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2018년 FIVB 여자 배구 네이션스리그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2018년 FIVB 여자 배구 네이션스리그는 매년 열리는 국제 여자 배구 대회로 16개국 국가대표팀이 참가하는 FIVB 여자 배구 네이션스리그의 첫 대회이다. 이전의 FIVB 배구 월드그랑프리를 대체하는 대회이기도 하다. 2018년 5월 15일 개막되었으며, 결선이 중국 난징시 난징 올림픽 스포츠 센터에서 개최되었다.
진출팀
16개팀이 대회에 참가한다. 핵심팀 12개팀은 강등되지 않으며, 도전팀 4개팀은 강등될 수 있다.
방식
예선
16개 팀이 매주 4개 조로 나뉘어 5주간 총 120경기의 리그전을 치른다. 상위 5개팀과 개최국이 결선에 진출하며, 핵심팀은 최소 한 번의 조별 리그를 개최해야 한다.
도전팀 가운데 최하위팀은 챌린저컵으로 강등되며, 챌린저컵 우승팀이 다음 대회에 도전팀으로 참가하게 된다.
결선
진출한 6개 팀이 2개 조로 나뉘어 리그전을 치른다. 각 조 상위 2개 팀이 4강에 진출하며 조 1위팀은 다른 조 2위와 경기를 치른다. 4강 승리팀은 결승전에 진출하며 패배팀은 3위 결정전을 치른다.
조편성
2018년 2월 16일 조편성이 발표되었다[1]
예선
결선
개최지
2018년 2월 16일 개최지가 발표되었다.[1]
예선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결선
![]() |
---|
난징 올림픽 스포츠 센터 |
수용인원: 61,443 |
![]() |
대회 일정
· | 예선 | · | 결선 |
순위 선정 방식
- 승리한 경기 수
- 같을 시에는 각 경기당 획득한 승점을 통해 결정
- 3–0 또는 3–1 승리: 승리팀이 3점, 패배팀이 0점 획득
- 3–2 승리: 승리팀이 2점, 패배팀이 1점 획득
- 몰수 경기: 승리팀이 3점, 패배팀이 0점 획득 (점수는 0–25, 0–25, 0–25)
- 승수와 승점도 같을 시에는 다음 순서대로 순위를 결정
- 세트득실률: 승리한 세트 수를 패배한 세트 수로 나눈 몫으로 순위를 결정
- 점수득실률: 세트득실이 같을 시에는 득점을 실점으로 나눈 몫으로 순위를 결정
- 점수득실률도 같을 시에는 동률팀들간 리그전을 치러 순위를 정함
선수 명단
대회에 참가하는 16개국 국가대표팀은 21명의 선수 명단을 등록해야한다. 그 가운데 매주 14명을 선발하여 해당 주차 대회 시작 2일 전에 제출해야 한다.
예선
결선 진출 | |
개최국 자격으로 결선 진출 | |
승강 플레이오프 강등 |
순위
1주차
1조
- 경기장:
러시아 예카테린부르크 Team Sports Palace
- 시간은 예카테린부르크 시간 (UTC+05:00) 기준.
2조
3조
4조
2주차
5조
6조
7조
8조
3주차
9조
- 경기장:
네덜란드 아펠도른 옴니스포츠 아펠도른
- 시간은 중앙유럽 일광 절약 시간대 (UTC+02:00) 기준.
10조
- 경기장:
세르비아 크랄레보 크랄레보 스포츠홀
- 시간은 중앙유럽 일광 절약 시간대 (UTC+02:00) 기준.
11조
12조
4주차
13조
- 경기장:
네덜란드 로테르담 톱스포르트센트럼 로테르담
- 시간은 중앙유럽 일광 절약 시간대 (UTC+02:00) 기준.
14조
15조
16조
- 경기장:
폴란드 비드고슈치 우츠니즈카
- 시간은 중앙유럽 일광 절약 시간대 (UTC+02:00) 기준.
5주차
17조
- 경기장:
독일 슈투트가르트 포르쉐아레나
- 시간은 중앙유럽 일광 절약 시간대 (UTC+02:00) 기준.
18조
- 경기장:
폴란드 바우브지흐 Centrum Sportowo-Rekreacyjne Aqua Zdrój
- 시간은 중앙유럽 일광 절약 시간대 (UTC+02:00) 기준.
19조
- 경기장:
이탈리아 에볼리 PalaSele
- 시간은 중앙유럽 일광 절약 시간대 (UTC+02:00) 기준.
20조
- 경기장:
아르헨티나 산타페 Gimnásio del Campus de la Universidad Tecnológica Nacional
- 시간은 아르헨티나 표준시 (UTC−03:00) 기준.
Remove ads
결선
- 경기장:
중국 난징시 난징 올림픽 스포츠 센터
- 시간은 중국 표준시 (UTC+08:00) 기준.
조별리그
준결승전 진출 |
A조
B조
4강
준결승전 | 결승전 | |||||
6월 30일 | ||||||
![]() | 0 | |||||
7월 1일 | ||||||
![]() | 3 | |||||
![]() | 2 | |||||
6월 30일 | ||||||
![]() | 3 | |||||
![]() | 3 | |||||
![]() | 1 | |||||
3위 결정전 | ||||||
7월 1일 | ||||||
![]() | 0 | |||||
[[파일:Flag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svg|border|22x20px|링크=]] 중화인민공화국 | 3 |
준결승전
3위 결정전
결승전
최종 순위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