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60미터 달리기
직선 60미터를 달리는 육상 종목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60미터 달리기(영어: 60 metres, 60-meter dash)는 육상 트랙 및 필드에서 열리는 단거리 달리기 종목 중 하나이다.[1] 보통 실외 100미터 달리기 최고 선수들이 참여하는 실내 선수권 종목이다. 실내 대회에서 60미터 달리기는 같은 거리의 허들 종목과 마찬가지로 필드 중앙에 마련된 레인에서 진행되기 때문에 실내 대회에서 다른 트랙 종목이 진행되는 외곽 트랙의 영향을 일부 피할 수 있다.[2] 야외 경기에서는 최소 시니어 선수에게는 경기가 거의 진행되지 않는 종목이다.[1]
종목 진행 방식은 기타 단거리 달리기와 거의 비슷하다. 선수들이 스타팅 블록에서 출발 자세를 잡은 후, '셋' 지시와 함께 근육을 등척성 운동을 하여 효율적인 출발 자세 준비를 하라고 지시한다. 마지막으로 신호총을 발사해 출발 신호를 보내면 선수들이 출발한다.[3][4][5]
60미터 달리기는 1900년과 1904년 하계 올림픽에서 올림픽 종목으로 채택되었으나 이후 한동안 종목에서 제외되었다. 현재 남자 60미터 달리기 세계 기록은 미국 육상 선수인 크리스틴 콜먼의 6초 34이며,[6] 여자 60미터 달리기 세계 기록은 러시아 육상 선수인 이리나 프리발로바의 6초 92이다.
2020년 도쿄 올림픽 육상 준결승에서 쑤빙톈이 100미터 달리기 경기에서 가장 빠른 60미터 직선 달리기 신기록이자 전 육상 종목에서 가장 빠른 60미터 구간 신기록인 6초 29를 기록했다.[7]
과거에는 육상 선수들이 60야드 달리기(약 54.36 m)에 출전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는 60미터 달리기 계보에는 속하지 않으나 현 55미터 달리기의 전신이 된다. 60미터는 약 65.6168야드이다.
Remove ads
60미터 트랙 대 60미터 실내
전통적으로 실내 60미터 달리기 종목은 100미터 달리기 종목의 프리시즌 역할을 하며, 단거리 달리기 선수들은 실외 경기 시즌까지 최고 기량을 발휘하지 못한다. 이 때문에 최고의 단거리 선수들은 60미터 실내 달리기보다 100미터 실외 달리기의 60미터 전력질주 기록이 훨씬 좋으며, 바람 영향을 조정한 이후에도 비슷하며 특히 60미터의 단거리 경우에는 바람의 영향이 매우 적다. 특히 100미터 달리기 도중에 60미터 직선지점에 도달하고 선수들이 60미터 지점에서 피니쉬를 위해 몸을 앞으로 기울일 수 없다는 점을 생각한다면 최고 선수들이 야외 경기 시즌에 특별히 60미터 경기에 출전한다면 자신의 60미터 전력질주 기록보다 더 빠른 기록을 세울 수 있으리라 예상된다.
우사인 볼트는 실내 60미터 달리기에 한번도 출전하지 않았음에도 100미터 달리기 신기록을 달성했을 당시 60미터 질주에 6초 31을 기록하여 당시 역대 2번째로 빠른 60미터 질주 기록을 보였다.[8] 아사파 파월은 실내 60미터 달리기 최고 기록이 6초 44이지만 최고 60미터 전력질주 기록은 6초 32이다. 2012년 IAAF 세계 실내 육상 선수권 대회 60미터 달리기 우승자이자 최고 60미터 전력질주 기록 6초 34를 기록한 저스틴 개틀린은 60미터 달리기 최고 기록이 6초 45이다. 전 실내 달리기 세계 기록 보유자이자 1999년 IAAF 세계 실내 육상 선수권 대회 60미터 달리기 우승자인 모리스 그린은 60미터 달리기 기록이 6초 39이나 60미터 전력질주 기록은 6초 33이다. 현 60미터 달리기 세계 기록 보유자인 크리스틴 콜먼은 100미터 달리기 경기에서 60미터 전력질주 기록이 6초 32를 기록했는데, 이는 고도 1619 m에서 기록한 실내 60미터 세계 기록인 6초 34보다 훨씬 빠른 기록이다.[9]
2020년 도쿄 올림픽 당시에도 100미터 개인 최고 기록인 9초 83을 기록한 쑤빙톈은 당시 60미터 전력질주 기록이 6초 29로 60미터 달리기 최고 기록 6초 42를 뛰어넘었다.[10]
Remove ads
대륙별 세계 기록
Remove ads
최고 선수 25인 기록
요약
관점
아래는 실내 60미터 달리기 기록만 등재한다.
남자
2024년 2월 기준 기록이다.[13]
아래 목록은 도핑 문제로 무효 처리된 육상 성적이다.
실외 경기 최고 성적
+ = 100미터 달리기에서의 60미터 구간 성적이다.
아래 목록은 도핑 문제로 무효 처리된 육상 성적이다.
여자
2024년 2월 기준 기록이다.[37]
실외 경기 최고 성적
+ = 100미터 달리기에서의 60미터 구간 성적이다.
Remove ads
올림픽 메달리스트
같이 보기
- 남자 60m 달리기 세계 기록 추이
- 여자 60m 달리기 세계 기록 추이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