() |
1-1 | 2-2 |
스파르타 프라하 ![]() |
0-1 | ![]() |
0-0 | 0-1 |
안데를레흐트 ![]() |
0-5 | ![]() |
0-3 | 0-2 |
레흐 포츠난 ![]() |
1-2 | ![]() |
1-0 | 0-2 |
베식타스 ![]() |
1-8 | ![]() |
1-4 | 0-4 |
바젤 ![]() |
3-4 | ![]() |
2-3 | 1-1 |
영 보이즈 ![]() |
3-4 | ![]() |
2-1 | 1-3 |
아리스 ![]() |
0-3 | ![]() |
0-0 | 0-3 |
PAOK ![]() |
1-2 | ![]() |
0-1 | 1-1 |
세비야 ![]() |
2-2(a) | ![]() |
1-2 | 1-0 |
루빈 카잔 ![]() |
2-4 | ![]() |
0-2 | 2-2 |
릴 ![]() |
3-5 | ![]() |
2-2 | 1-3 |
벤피카 ![]() |
4-1 | ![]() |
2-1 | 2-0 |
BATE ![]() |
2-2(a) | ![]() |
2-2 | 0-0 |
메탈리스트 하르키우 ![]() |
0-6 | ![]() |
0-4 | 0-2 |
16강전
8강전
준결승전
심판: 크레이그 톰슨 (스코틀랜드)
심판: 마틴 앳킨슨 (잉글랜드)
- 합계 2-2로 브라가가 원정 다득점으로 결승에 진출함.
심판: 비요른 퀴퍼스 (네덜란드)
심판: 잔루카 로키 (이탈리아)
- 합계 7-4로 포르투가 결승에 진출함.
결승전
2010-11 시즌의 결승전은 2011년 5월 18일에 아일랜드의 더블린에 위치한 아비바 스타디움에서 열렸다.
2010-11년 UEFA 유로파리그 우승 |
---|
![]() |
FC 포르투 2번째 우승 |
기록
득점
- 최종 업데이트 2011년 5월 19일
순위 | 이름 | 소속팀 | 득점 | 출전시간 |
---|---|---|---|---|
1 | ![]() |
![]() |
17 | 1098' |
2 | ![]() |
![]() |
11 | 1037' |
3 | ![]() |
![]() |
6 | 526' |
4 | ![]() |
![]() |
5 | 572' |
![]() |
![]() |
5 | 461' | |
![]() |
![]() |
5 | 526' | |
![]() |
![]() |
5 | 621' | |
![]() |
![]() |
5 | 667' | |
![]() |
![]() |
5 | 808' | |
![]() |
![]() |
5 | 967' | |
![]() |
![]() |
5 | 973' | |
10 | ![]() |
![]() |
4 | 243' |
![]() |
![]() |
4 | 272' | |
![]() |
![]() |
4 | 375' | |
![]() |
![]() |
4 | 450' | |
![]() |
![]() |
4 | 459' | |
![]() |
![]() |
4 | 467' | |
![]() |
![]() |
4 | 535' | |
![]() |
![]() |
4 | 943' |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