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LTE 주파수 대역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LTE(Long-Term Evolution) 통신망은 관련 대역폭과 함께 여러 주파수 대역을 사용한다.

주파수 대역

요약
관점

3GPP TS 36.101의 최신 발행 버전[1]의 표 5.5-1 "E-UTRA 작동 대역" 및 5.6.1-1 "E-UTRA 채널 대역폭"에서 다음 표는 LTE의 지정된 주파수 대역과 각 대역이 지원하는 채널 대역폭을 나열한다. 대역 번호는 대역 66의 "b66"과 같이 "b"를 접두사로 붙여 쓸 수 있다.

자세한 정보 대역, 듀플렉스 모드 ...
    1. 주파수 분할 이중 방식(FDD); 시분할 이중 방식(TDD); FDD 보조 다운링크(SDL); 단독 다운링크 전용(SDO)
    2. 사용자 장비 송신; 기지국 수신
    3. 사용자 장비 수신; 기지국 송신
    1. 업링크는 1627.5–1637.5 MHz 및 1646.5–1656.5 MHz로 제한
    2. 다운링크는 1526–1536 MHz로 제한
    3. 2180–2200 MHz 사이의 다운링크는 대역 내 보조 다운링크로 제한
    4. 듀플렉스 간격은 업링크가 다운링크의 하위 또는 상위 부분과 쌍을 이루는지 여부에 따라 달라지며, 다운링크의 나머지는 대역 내 보조 다운링크로 사용할 수 있다.
    5. Carrier aggregation only
    Remove ads

    구형 주파수 대역

    요약
    관점

    이 대역들은 3GPP에 의해 정의되었으나, 상업적으로 배치되거나 상업용 장치에 의해 지원되지 않았거나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다.[1]

    자세한 정보 대역, 듀플렉스 모드 ...
      1. 사용자 장비 송신; 기지국 수신
      2. 사용자 장비 수신; 기지국 송신
      Remove ads

      지역별 배치

      요약
      관점

      다음 표는 표준화된 LTE 대역과 이들의 지역별 사용을 보여준다. 주요 LTE 대역은 굵은 글씨로 표시된다. 아직 배치되지 않은 것은 사용할 수 없다(N/A). 부분적인 배치는 국가마다 다르며, 세부 사항은 LTE 네트워크 목록에서 확인할 수 있다.

      • LTE 대역 7, 28 (LTE-FDD)의 네트워크는 ITU 지역 1, 2, 3에서 전 세계 로밍에 적합하다.
      • LTE 대역 1, 3 (LTE-FDD)의 네트워크는 ITU 지역 1, 3 및 부분적으로 지역 2(예: 코스타리카, 베네수엘라, 브라질 및 일부 카리브해 국가 또는 지역)에서 로밍에 적합하다.
      • LTE 대역 20 (LTE-FDD)의 네트워크는 ITU 지역 1에서만 로밍에 적합하다.
      • LTE 대역 5 (LTE-FDD)의 네트워크는 ITU 지역 2와 3에서 로밍에 적합하다.
      • LTE 대역 38, 40 (LTE-TDD)의 네트워크는 미래에 전 세계 로밍(ITU 지역 1, 2, 3)을 허용할 수 있다.
      • LTE 대역 8 (LTE-FDD)의 네트워크는 미래에 ITU 지역 1, 3 및 부분적으로 지역 2(예: 페루, 엘살바도르, 브라질 및 일부 카리브해 국가 또는 지역)에서 로밍에 적합할 수 있다.
      • LTE 대역 2 및 4 (LTE-FDD)의 네트워크는 ITU 지역 2(미주)에서만 로밍에 적합하다.
      자세한 정보 대역, 듀플렉스 모드 ...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