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KBS대구방송총국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KBS대구방송총국(KBS大邱放送總局)은 대구광역시·경상북도 남부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방송공사의 지역방송총국이다. 안동방송국과 포항방송국을 하부에 두고 있다.
Remove ads
개요
- 보도, 지역 현안, 지역민 문제에 대한 시사·교양적 프로그램을 자체 제작하여 편성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방송은 KBS본사의 프로그램을 릴레이하여 편성한다.
연혁
- 1939년 4월 19일 : 대구 출장소 개소
- 1950년 4월 10일 : 대구 방송국 승격
- 1965년 9월 23일 : 김천 중계소 개소
- 1966년 11월 5일 : 경산 송신소 개소
- 1971년 4월 28일 : 팔공산 중계소 개소
- 1972년 9월 13일 : 표준 FM방송 실시
- 1972년 9월 28일 : 신천동 사옥 준공
- 1973년 3월 3일 한국방송공사 창립에 따라 KBS 대구방송국의 발족
- 1978년 5월 9일 : 영일 송신소 개소
- 1978년 6월 2일 : 구미 중계소 개소
- 1978년 7월 1일 : TV(현 1TV) 로컬방송 실시
- 1980년 12월 1일 : 2TV 로컬방송 실시, 한국FM(HLCB, 89.7MHz) 인수 합병 이후, KBS 대구 FM(HLKG-FM)으로 개칭
- 1981년 3월 16일 : 제3방송 개시 (주파수 AM 558kHz)
- 1981년 9월 7일 : 제3방송 폐지로 주파수 AM 558kHz가 2R로 전환
- 1983년 2월 1일 : 2TV 로컬방송 실시
- 1985년 10월 21일 : 2R 로컬방송 실시
- 1986년 12월 8일 : 대구 방송 총국으로 승격
- 1990년 1월 2일 "사할린 이산가족을 찾습니다"의 특별 생방송 (서울 KBS와 대구 KBS 공동)
- 1995년 9월 30일 : 김천(중) 자동화 완료
- 1997년 1월 28일 : 구미 방송 센터 개소
- 1999년 4월 19일 : 대구 총국 신청사 기공식
- 2001년 11월 30일 : 2라디오 FM방송 개국(HLQH-SFM, 102.3MHz) 대구·경북 55분 KBS 교통정보 신설.
- 2002년 11월 9일 : 대구방송총국 현사옥 준공(대구시 수성구 범어동 245번지)
- 2002년 12월 1일 : 구미중계소(95.9.30자동화) 철수
- 2002년 12월 4일 : 대구방송총국 현 사옥 준공식
- 2004년 7월 12일 : 팔공산 송신소 1,2DTV 방송 송출 개시
- 2005년 1월 1일 : 아나운서 지역순환근무제 실시
- 2005년 2월 16일 : 팔공산 송신소 교육DTV 방송 송출 개시
- 2007년 8월 1일 : 지상파 DMB 본방송 실시
- 2008년 4월 21일 : KBS대구 제2라디오 개편에 의해 대구·경북 55분 KBS 교통정보를 대구·경북 57분 교통정보로 변경.
- 2008년 5월 1일 : DTV 부가서비스 실시 (자막방송, 데이터방송, 5.1ch방송)
- 2010년 11월 1일 : 오디오 파일시스템 구축
- 2010년 12월 31일 : 앞산,구지,화양,하양,수륜 DTVR 방송송출 개시
- 2010년 12월 31일 : TV제작시설 HD 전환 완료
- 2011년 5월 9일 : 김천 FMR 방송송출 개시(90.7MHz)
- 2012년 2월 28일 : 경주 DMBR 방송송출 개시
- 2012년 6월 30일 : 대항 DTVR 방송송출 개시
- 2012년 8월 14일 : 김천 제1라디오 중계소 폐소
- 2012년 11월 6일 : 아날로그TV 방송 송출 종료
- 2012년 12월 31일 : 김천TVR 2R 해피FM 방송시작
- 2013년 7월 17일 : 디지털TV 채널재배치 완료
- 2013년 12월 27일 : 앞산TVR DMB 방송시작
- 2017년 12월 29일 : KBS대구 1TV와 KBS대구 2TV UHD 방송개국.
- 2018년 6월 27일 : 달성군 KBS대구 2TV UHD 방송개시.
- 2023년 7월 1일 : KBS대구방송총국 경상북도 군위군 → 대구광역시 군위군 통합
조직
- 편성제작국 - 편성, TV제작, Radio제작, 아나운서, 문화사업, 영상제작
- 보도국 - 편집, 취재, 보도제작, 촬영
- 기술국 - 기술관리, 제작기술, 송출기술, 중계기술, R기술
- 시청자/서비스국 - 총무행정, 재원관리, 광고
- 송신/중계/사업소 - 경산/팔공산송신소, 구미/점촌중계소, 구미사업지사
Remove ads
방송 송출 시설망
TV
- 1TV
- 호출부호 : HLKG-DTV
- 가상채널 : 9-1
- 2TV
- 호출부호 : HLQH-DTV
- 가상채널 : 7-1
- 아날로그TV
2012년 11월 6일 오후 2시 방송 종료
(대한민국의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참고)
(대한민국의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참고)
- 1TV
- 호출부호 : HLKG-TV
라디오
지상파 DMB
Remove ads
제작 프로그램
KBS 1TV
보도 프로그램
TV 프로그램
- 모든방송은 HD기준인 동시에 지역총국은 DMB방송을 하지 않으며 6시 내고향은 월~목요일사이에 네트워크 제작을 한다.
라디오
- 제1라디오
- 보도
- 시사·교양
- 제2라디오
- 102.3 뮤직스튜디오 (연예오락, 월~금, 14:00~15:00)(진행 이채령)
- 음악FM
- 아름다운 오후, 네시입니다 (음악, 월~금, 16:00~17:00)(진행 진유현)
종영 프로그램
Remove ads
현직 아나운서
아나운서
전직 아나운서
남성
- 전우벽(1970~1988, 전 KBS 서울본국)
- 김충진(1981~2013, 전 KBS 포항)
- (故)박태남(1982 ~ 1984, 전 KBS대구방송총국 시작 전 KBS 전주방송총국 이전 전 KBS 제주방송총국 이전 전 KBS 서울본국)
- 조건진(1982~1984, 전 KBS부산본국)
- 김세용(1983~1985, 전 MBC 기자, 전 원주MBC사장)
- 김창옥(1983~1984, 전 MBC 서울본국 아나운서 은퇴, 전 대전MBC 대표이사 사장, 전 제주MBC 대표이사 사장, 전 가톨릭언론인협의회 회장)
- 홍은철(1984~1985, 전 MBC 서울본국 입사)
- 윤도한(1984~1985, 전 MBC 기자,현 정치인)
- 정창훈(1984~1991, 전 KBS 기자)
- 김흥수(1985~2000, 전 KBS 서울본국)
- 이종태(1987~2010, 현 퇴사)
- 정현조(1987~2010, 현 퇴사)
- 김연선(1992~1994, 현 KBS 대전총국)
- 전인석(1994~1995, 과거 KBS 대구 아나운서 전 KBS 서울 본국 )
- 서기철(2001~2002, 전 KBS 서울본국)
- 조우종(2005~2006, 전 KBS 서울본국, 현 MC)
- 전현무(2006~2007, 전 KBS 서울본국, 현 MC)
- 오언종(2007~2008, 현 KBS 서울본국)
- 김승휘(2008~2009, 현 KBS 서울본국)
- 도경완(2009~2010, 전 KBS 서울본국)
- 강승화(2013~2014, 현 KBS 서울본국)
- 양문석(2010~2016, 현 KBS 청주총국)
- 김종현(2016~2018, 현 KBS 서울본국)
여성
Remove ads
리포터, MC
- 표나리
- 이동영
- 배아현
- 신진경
- 권혁민
- 서유리
- 박은강(라디오 리포터)
- 최형윤
현직 취재기자
수어통역사
- 유지영
- 이영희
- 조미향
현직 촬영 기자
인근의 타 방송사
참고 문헌
- KBS 대구방송총국의 어제와 오늘 (1) 보관됨 2016-03-14 - 웨이백 머신
- KBS 대구방송총국의 어제와 오늘 (2) 보관됨 2016-03-14 - 웨이백 머신
- 사진으로 본 KBS 대구방송총국의 역사 보관됨 2020-09-22 - 웨이백 머신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