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8호 감방의 노래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8호 감방의 노래는 1919년 3·1 운동을 주동하여 서대문형무소 여옥사 8호 감방에 수감되었던 유관순 등 수감자들이 부른 창가의 총칭이다.

역사

3·1 운동 직후, 유관순, 심영식, 어윤희, 권애라, 신관빈, 임명애, 김향화 등 7명의 독립운동가는 서대문형무소 여옥사 8호 감방에 수감되어 있었다. 이들은 옥고를 치르는 두려움을 이겨내고자 창가를 지어 자주 불렀다고 한다. 심명식은 이 노래를 하도 많이 부르자 간수들이 시끄럽다고 제지하였다고 증언하였다. 가사는 7명 중 가장 학식이 있던 권애라가 지었을 것으로 추정되나, 불확실하다. 원래 불리던 노래를 개사한 것으로 추정되나, 심명식 사후 곡조는 전해지지 않고 있다.[1]

현재 남아 있는 창가는 모두 두 곡으로, 심명식이 생전에 아들 문수일에게 구술하였다. 두 노래는 《선죽교 피다리》(1991, 장수복 저)라는 소책자에 실린 바 있으나, 해당 책자는 소량만 발간되어 현재 실체를 확인할 수 없으며, 노래가 본격적으로 대중에게 공개된 것은 2019년 2월이다. 두 곡의 제목은 〈선죽교 피다리〉와 〈대한이 살았다〉로, 심명식이 문수일에게 알려준 제목으로 추정된다. 8호 감방에서 붙은 제목인지는 알 수 없다.[1]

진중이[주 1] 일곱이 진흙색 일복[주 2] 입고
두 무릎 꿇고 앉아 주님께 기도할 때
접시 두 개 콩밥덩이 창문열고 던져줄 때
피눈물로 기도했네 피눈물로 기도했네

〈선죽교 피다리〉[1]

대한이 살았다 대한이 살았다
산천이 동하고 바다가 끓는다
에헤이 데헤이 에헤이 데헤이
대한이 살았다 대한이 살았다

〈대한이 살았다〉[1]
Remove ads

재탄생

  • 2019년 2월 22일 가수 안예은이 〈8호 감방의 노래 (Women’s March)〉라는 제목으로, 두 곡의 가사를 한 곡으로 합쳐 부른 노래를 발표하였다.[2]
  • 2019년 2월 27일 〈대한이 살았다〉라는 노래가 발매되었다. 이 노래는 박정현이 부르고, 김연아가 나레이션을 담당하였으며, 정재일이 작곡하였다.[3]
  • 2022년 12월 7일 이강민 작곡의 <서사가 여 8호실>이 발매되었다. 이 곡에는 선죽교 피다리와 대한이 살았다. 그리고 그날이 오면은 이라는 창작곡이 함께 담겨 있다. 3.1 만세부터 시작하고 유관순 열사가 투옥 중에 펼친 3.1 만세 1주기까지의 역사를 담았다.[4]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