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2024년 하계 올림픽 브레이킹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2024년 하계 올림픽 브레이킹(프랑스어: Breakdance aux Jeux olympiques d'été de 2024)은 2024년 하계 올림픽의 정식 종목으로 진행되는 브레이킹 경기로[1] 2024년 7월 27일부터 8월 5일까지 프랑스 파리 콩코르드 광장에서 열린다.
브레이킹이 하계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포함된 것은 이번이 사상 처음이며 댄스스포츠 전반으로도 사상 처음이다.[2][3] 2018년 하계 청소년 올림픽에서 처음으로 정식종목으로 채택된 브레이킹은 2024년 파리 올림픽에서 스포츠클라이밍, 서핑과 함께 추가종목 3개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4][5] 이번 대회에 출전하는 선수 규모는 총 32명 (남녀 16명)으로 1대1 개인종목으로 진행된다.[6]
Remove ads
경기 방식
브레이킹은 1970년대~1980년대 무렵 미국의 힙합 문화에서 형성된 춤으로 뉴욕의 브롱크스에서 시작되었다.[7] 특유의 격렬한 몸 동작으로 서로 대결을 펼치는 문호가 오래 전부터 있었다. 21세기에 들어 이러한 경연은 점차 세계적인 대회로 발전하였고[8] 2022년 아시안 게임에서 스포츠로서 도입되었고[9], 2024년 하계 올림픽에서 올림픽의 정식 종목으로 경기가 열리게 되었다.
브레이킹 경기는 남녀 메달전의 총 2개 종목으로 진행된다. 남자전은 '비보이' (B-Boys), 여자전은 '비걸' (B-Girls)로 칭하며, 각각 16명의 선수가 솔로 배틀을 통해 우열을 가린다. 본인의 실명으로 경기를 치르는 다른 경기들과 달리 올림픽 브레이킹은 문화적 배경을 존중하여 활동명으로 출전한다.[10]
각 선수는 DJ의 트랙비트에 맞춰 즉흥적으로 움직이면서, 윈드밀 (windmill) 등의 파워무브 (Powermove), 식스 스텝 등의 풋워크, 프리즈 (Freeze) 등 다양한 테크닉을 조합하고 응용하여 각자 점수를 얻는다. 심사위원으로부터 가장 높은 점수와 라운드를 획득한 브레이커가 솔로 배틀에서 승리한 것으로 간주, 그 다음 라운드로 진출하게 된다.[11][12]
브레이킹은 모든 동작이 즉흥적으로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지만 크게 보아 탑락, 다운락, 프리즈로 나눌 수 있다. 탑락은 서서하는 동작을, 다운락은 신체의 일부는 플로어에 나머지는 공중에 띄운 동작을, 프리즈는 고난이도 동작을 하는 상태에서 일시적으로 멈춰서는 기술을 말한다.[10] 선수들은 "스로 다운"이라는 방식으로 개인별 우열을 겨룬다. 한 선수가 먼저 퍼포먼스를 보이면 그 뒤를 이어 상대 선수가 자신의 퍼포먼스를 선보이며 이렇게 주고 받은 퍼포먼스는 심사위원이 평가하여 점수를 매긴다. 한 경기는 모두 3 라운드로 진행되며 점수는 모든 라운드의 점수를 합하는 것이 아니라 각 라운드별로 우열을 가리는 세트 방식으로 승자를 정한다.[10] 다른 경기와 달리 선수는 음악을 선택할 수 없고 진행하는 DJ의 선곡에 맞추어야 한다.[10]
Remove ads
예선
남녀 16명씩 총 32명의 출전권이 배정되며, 출전자격을 충족한 선수는 본 대회 경쟁에 나갈 수 있다. 2개 종목에 걸쳐 한 국가당 최대 4명 (남녀 2명)씩 출전이 가능하다.[13][14]
전체 출전권 가운데 80%이 별도 예선전을 통해 배분된다. 우선 2023년 9월 23일~24일 벨기에 뢰번에서 치러지는 WDSF 세계선수권대회의 남녀 우승자는 올림픽 본선으로 직행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각 지정된 대륙별 선수권대회 (아시아, 아프리카, 아메리카, 유럽, 오세아니아) 우승자 10명 (남녀 각 5명)도 본선에 진출한다. 이때 한 국가당 최대 2명 출전 규칙도 적용된다. 나머지 20명에 달하는 진출권은 2024년 3월~6월 전세계 각지에서 넉달간 진행되는 올림픽 예선 시리즈를 통해 배분된다.[15]
개최국 프랑스는 남녀 1명 출전권을 자동 확보하며, 다양성 원칙에 따른 올림픽 본선 초청으로 이번 올림픽 출전 자격을 갖춘 국가에게 남녀 각 2명의 출전권이 부여될 수 있다. 이 때 해당 국가의 선수들은 넉 달간 진행되는 올림픽 예선 시리즈의 최종랭킹에서 각 종목별 상위 32위 이내에 진입해야 한다.[15]
Remove ads
일정
예 | 예선 | 결 | 결승 |
후 = 오후 타임 / 현지시각 16:00 시작 (한국 시각 23시)
밤 = 야간 타임 / 현지시각 20:00 시작 (한국 시각 3시)
밤 = 야간 타임 / 현지시각 20:00 시작 (한국 시각 3시)
경기 결과
메달리스트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