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핀란드 대통령 선거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2012년 핀란드 대통령 선거는 2012년 1월 22일과 2월 5일에 실시됐다. 1월 22일 실시된 1차 투표에서 과반수 이상 득표한 후보가 없는 관계로 국민연합당의 사울리 니니스퇴후보와 녹색 동맹의 페카 하비스토간에 결선 투표가 실시되었으며, 니니스퇴 후보가 62.59% 득표로 당선되었다. 이번 선거 당선자의 임기는 2018년까지이다.
전직 할로넨 대통령은 이미 연임을 했기 때문에 재출마할 수 없었다.
후보
이번 선거에 핀란드 의회 8개 원내정당 모두 후보를 냈으며, 후보는 다음과 같다. 기호 1번은 현직 대통령에게 배정하는 번호로 이번 선거에 할로넨 대통령이 재출마하지 않아 기호가 2번부터 시작한다.
기호 | 정당 | 후보 | 경력 |
---|---|---|---|
2 | 녹색 동맹 | 페카 하비스토(Pekka Haavisto) | 핀란드의회 의원, 전 환경부 장관 |
3 | 진정한 핀란드인 | 티모 소이니(Timo Soini) | 핀란드의회 의원, 당대표 |
4 | 중도당 | 파보 배이뤼넨(Paavo Väyrynen) | 전 외무부 장관, 전 통상부 장관 |
5 | 사민당 | 파포 리포넨 (Paavo Lipponen) | 전 총리, 전 핀란드의회 의장 |
6 | 국민연합당 | 사울리 니니스퇴(Sauli Niinistö) | 전 재무부 장관, 전 핀란드의회 의장 |
7 | 기민당 | 사리 에사위아흐(Sari Essayah) | 유럽의회 의원 |
8 | 스웨덴인 인민당 | 에바 비아우뎃 (Eva Biaudet) | 소수민족 옴부즈만, 전 보건복지부 장관 |
9 | 좌파 동맹 | 파보 아르힌매키 (Paavo Arhinmäki) | 문화체육부 장관, 당대표 |
대통령의 권한
2000년 개헌에 따라 핀란드 대통령은 권한은 많이 축소됐다. 핀란드 대통령은 내각과 함께 대외 정책을 이끈하다. 하지만 유럽정책은 총리의 소관이다. 대통령은 국내 문제에 대한 권한이 거의 없다. 대통령에게 의회 해산권이 있지만, 총리의 요청에 따라 해산할 수 있다. 또 대통령은 법안에 대한 인준을 결정할 수 없다. 단지 대통령은 법안을 의회로 다시 돌려보낼 수 있고, 의회는 재의결을 통해 대통령의 서명없이 법률을 공표할 수 있다. 대통령이 임명할 수 있는 공직의 수가 줄어 들기는 했지만, 군장성과 판사의 임명권은 여전히 대통령에게 있다. 대통령은 핀란드 방위군 통수권자이며, 사면권을 가지고 있다. [1][2][3][4]
2000년 개헌에 따른 권한 축소 이후, 대통령은 상징적 지도자로 받아들여지고 있다.[5]
여론조사
요약
관점
선거를 앞두고 실시된 모든 여론조사에서 국민연합당 사울리 니니스퇴(Sauli Niinistö)가 다른 후보들을 크게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2위를 한 녹색 동맹의 하비스토 후보는 선거 막바지에 실시된 여론조사에서 겨우 2위로 올라섰다. 결선 투표를 앞두고 실시된 여론조사에서도 니니스퇴 후보가 크게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 1차 투표
1차 투표 여론조사 | ||||||||||||||||||||||||||||||||||||||||||||||||||||||||||||||||||||||||||||||||||||||||||||||||||||||||||||||||||||||||||||||||||||||||||||||||||||||||||||||||||||||||||||||||||||||||||||||||||||||||||||||||||||||||||||||||||||||||||||||||||||||||||||||||||||||||||||||||||||||||||||||||||||||||||||||||||||||||||||||||||||||||||||||||||||||||||||||
---|---|---|---|---|---|---|---|---|---|---|---|---|---|---|---|---|---|---|---|---|---|---|---|---|---|---|---|---|---|---|---|---|---|---|---|---|---|---|---|---|---|---|---|---|---|---|---|---|---|---|---|---|---|---|---|---|---|---|---|---|---|---|---|---|---|---|---|---|---|---|---|---|---|---|---|---|---|---|---|---|---|---|---|---|---|---|---|---|---|---|---|---|---|---|---|---|---|---|---|---|---|---|---|---|---|---|---|---|---|---|---|---|---|---|---|---|---|---|---|---|---|---|---|---|---|---|---|---|---|---|---|---|---|---|---|---|---|---|---|---|---|---|---|---|---|---|---|---|---|---|---|---|---|---|---|---|---|---|---|---|---|---|---|---|---|---|---|---|---|---|---|---|---|---|---|---|---|---|---|---|---|---|---|---|---|---|---|---|---|---|---|---|---|---|---|---|---|---|---|---|---|---|---|---|---|---|---|---|---|---|---|---|---|---|---|---|---|---|---|---|---|---|---|---|---|---|---|---|---|---|---|---|---|---|---|---|---|---|---|---|---|---|---|---|---|---|---|---|---|---|---|---|---|---|---|---|---|---|---|---|---|---|---|---|---|---|---|---|---|---|---|---|---|---|---|---|---|---|---|---|---|---|---|---|---|---|---|---|---|---|---|---|---|---|---|---|---|---|---|---|---|---|---|---|---|---|---|---|---|---|---|---|---|---|---|---|---|---|---|---|---|---|---|---|---|---|---|---|---|---|---|---|---|---|---|---|---|---|---|---|---|---|---|---|---|---|---|---|---|---|
|
- 결선투표
선거 결과
2012년 1월 22일 실시된 1차 투표결과 과반수 득표자가 없어, 1,2위를 차지한 국민연합당의 니니스퇴 후보 (36.96 %)와 녹색 동맹의 하비스토 (18.76 %)가 결선 투표에 진출했다. 2월 5일 실시된 결선 투표에서는 니니스퇴 후보(62.59 %)가 하비스토 후보(37.41 %)를 비교적 큰 표차로 누르고 차기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후보 | 정당 | 1차 투표 | 결선 투표 | |||
---|---|---|---|---|---|---|
득표 | % | 득표 | % | |||
사울리 니니스퇴 | 국민연합당 | 1,131,254 | 36.96 | 1,802,328 | 62.59 | |
페카 하비스토 | 녹색동맹 | 574,275 | 18.76 | 1,077,425 | 37.41 | |
파보 배이뤼넨 | 중앙당 | 536,555 | 17.53 | |||
티모 소이니 | 진정한 핀란드인 | 287,571 | 9.40 | |||
파보 리포넨 | 사회민주당 | 205,111 | 6.70 | |||
파보 아르힌매키 | 좌파동맹 | 167,663 | 5.48 | |||
에바 비아우뎃 | 스웨덴인 인민당 | 82,598 | 2.70 | |||
사리 에사야 | 기독교민주당 | 75,744 | 2.47 | |||
유효표 계 | 3,060,771 | 100.0 | 2,879,753 | 100.0 | ||
무효표 | 9,658 | 0.31 | 25,133 | 0.87 | ||
합계/투표율 | 3,070,429 | 67.94 | 2,904,886 | 65.98 | ||
출처: 핀란드 법무부 – 1차 투표, 결선 투표 |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