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국제 표준 도서관 부호

도서관 및 관련 조직을 식별하기 위한 국제 표준 식별자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국제 표준 도서관 부호(International Standard Identifier for Libraries and Related Organisations; ISIL)는 도서관 및 관련 조직(공문서 아카이브나 박물관 등)에 할당되는 국제적인 식별자(ID)이다[1]. ISO 15511로 규정되어 있다.

이 규격과 등록 정보의 유지 관리를 담당하는 국제 등록 기관은 덴마크 문화청이다[2].

ISIL은 16자 이내의 일렬번호로 이뤄지며, 라틴 문자(대문자, 소문자와 함께 사용 가능하지만, 동일 문자로 취급됨), 숫자, 그리고 빗금, 하이픈, 쌍점이 사용된다[2].

ISIL은 각국의 관리 기관을 나타내는 접두사와 각국의 관리 기관이 부여하는 식별자로 구성되며, 그 둘 사이에는 하이픈으로 구분된다. 접두사는 두 문자이며, ISO 3166-1 alpha-2의 국가 코드에 준거해서, 거기에 붙는 식별자는 나라별로 국립 도서관에 따라 부여된다. OCLC의 접두사가 ‘OCLC-’로 되어있듯이 특정 나라에 속하지 않는, 나라 코드를 가지지 않는 글로벌 등급의 접두사도 정의되어 있다. 나라별 식별자 부분에는 각 나라마다 기존의 도서관 식별자가 활용되기 때문에 ISIL은 하이픈 뒤부터 국제 식별자를 제정하려고 하는 것이 아니라, 각국의 식별자 시스템을 통합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자세한 정보 식별자, 국가 ...

대한민국의 경우에는, 국립중앙도서관이 관리하고 있으며, 도서관의 식별자는 ‘KR-xxxxxx’(x는 숫자)의 형태를 취한다. 식별자는 다음과 같이 부여된다.[3].

자세한 정보 국가, - ...
관종 구분 코드
0123
국립중앙도서관공공대학전문
4567
초등학교 도서관중학교 도서관고등학교 도서관작은 도서관
대한민국 ISIL의 예시

‘ISIL + 공백 + 나라별 식별자’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지만, 국제 도서관 자료 식별자’(ILII)로 ISO 20247에서 규정되고 있다.

Remove ads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