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야구 용어 목록

위키미디어 목록 항목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다음은 야구에서 사용되는 용어를 정리한 목록이다.

0-9

투수가 던진 공을 타자가 타격하여, 아웃이 되지 않고 안전하게 2루에 도착하게 친 타구.
투수가 던진 공을 타자가 타격하여, 아웃이 되지 않고 안전하게 3루에 도착하게 친 타구.
  • 5툴 플레이어 (five-tool player)
야구에서 장타력, 컨택트, 스피드, 수비, 송구능력을 모두 갖춘 선수.

A-Z

  • WHIP (Walks Plus Hits Divided by Innings Pitched)
투수의 이닝당 안타 및 볼넷 허용률. 피안타 수와 볼넷 수의 합을 투구 이닝으로 나눈 수치이며, 몸에 맞는 공은 여기에 포함되지 않는다.

타자가 타격한 페어 볼이 땅에 맞고 담장을 넘어가거나, 담장 틈에 낀 경우. 이 상황이 나오면 타자와 모든 주자에게 안전진루권 2개가 주어진다.
9회말 이후의 한 이닝의 말에 후공 팀의 점수가 선공 팀의 점수를 앞서게 되는 상황. 이 상황이 나오면 경기가 바로 종료된다.

  • 단타 (短打, single) (= 1루타)
투수가 던진 공을 타자가 타격하여, 아웃이 되지 않고 안전하게 1루에 도착하게 친 타구.
인플레이 상황에서, 주자가 공과 상관없이 다음 베이스로 가려고 시도하는 행위.

  • 백스톱(back stop), 백네트(back net)
포수의 뒤에 설치된 그물망. 공이 그라운드를 벗어나 경기에 차질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야구의 과격한 플레이 도중 발생할 수 있는 강하고 빠른 타구에 관중이 다치지 않도록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야구장의 표준 규격에 따르면 홈 플레이트로부터 최소 20야드(18.288m) 이상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어야 한다.
방망이를 스윙하지 않고 공에 살짝 갖다 대어, 내야에 천천히 구르도록 유도하는 타격 기술.
부정 투구 동작으로 인한 투수의 반칙 행위. 투수가 보크를 범하면, 심판의 선언에 따라 모든 주자가 한 루씩 안전 진루한다.
투수가 정규로 던진 공이 스트라이크 존이 아닌 곳을 통과했을 때, 타자가 배팅을 하지 않은 경우. 공의 통과 지점과 상관없이 타자가 헛스윙을 한 경우는 스트라이크가 된다. 볼이 네 번 선언되면 타자는 1루로 진루하게 된다.
  • 볼넷 (base on balls) (이전 명칭: 포볼/four ball)
타자가 네 개의 볼을 골라내어 1루로 진루하는 것. 안전하게 걸어나간다는 의미로 워크(walk)라고도 한다.
  • 불펜 (bullpen) (약칭: /pen)
구원 투수들이 경기에 투입되기 전 몸풀기를 하는 구역.
Remove ads

투수가 던진 공에 의해 스트라이크가 세 번 선언된 경우로, 타자는 원칙적으로 아웃 처리된다. 예외로 포수가 세 번째 스트라이크를 제대로 포구하지 못한 경우는, 타자가 진루하여 1루에 도착하기 전에 1루수에게 송구하지 않으면 타자의 아웃이 되지 않는다.
앞서고 있는 팀의 마무리 투수가 경기 종료시까지 앞선 상황을 지켜낸 경우에 부여되는 기록.
투수가 정규로 던진 공이 스트라이크 존을 통과하거나, 타자가 헛스윙을 하거나 파울 또는 파울 팁이 된 경우. 스트라이크가 세 번 선언되면 타자의 아웃이 된다. 2스트라이크 이후 배트에 빗맞는 파울볼은 스트라이크로 간주되지 않으나, 파울 팁, 번트 인한 파울은 스트라이크로 간주되어 타자의 아웃이 된다.
팀의 승리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투수. 일반적으로 리드를 뺏기지 않고 해당 리드를 잡기 전에 마지막으로 투구한 승리팀의 투수에게 부여되는 기록이다. 선발 투수는 최소 5이닝 이상 호투해야 기록을 받을 수 있으며, 이 조건을 만족하지 못한 경우는 기록원의 판단에 따라 그 경기에서 가장 효과적인 투구를 한 후발 투수가 승리 투수로 기록된다.
  • 실투 (失投, bad pitch)
투수가 공을 던질 때 실수하여, 타자가 치기 좋은 공이나 포수가 잡기 어려운 공을 던진 경우.
Remove ads

타자나 주자가 타격이나 주루 자격을 잃는 것. 아웃이 되면 해당 타자나 주자는 덕아웃으로 돌아가야 한다. 한 이닝에 아웃이 세 번 선언되면 그 이닝은 끝나며, 다음 이닝으로 넘어간다.
투수가 던진 공을 타자가 타격하여, 아웃이 되지 않고 1루 이상 진루할 수 있게 친 타구.
아웃카운트가 1개 이하이고, 1루와 2루에 주자가 있는 상황(만루 포함)에서의 내야 플라이. 고의 낙구를 이용한 병살이나 삼중살을 방지하기 위해, 야수가 충분히 잡을 수 있다고 판단되면 미리 플라이 아웃을 선언할 수 있다.

투수의 책임이 되는 실점. 안타나 희생타, 볼넷, 사구, 폭투, 야수 선택, 도루에 의해 주자가 득점한 경우가 여기에 해당된다.

타자가 가진 볼과 스트라이크의 수. 볼이 4개가 되면 타자는 안전하게 1루로 갈 수 있으며, 스트라이크가 3개가 되면 삼진으로 아웃이 된다.

  • 타자 (打者, batter, hitter)
방망이를 이용해, 투수가 던지는 공을 타격하는 선수.
포수에게 공을 던지는 선수. 타자가 공을 쳐내지 못하게 던져야 한다.

패배팀에서 상대 팀에게 마지막으로 리드를 허용한 투수.
  • 평균자책점 (平均自責点, earned run average) (이전 명칭: 방어율/防禦率)
투수의 9이닝당 자책점. 「(9 × 자책점) ÷ 투구 이닝」으로 구한다.
투수가 던진 공이 타자나 방망이에 맞지 않고 포수가 잡을 수 없는 곳으로 가서, 타자나 주자가 진루에 성공한 경우.
  • 풀 카운트 (full count)
카운트가 3볼 2스트라이크인 경우. 이 상황에서 타자가 친 공(번트 제외)이 파울볼이 되면 2스트라이크를 무한정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풀 카운트에서의 투구가 반드시 타석의 마지막 투구는 아니다.
투수가 공을 던지거나 타자가 공을 치기 전에 적용되는 시간 제한.
Remove ads

투수가 던진 공을 타자가 타격하여 공이 담장을 넘어가거나, 타격을 한 뒤 한 번에 모든 루를 통과하여 홈으로 돌아와 득점을 올리는 것.

같이 보기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