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세한 정보 일반 분류, 입상토 (200번 체를 통과하는 입자 비율 ≤35%) ...
일반 분류 |
입상토 (200번 체를 통과하는 입자 비율 ≤35%) |
실트-점토 (200번 체를 통과하는 입자 비율 >35%) |
분류 기호 |
A-1 |
A-3 |
A-2 |
A-4 |
A-5 |
A-6 |
A-7 |
A-1-a |
A-1-b |
A-2-4 |
A-2-5 |
A-2-6 |
A-2-7 |
A-7-5 A-7-6 |
체 분석, 통과량 (%)분류표
일반 분류 입상토
(200번 체를 통과하는 입자 비율 ≤35%) 실트-점토
(200번 체를 통과하는 입자 비율 >35%)
분류 기호 A-1 A-3 A-2 A-4 A-5 A-6 A-7
A-1-a A-1-b A-2-4 A-2-5 A-2-6 A-2-7 A-7-5 A-7-6
체 분석, 통과량 (%) 10번 체 (2.00 mm) ≤ 50 ... ... ... ... ... ... ... ... ... ...
40번 체 (0.425 mm) ≤ 30 ≤ 50 ≥ 51 ... ... ... ... ... ... ... ...
200번 체 (0.075 mm) ≤ 15 ≤ 25 ≤ 10 ≤ 35 ≤ 35 ≤ 35 ≤ 35 ≥ 36 ≥ 36 ≥ 36 ≥ 36
40번 체 통과분의 특성 액성한계 ... ... ≤ 40 ≥ 41 ≤ 40 ≥ 41 ≤ 40 ≥ 41 ≤ 40 ≥ 41
소성지수 ≤ 6 N.P.
(비소성) ≤ 10 ≤ 10 ≥ 11 ≥ 11 ≤ 10 ≤ 10 ≥ 11 ≥ 11
군지수 0 ≤ 4 ≤ 8 ≤ 12 ≤ 16 ≤ 20
주요 구성분 석편, 자갈, 모래 세사 (고운 모래) 실트질 또는 점토질의 자갈, 모래 실트질 흙 점토질 흙
노상토로서의 일반 등급 매우 좋음 - 좋음 - 보통 - 나쁨
단, A-7-5 군의 소성지수이며, A-7-6 군은 PI > LL − 30이다.
|
10번 체 (2.00 mm) |
≤ 50 |
... |
... |
... |
... |
... |
... |
... |
... |
... |
... |
40번체(0.425mm) |
≤ 30 |
≤ 50 |
≥ 51 |
... |
... |
... |
... |
... |
... |
... |
... |
200번 체 (0.075 mm) |
≤ 15 |
≤ 25 |
≤ 10 |
≤ 35 |
≤ 35 |
≤ 35 |
≤ 35 |
≥ 36 |
≥ 36 |
≥ 36 |
≥ 36 |
40번 체 통과분의 특성 |
액성한계 |
... |
... |
≤ 40 |
≥ 41 |
≤ 40 |
≥ 41 |
≤ 40 |
≥ 41 |
≤ 40 |
≥ 41 |
소성지수 |
≤ 6 |
N.P. (비소성) |
≤ 10 |
≤ 10 |
≥ 11 |
≥ 11 |
≤ 10 |
≤ 10 |
≥ 11 |
≥ 11 |
군지수 |
0 |
≤ 4 |
≤ 8 |
≤ 12 |
≤ 16 |
≤ 20 |
주요 구성분 |
석편, 자갈, 모래 |
세사 (고운 모래) |
실트질 또는 점토질의 자갈, 모래 |
실트질 흙 |
점토질 흙 |
노상토로서의 일반 등급 |
매우 좋음 - 좋음 |
보통 - 나쁨 |
닫기
단, A-7-5 군의 소성지수
이며, A-7-6 군은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