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300승 클럽
위키미디어 목록 항목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서 300승 클럽(300 win club)에는 300승 혹은 그 이상을 올린 투수들이 가입되어 있다. 지금까지 24명의 투수가 이 기록을 달성했다. 프로 야구 초창기에는 투수가 타자보다 유리했던 여러 규칙이 있었는데, 투수가 공을 던지는 자리에서 홈플레이트까지의 거리는 현재보다 짧았으며, 투수들은 공의 궤적을 까다롭게 하기 위해 이물질을 사용할 수 있었다.[1] 처음으로 300승을 달성한 투수는 1888년의 퍼드 갤빈이다. 19세기에 활동했던 선수들 중 7명(갤빈, 사이 영, 키드 니콜스, 팀 키프, 존 클락슨, 찰스 래드번, 그리고 미키 웰치)이 이 클럽에 가입했고,[2] 20세기의 첫 25년 동안 4명의 투수(크리스티 매슈슨, 월터 존슨, 에디 플랭크, 그리고 그로버 클리블랜드 알렉산더)가 이 클럽에 추가로 가입했다.[1] 역대 다승 1위의 기록은 영의 511승으로서, 이 기록은 현재에도, 그리고 앞으로도 절대 깨지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3] 현대 야구에서 투수가 25시즌 동안 매년 20승을 거둔다고 하더라도, 영의 기록에는 11승이 모자란다.

1924년부터 1982년까지 오직 세 명의 투수(레프티 그로브, 워런 스판, 얼리 윈)만이 300승 클럽에 가입했는데, 이렇게 줄어든 이유는 스핏볼의 금지,[1][참고 1] 밥 펠러와 같은 선수들의 제2차 세계 대전 참전,[5] 경기에서 홈런의 중요성이 늘어난 것 등 여러 가지 요소로 설명될 수 있다.[1] 홈런이 흔해지면서, 투수에게 신체적이고 정신적인 요구가 더욱 높아졌으며, 이는 4인 선발 로테이션의 사용을 불러왔다.[1][2] 1982년부터 1990년까지 6명의 선수(게일로드 페리, 필 니크로, 스티브 칼턴, 놀런 라이언, 돈 서턴, 그리고 톰 시버)가 300승 클럽에 더 가입했다.[2] 이 투수들은 분업으로 인한 구원투수의 증가와 확장된 스트라이크 존, 그리고 투수에게 유리하고 타자에게 불리한 새로운 구장들(셰이 스타디움, 다저 스타디움, 그리고 애스트로돔)의 도움을 받았다.[2] 또한, 훈련 방법과 토미 존 수술과 같은 스포츠 의학에서의 발전은 선수들로 하여금 더 오랜 시간 동안 더 경쟁적인 수준을 유지할 수 있게 했다.[6] 그 예들 중 하나로, 랜디 존슨의 경우 20대에 기록했던 승수보다 40대에 쌓아올린 승수가 더 많다.[7]
1990년대 이후로는 오직 네 명의 투수, 로저 클레멘스, 그레그 매덕스, 톰 글래빈, 그리고 존슨만이 300승 클럽에 가입했다. 20세기 후반부터 달라진 경기의 양상은 300승의 도달을 더욱 어렵게 하고 있으며, 심지어 20세기 중반보다도 어렵다.[8] 4인 선발 로테이션은 5인 선발 로테이션으로 변화되었으며, 이는 투수가 더 많은 승수를 쌓기 어렵게 만드는 한 요인이 되고 있다.[2] 파업으로 시즌이 줄어들었던 기간을 제외하고, 2006년 처음으로 20승 투수가 나오지 않았다. 2009년에도 다시 이와 같은 일이 일어났다.[9]
300승은 야구 명예의 전당에 들어갈 수 있는 보증 수표처럼 여겨지는데,[10][11][12] 이 투수들이 클레멘스를 제외하고 모두 명예의 전당에 올랐기 때문이다.[13] 클레멘스만이 지난 2013년 명예의 전당 투표에서 첫 후보로 올라 입성 요건에 절반에만 해당하는 표를 얻었고,[14] 다음해에는 더 적은 표를 받았다.[15] 그는 경기력 향상 약물 사용에 연루되어 있기 때문에 입성 여부가 불확실하다.[16] 명예의 전당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은퇴한지 5년이 지나'거나 사망한지 최소 6개월 이상이어야 한다.[17] 많은 야구 기자들과 통계학자들은 가까운 미래에 이 클럽에 가입하는 선수는 거의 없을 것이라고 장담하고 있다.[13][18][19] 300승 클럽 가입자 중 10명은 3000 탈삼진 클럽에도 가입되어 있다.[20]
Remove ads
설명


회원
Remove ads
같이 보기
주해
참조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