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Armageddon (aespa 음반)
2025년 aespa의 정규 음반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Armageddon"은 대한민국 걸그룹 aespa의 첫 정규 음반이다. 2024년 5월 27일 SM 엔터테인먼트를 통해 발매되었으며, 두 개의 싱글 "Supernova"와 "Armageddon"을 포함하여 총 10곡이 수록되어 있다.
Remove ads
배경 및 발매
2024년 4월 22일, SM 엔터테인먼트는 Aespa가 첫 정규 음반 "Armageddon"을 발매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또한 이 음반에는 "Supernova"와 "Armageddon" 두 개의 싱글이 수록될 예정이며, "Supernova"는 5월 13일에, "Armageddon"은 음반과 함께 5월 27일에 발매될 것이라고 발표했다.[1] 5월 2일, "Launch Code"라는 제목의 트레일러에서 홍보 일정이 공개되었다.[2] 8일 후, 하이라이트 메들리 티저 영상과 함께 트랙 리스트가 공개되었다.[3] 5월 12일, "Supernova"의 뮤직비디오 티저가 공개되었다.[4] "Supernova"는 5월 13일 뮤직비디오와 함께 공개되었다.[5] "Long Chat",[6] "Licorice",[7] 그리고 "Live My Life"의 티저 영상은 5월 15일부터 17일까지 공개되었다.[8] CD 플레이어가 포함된 "Armageddon" CDP 버전은 7월 19일에 발매될 예정이다.[9]
Remove ads
구성
총 10곡이 수록된 "Armageddon"은 팝 장르에 힙합, 댄스, 발라드 등 다양한 장르를 접목한 음반이다.[10][11] 첫 번째 트랙인 "Supernova"는 "강력한 킥과 베이스", "중독성 있는 탑 라인", "신시사이저 멜로디"가 특징인 "빛나는 우주적" 댄스 및 하이퍼팝 곡으로, 가사는 "다른 차원으로 가는 문을 여는 사건의 시작을 초신성에 비유하며 큰 폭발의 시작을 표현하여 Aespa의 확장된 세계관"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12][13][14] 두 번째 트랙인 "Armageddon"은 "올드스쿨하지만 트렌디한 트랙"으로 묘사되는 힙합 및 댄스 곡으로, "유연한 R&B 브릿지"와 "나 자신만이 나를 정의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는 가사가 특징이다.[15][16] "쿵쿵거리는" 멜로디인 "Set the Tone"은 "흥미진진한 신시사이저의 펀치"가 특징인 힙합 트랙이다.[12] 네 번째 곡 "Mine"은 그룹이 "두려움과 함께 성장하며 '깨진 거울'에 비친 '가짜 초상화'가 '나를 집어삼킬 것 같다'고 느끼는" 것을 반추하지만, 궁극적으로 걱정에도 불구하고 "꿋꿋하게 서 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17]
다섯 번째 트랙 "Licorice"는 "중독성 있는 팝록 훅", "빈티지 일렉 기타 사운드", "강력한 트랩 비트"가 특징인 댄스 곡이다.[12] 가사적으로는 "묘한 매력을 가진 사람을 감초에 비유하며 그 사람에게 이끌리는 감정을 위트 있게 표현"한다.[18] "시원한" 미드템포 팝 트랙인 "Bahama"는 "나른하고 황홀한 여름 코러스"와 "손뼉과 햇살 같은 반짝이는 멜로디" 위로 "친구를 제목에 등장하는 섬으로 여행하게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17][16] 일곱 번째 트랙 "Long Chat"은 "밤새도록 이어지는 다정한 대화"를 담은 가사가 특징인 댄스곡이다.[19] 활기찬 팝송 "Prologue"는 그룹이 "성장하는 과정의 어려움과 혼란을 다루고, 불안감, 실망감, 열정 상실을 인정"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12][17] 아홉 번째 트랙인 "Live My Life"는 "경쾌한 기타 기반의" 팝 펑크 곡으로, "인생에 정답이 없듯이 기존 틀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살아가는" 내용을 담고 있어 "자립적인 삶을 당당하게 살아가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20] 마지막 트랙 "Melody"는 그룹의 팬들에게 헌정하는 피아노 "팬 송"이다.[12]
Remove ads
평가
"Armageddon"은 음악 비평가들로부터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NME의 리안 데일리는 "Aespa가 자신들의 트레이드마크인 사운드와 음향에서 자유롭게 활약할 때, 그들은 그야말로 절묘하다"며 음반을 칭찬했다.[17] 더 포티 파이브에 글을 쓴 제네사 윌리엄스는 그룹이 "강하고 부드러운 사운드를 모두 실험하려는 의지"에 대해 높이 평가하며, Aespa가 "자신들의 USP(고유한 강점) 중 더 엣지 있는 부분에 충실할 때 진정으로 빛을 발한다"고 언급했다.[21] 그녀는 또한 그룹의 "배짱 있는 연금술과 태도가 음악계를 구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21] 롤링 스톤 인디아의 편집자 데바시리 더타는 Aespa의 "생생한 이야기"와 음반의 "시적인 풍경"을 칭찬하며, 이를 "각 곡에 엮인 감정, 분위기, 순간들로 가득 찬 다채롭고 심오한 청각적 경험"이라고 묘사했다.[22] 빌보드의 제프 벤자민은 이 음반을 "Aespa 디스코그래피의 예술적 진화"라고 묘사하며 "현실과 가상 영역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드는 확장된 다중 우주로 그들의 내러티브를 이끌었다"고 언급했다.[12]
더 가디언의 알렉시스 페트리디스는 별 5개 중 2개를 부여하며 엇갈린 평가를 내렸는데, "모든 것이 흥미롭고, 매우 잘 만들어졌으며 - Aespa의 비디오는 매력적이고 놀랍도록 높은 수준으로 제작되었지만 - 그들의 음악이 사후적으로 여겨질 수 있다는 의심을 불러일으킬 수밖에 없으며, 실제로 들어봐도 이러한 이론은 사라지지 않는다"고 묘사했다.[10]
상업적 성과
2024년 5월 27일, "Armageddon"이 선주문 판매에서 102만 장 이상 팔렸다고 보도되었다.[22][23] 중국에서 QQ 음악 디지털 앨범 판매 차트에서 1위를 차지했으며, 발매 3시간 만에 "더블 플래티넘 앨범"으로 인증받았다.[24]
수상 및 후보
Remove ads
곡 목록
Remove ads
참여 인력
요약
관점
크레딧은 음반의 라이너 노트에서 발췌하였다.[31]
스튜디오
- SM 웨이블릿 스튜디오 – 녹음 (트랙 1–2, 6, 9), 디지털 편집 (트랙 6, 9–10), 믹스 엔지니어링 (트랙 10)
- SM 드롭릿 스튜디오 – 녹음 (트랙 2, 7), 디지털 편집 (트랙 2), 믹스 엔지니어링 (트랙 2)
- SM 옐로우 테일 스튜디오 – 녹음 (트랙 3, 5), 디지털 편집 (트랙 1, 3)
- SM 오베 스튜디오 – 녹음 (트랙 4, 8), 디지털 편집 (트랙 4–5, 8)
- SM 도리 스튜디오 – 녹음 (트랙 5, 10)
- 바이브 뮤직 스튜디오 606 – 녹음 (트랙 10)
- 더 바이브 스튜디오 – 녹음 (트랙 10)
- SM 빅 샷 스튜디오 – 디지털 편집 (트랙 7), 믹싱 (트랙 5, 7)
- 둡둡 스튜디오 – 디지털 편집 (트랙 7)
- SM 블루 오션 스튜디오 – 믹싱 (트랙 1–2)
- SM 블루 컵 스튜디오 – 믹싱 (트랙 3–4)
- SM 스타라이트 스튜디오 – 믹싱 (트랙 6, 9–10)
- SM 콘서트 홀 스튜디오 – 믹싱 (트랙 8)
- 821 사운드 – 마스터링 (모든 트랙)
참여 인력
- SM 엔터테인먼트 –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 이성수 – A&R 이그제큐티브
- 탁영준 – IP 이그제큐티브, 총괄 감독
- 장철혁 – 총괄 감독
- Aespa – 보컬, 백 보컬 (모든 트랙)
- 켄지 – 프로듀서, 편곡 (트랙 6), 작사, 작곡, 보컬 디렉팅 (트랙 1, 6)
- 패리스 알렉사 – 작곡, 백 보컬 (트랙 1)
- Dem Jointz – 프로듀서, 작곡, 편곡 (트랙 1)
- 방혜현 (잼 팩토리) – 작사 (트랙 2)
- 이제 – 작곡, 백 보컬 (트랙 2)
- 수민 – 작곡, 백 보컬 (트랙 2)
- 웨이커 (153/줌바스) – 작곡, 피아노, 프로그래밍 (트랙 2)
- 노 아이덴티티 – 프로듀서, 작곡, 편곡, 베이스, 드럼, 피아노, 신시사이저, 프로그래밍 (트랙 2)
- 조윤경 – 작사 (트랙 3)
- 루드비히 린델 (시저 & 루이) – 프로듀서, 작곡, 편곡 (트랙 3)
- 다니엘 시저 (시저 & 루이) – 프로듀서, 작곡, 편곡 (트랙 3)
- 일바 딤베리 – 작곡 (트랙 3)
- 이은화 (153/줌바스) – 작사 (트랙 4)
- 마이크 데일리 – 프로듀서, 작곡, 편곡 (트랙 4)
- 미첼 오언스 – 프로듀서, 작곡, 편곡 (트랙 4)
- 니콜 "KOLE" 코헨 – 작곡 (트랙 4)
- 에이드리안 맥키넌 – 작곡 (트랙 4)
- 강은정 – 작사 (트랙 5)
- Daniel Davidsen (PhD) – 프로듀서, 작곡, 편곡 (트랙 5)
- 피터 발레빅 (PhD) – 프로듀서, 작곡, 편곡 (트랙 5)
- 모아 "카지 오페이아" 칼레베커 – 작곡 (트랙 5–6), 백 보컬 (트랙 6)
- Karen Poole – 작곡 (트랙 5)
- 요나탄 구스마크 (문샤인) – 프로듀서, 작곡, 편곡 (트랙 6)
- 루드비히 에버스 (문샤인) – 프로듀서, 작곡, 편곡 (트랙 6)
- 엘렌 베리 – 작곡, 백 보컬 (트랙 6)
- 문설리 – 작사 (트랙 7)
- 스티안 뉘함메르 올센 – 프로듀서, 작곡, 편곡 (트랙 7)
- 라이브 라보 룬드-롤랑 – 작곡 (트랙 7)
- 노라 그레프스타드 – 작곡 (트랙 7)
- 줄리아 핀세테르 – 작곡 (트랙 7)
- 몰라 – 작사 (트랙 8)
- 미아 (153/줌바스) – 작사 (트랙 8)
- 길 루이스 – 프로듀서, 작곡, 편곡 (트랙 8)
- 미키 블루 – 작곡 (트랙 8)
- 레슬리 – 작사 (트랙 9)
- 소피아 브레넌 – 작곡 (트랙 9)
- 닉 한 – 작곡 (트랙 9)
- Edvard Erfjord – 프로듀서, 작곡, 편곡 (트랙 9)
- 이오늘 – 작사 (트랙 10)
- 소피아 페 – 작곡 (트랙 10)
- MinGtion – 프로듀서, 작곡, 편곡, 베이스, 피아노 (트랙 10), 보컬 디렉팅 (트랙 5, 10)
- 송재원 – 보컬 디렉팅 (트랙 2)
- 싸이 – 보컬 디렉팅 (트랙 3)
- 김진환 – 보컬 디렉팅 (트랙 4, 9)
- 에밀리 연서 김 – 보컬 디렉팅, 백 보컬 (트랙 7)
- 페리 – 보컬 디렉팅 (트랙 8)
- 박신원 – 기타 (트랙 10)
- 한성은 – 스트링 편곡 (트랙 10)
- 영 – 스트링 (트랙 10)
- 강은지 – 녹음 (트랙 1–2, 6, 9), 디지털 편집 (트랙 6, 9–10), 믹스 엔지니어링 (트랙 10)
- 김주현 – 녹음 (트랙 2, 7), 디지털 편집 (트랙 2), 믹스 엔지니어링 (트랙 2)
- 노민지 – 녹음 (트랙 1, 3, 5), 디지털 편집 (트랙 1, 3)
- 김효준 – 녹음 (트랙 4, 8), 디지털 편집 (트랙 4–5, 8)
- 정재원 – 녹음 (트랙 5, 10)
- 이강현 – 녹음 (트랙 10)
- 오현석 – 녹음 (트랙 10)
- 김경태 – 녹음 (트랙 10)
- 이민규 – 디지털 편집 (트랙 7), 믹싱 (트랙 5, 7)
- 권유진 – 디지털 편집 (트랙 7)
- 김철순 – 믹싱 (트랙 1–2)
- 정유석 – 믹싱 (트랙 3–4)
- 정유라 – 믹싱 (트랙 6, 9–10)
- 남궁진 – 믹싱 (트랙 8)
- 권남우 – 마스터링 (모든 트랙)
Remove ads
차트
Remove ads
인증
발매 기록
Remove ads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