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리브레부트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리브레부트
Remove ads

리브레부트(Libreboot, 짧게 GNU 리브레부트[2][3])는 지원되는 X86-64AArch64 컴퓨터에서 일부 독점 바이오스 또는 통일 확장 펌웨어 인터페이스 펌웨어를 대체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코어부트 기반의 자유-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프로젝트이다. 리브레부트는 리눅스 또는 FreeBSD와 같은 32비트 또는 64비트 운영체제를 로드하고 실행하는 데 필요한 CPU 초기화 또는 메모리 컨트롤러 초기화와 같은 기본적인 기계 설정을 수행한다.

간략 정보 원저자, 개발자 ...
Remove ads

특징

리브레부트는 코어부트의 배포판으로 설립되었지만, 코어부트에서 일부[4] 독점 바이너리 블롭이 제거되었다.[5] 리브레부트는 빌드설치 프로세스를 자동화하여 코어부트를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6][7][8][9]

일부 장치에서 리브레부트 개발자들은 인텔의 펌웨어를 리버스 엔지니어링하여 인텔 사양을 충족하는 자유 펌웨어를 생성하는 유틸리티를 만들었다.[10] 하드웨어 지원에는 ASUS KGPE-D16,[11] 씽크패드 T400,[12][13] X60[6][7] 및 X200이 포함되지만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13][14] 리브레부트는 상위 코어부트 프로젝트로부터 공식적으로 승인되었다.[15]

역사

리브레부트 프로젝트는 비자유 바이너리 블롭을 제외하는 코어부트의 배포판으로 2013년 12월에 시작되었다.[5] 코어부트는 1999년 로스앨러모스 국립연구소 (LANL)에서 리눅스바이오스(LinuxBIOS)로 시작되었으며, 2008년에 "코어부트"로 이름이 변경되었다.[16]

리브레부트는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의 승인을 받았으며, 2016년 5월부터 GNU 프로젝트의 공식적인 일부가 되었다. 2017년 1월, 프로젝트 관리자 레아 로우는 GNU를 감독하는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과의 수개월간의 분쟁 끝에 GNU 프로젝트에서 리브레부트를 철회했다.[17][18]

평가

2015년에 카일 랭킨은 리눅스 저널에서 리브레부트가 "몇 가지 주의사항"과 함께 플래싱 프로세스를 "크게 단순화하고 자동화"했다고 밝혔다.[6][7] 2016년 브라이언 콕필드는 Hackaday에서 리브레부트 설치가 "끔찍했으며" "생각만큼 쉽지 않았다"고 밝혔다.[8]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