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표에 나타난 정당지지율 여론조사는 가장 최근 순부터 날짜 역순으로 배치했다. 우크라이나 선거법상 봉쇄 조항인 정당지지율 5%[1]를 넘기는 경우는 굵은 글씨로 표시했고, 정당지지율 1위인 정당은 표의 배경에 색칠해서 나타냈다. 지지율이 동률인 경우에는 양당 모두 색칠하지 않았다. 맨 오른쪽의 '격차' 란은 가장 높은 지지율을 기록한 제1당과 제2당 차이의 지지율 격차를 퍼센트 포인트(%p)로 나타냈다. 여론조사 결과의 날짜는 결과 공개일이 아닌 여론조사를 진행한 마지막 날 순으로 배치했다. 단, 여론조사 진행 날짜를 알 수 없는 경우 조사 발표일을 사용했다.
자세한 정보 날짜, 조사기관 ...
날짜 |
조사기관 |
지역당 |
조국당 |
UDAR |
스보보다 |
공산당 |
포로셴코 블록 |
급진당 |
CP |
SU |
자조당 |
PF[a] |
기타 |
격차 |
|
|
|
|
|
|
|
|
|
|
|
2014년 10월 28일 |
2014년 우크라이나 총선 결과 |
– |
5.68 |
– |
4.71 |
3.88 |
21.82 |
7.45 |
3.11 |
3.12 |
10.98 |
22.14 |
17.11[b] |
0.32 |
2014년 우크라이나 총선 |
10월 12–21일 |
Gorshenin Institute |
[c] |
10.4 |
[d] |
3 |
2.8 |
24.2 |
7.4 |
5.4 |
4 |
5.3 |
7.9 |
7.1[e] |
13.8 |
10월 9–18일 |
KIIS, Ilko Kucheriv Democratic Initiatives Foundation |
[c] |
4.7 |
[d] |
2 |
2.8 |
20.5 |
8.6 |
3.3 |
3.75 |
5.8 |
6.8 |
9.75[f] |
11.9 |
10월 1–8일 |
Rating |
[c] |
6.9 |
[d] |
~4 |
4.5 |
33.5 |
12.8 |
4.6 |
7.8 |
5.4 |
8.9 |
~11.6[g] |
20.7 |
9월 24일 – 10월 5일 |
GfK Ukraine |
|
8.7 |
|
|
|
29.9 |
7.6 |
7.3 |
|
|
7.0 |
|
21.2 |
9월 19–22일 |
Active Group |
[c] |
6.3 |
[d] |
4 |
2.9 |
40.8 |
11.7 |
8.2 |
4.7 |
2.0 |
6.6 |
12.8 |
29.1 |
9월 15–21일 |
All-Ukrainian Sociological Service[h] |
[c] |
11.7 |
[d] |
9.4 |
2.4 |
40.5 |
12.5 |
6.6 |
4.7 |
3.2 |
6.6 |
2.4 |
28 |
9월 12–21일 |
KIIS, Ilko Kucheriv Democratic Initiatives Foundation |
[c] |
7.8 |
4.3 |
4.7 |
4.5 |
39.5 |
10.4 |
6.9 |
5.2 |
2.6 |
5.8 |
8.2 |
29.1 |
9월 5–12일 |
UISPP (NAPS) |
2.0 |
7.9 |
4.6 |
4.6 |
4.2 |
31.5 |
12.7 |
6.6 |
6.3 |
3.0 |
8.1 |
8.7 |
18.8 |
9월 5–10일 |
SOCIS |
1.9 |
8.1 |
[d] |
4.5 |
2.9 |
45.7 |
13.7 |
8.1 |
4.4 |
2.0 |
5.6 |
3.1 |
32.0 |
8월 23일 – 9월 2일 |
KIIS |
3.8 |
6.1 |
[d] |
4.4 |
4.6 |
37.1 |
13.1 |
9.7 |
7.8 |
2.9 |
6.4 |
2.3 |
24.0 |
2014년 총선 선거운동 시작 (9/1-) |
8월 14–25일 |
GfK Ukraine |
2 |
13[i] |
6 |
4 |
3 |
16 |
14 |
7 |
6 |
1 |
-[j] |
2 |
2 |
7월 16–23일 |
KIIS |
2.7 |
17.4 |
11.5 |
6.9 |
3.9 |
11.1 |
22.2 |
11.5 |
5.3 |
3.3 |
- |
4.2 |
4.8 |
6월 28일 – 7월 10일 |
Rating |
3.8 |
16.6[k] |
8.7 |
4.8 |
4.4 |
27.8 |
11.5 |
5.3 |
4.0 |
1.0 |
- |
7.6 |
11.2 |
2014년 우크라이나 대선 (5/25) |
5월 8–18일 |
Democratic Initiative Foundation |
3[l] |
10.4 |
6.8 |
3.1 |
5.2 |
22.4 |
4.5 |
NP[c] |
4.2 |
1.2 |
- |
4.3[m] |
12 |
5월 8–13일 |
Rating |
9[n] |
17.4 |
13.1 |
6.6 |
6.3 |
26.6 |
7.2 |
6.8 |
– |
0.8 |
- |
6.2 |
9.2 |
4월 25–29일 |
Razumkov Centre |
11.6[n] |
20.3 |
12.2 |
5.2 |
6.5 |
31.1 |
5.7 |
– |
– |
- |
- |
7.4 |
10.8 |
3월 14–26일 |
International Republican Institute[h][o] |
9.5 |
25.5 |
19 |
8 |
6.5 |
17.5 |
– |
– |
– |
- |
- |
16 |
6.5 |
3월 14–19일 |
SOCIS, KIIS, Rating, Razumkov Centre |
13.6 |
22.2 |
16.4 |
5.2 |
6.9 |
21.6 |
5.7 |
– |
– |
- |
- |
8.5 |
0.6 |
3월 1–6일 |
Social Monitoring Centre[h] |
16.6 |
21.7 |
19.8 |
6.5 |
7.9 |
13.7 |
4.4 |
– |
– |
- |
- |
9.5 |
0.9 |
2월 24일 – 3월 4일 |
SOCIS |
12.9 |
22.7 |
22.3 |
6.5 |
7.1 |
18.9 |
3.7 |
– |
– |
- |
- |
5.9 |
0.4 |
2월 28일 – 3월 3일 |
KIIS[h] |
16.2 |
24 |
25.4 |
7.1 |
10.8 |
4.6 |
5.4 |
– |
– |
- |
- |
6.7 |
1.4 |
2014년 우크라이나 혁명 (2/23) |
1월 24일 – 2월 1일 |
SOCIS |
29.2 |
21.4 |
23.4 |
5.6 |
5.8 |
9.8 |
1.1 |
– |
– |
- |
- |
3.5 |
5.8 |
1월 17–26일 |
SOCIS |
29.2 |
20.2 |
23.8 |
6.7 |
7.6 |
9.4 |
0.7 |
– |
– |
- |
- |
2.3 |
5.4 |
2014년 시작 |
12월 23–27일 |
R&B Group[h] |
36.6 |
22.1 |
21.8 |
9.4 |
7.1 |
– |
– |
– |
– |
- |
- |
3.1 |
14.5 |
12월 7–17일 |
Rating[h] |
28.1 |
23.6 |
22.1 |
7.8 |
7.6 |
4.9 |
1.0 |
– |
– |
- |
- |
4.7 |
4.5 |
9월 30일 – 10월 8일 |
Razumkov Centre[h] |
27.7 |
27.9 |
21 |
7 |
9.3 |
– |
0.8 |
– |
– |
- |
- |
6.2 |
0.2 |
9월 26일 – 10월 6일 |
Rating |
27.0 |
26 |
21 |
9 |
10 |
– |
– |
– |
– |
- |
- |
7.0 |
1.0 |
9월 15–25일 |
R&B Group[h] |
32.9 |
27.9 |
19.9 |
7.9 |
9.1 |
– |
– |
– |
– |
- |
- |
2.5 |
5.0 |
2013년 시작 |
2012년 10월 28일 |
2012년 우크라이나 총선 결과 |
30 |
25.6 |
14 |
10.5 |
13.2 |
– |
1.08 |
– |
– |
- |
- |
6.9 |
4.4 |
참조:
야권전선은 선거 결과 9.43%의 지지율로 집계되었다.
이 여론조사에서 본 정당은 독립정당 항목으로 들어가거나 '기타' 항목으로 들어가버려서 개별 정당으로 집계되지 않았다.
이 여론조사에서 투표 의향이 있는 응답자 중 19%가 어느 정당에 투표할지 결정하지 못했고, 3.5%는 질문에 답하지 않았다.
이 여론조사에서는 투표 의향이 있는 응답자 중 32%가 어느 정당에 투표할 지 결정하지 못했다.
이 여론조사에서 야권전선이 5.1%의 지지율이 나오며 총선 봉쇄조항을 돌파했다.
이 조사에서는 어느 정당을 지지하지 결정하지 않았거나 기권(백지투표 혹은 투표장 미방문)으로 답한 유권자를 제외한 응답자의 여론조사 결과이다. 다른 설문조사 및 기타 공식 선거결과와 결을 맞추기 위해 이 표에 제시된 결과는 3의 법칙을 적용하여 여론조사 총계에서 미응답 및 기권 유권자를 무시하여 얻은 결과이다.
이 지지율은 만약 아르세니 야체뉴크가 조국당 비례정당명부에 있음을 가정할 경우에서 집계되었다.
아르세니 야체뉴코와 올렉산드르 투르치노우의 신생정당의 지지율은 당시 막 창당했으나 집계되지 않았다.
이 여론조사에서 바트키우시나 선거연합에 소속된 정당인 변화를 위한 전선은 개별 항목으로 따로 집계되어 3.4%의 지지율이 나왔다.
이 여론조사에서부터는 강한 우크라이나 당의 지지율이 SU에 표기된다.
이 여론조사에서 응답자의 23.1%는 누구에게 투표할지 결정하지 못했으며, 11.8%는 투표에 참여하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일부 여론조사는 데이터를 반올림하여 모든 지지율을 .0 혹은 .5로 맞춰서 표기한다. 이 여론조사는 동일한 값에서의 서로 다른 해석을 막기 위해 총계에서 기권/미응답 응답자의 경우에도 전부 반올림을 반영한다.
|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